메이테츠 카가미가하라선 노선도감
1. 노선 데이터
영업 km : 17.6km(메이테츠기후~신우누마)
궤간 : 1067mm
역수 : 18개 역(메이테츠기후~신우누마)
단선/복선구분 : 전 노선 복선
전철화 구분 : 전 노선 전철화(직류 1500V)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최고속도 : 95km/h
메이테츠 카가미가하라선은 메이테츠기후~신우누마 구간을 잇는 메이테츠의 노선으로, JR다카야마본선과 나란히 놓여져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예전 국철시대부터 경쟁을 해 왔으며, 현재도 그러하지만 JR도카이쪽은 싼 운임을 장점으로 하고 있고, 메이테츠 쪽에서는 전철화/복선화 등으로 인한 소요시간 및 배차간격의 우위를 장점으로 하고 있다.
카가미가하라 시내에는 항공자위대 기후기지가 있으며, 태평양 전쟁까지 육군 카가미가하라비행장 등이 위치해 있어서, 군사노선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군 기지까지의 연락선로도 설치되어 있다. 도중역은 신나카역과 미카키노역을 제외한 전 역이 무인역이다. 메이테츠기후~타가미 구간에는 타가미선을 경유하여 미노마치선의 노면전차가 직통운행하였으나, 2005년 4월 1일에 기후시내선이 폐지되고 난 뒤에 직통운행이 사라졌다.
전 노선이 평탄지역을 달리고 있지만, 하바~우누마주쿠 구간에는 33.3퍼밀리의 최고 급구배 구간이 존재한다. 완만한 커브가 많은 선형을 가지고 있으며 급행/준급의 경우에는 정차역 사이의 거리가 짧으므로 실제 시각표로는 최고속도가 90km/h정도가 된다. 특히 메이테츠기후~타가미 구간의 급커브 구간은 제한속도가 40km/h의 구간도 존재한다.
2. 전면전망 동영상
하행열차 동영상(메이테츠기후 -> 신우누마)
상행열차 동영상(신우누마 -> 메이테츠기후)
3. 역사
1926/01/21 - 카가미가하라철도(미노전기철도의 자회사)가 야쓰라다(메이테츠기후와 타가미 사이)~미카키노 구간 개업.
1926/08/01 - 미카키노~메이덴카가미가하라 구간 개업.
1927/09/20 - 메이덴카가미가하라~신우누마 구간 개업.
1928/12/28 - 신기후(현 메이테츠기후)~야쓰라다 구간 개통, 전 구간 개통. 야쓰라다역 폐지.
1935/03/28 - 카가미가하라철도와 나키철도(메이테츠의 전신)가 서로 합병.
1938/07/18 - 나가쓰미쵸~타가미 구간 복선화.
1938/11/28 - 시민코엔마에~롯켄 구간 복선화.
1939/06/01 - 신카노~다카노 구간 복선화.
1940/01/14 - 타가미~호소하타 구간 복선화.
1942/06/23 - 미카키노~니짓켄 구간 복선화.
1944/10/22 - 니짓켄~오가세 구간 복선화.
1964/03/15 - 오가세~신우누마 구간 복선화. 전 노선 복선화 완료. 직류 1500V로 승압, 이누야마선과 직통운전 개시.
1965/10/01 - 카가미가하라선 내의 <카가미하라> 독음을 <카가미가하라>로 모두 변경.
1970/06/25 - 타가미선의 개통으로 신기후~타가미 구간에 미노마치선 열차 직통운전 개시.
2005/04/01 - 타가미선과 미노마치선 폐지로 메이테츠기후~타가미 구간의 직통운전 소멸.
2006/12/16 - 메이테츠기후~신나카 구간 트란패스 도입.
2007/03/14 - 신나카~신우누마 구간 트란패스 도입, 카가미가하라선 전역에 트란패스 도입 완료.
4. 운행 형태
메이테츠기후 출발이지만, 메이테츠 본선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운행계통은 이누야마선 계통과 일치하며, 특히 메이테츠기후~이누야마 구간을 사실상의 카가미가하라선으로 보는 견해들이 많다. 실제로 운행도 일부를 제외하면 거의 메이테츠기후~이누야마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들이 많다.(2008년 12월까지는 전열차가 이누야마선 직통이었다.) 또 그 중 절반 정도가 이누야마선을 경유하여 메이테츠 나고야본선에 접속, 도코나메선까지 직통운행을 하고 있다. 카가미가하라선의 경우 6량편성 열차까지 운행을 할 수 있으며, 일부 역(타가미/호소바타/다카타바시/신카노/니짓켄역)은 4량까지만 열차의 정차가 가능하며 6량편성의 열차가 정차하는 경우 2량은 도어컷이 행해지고 있다.
쾌속특급이나 특급열차가 카가미가하라선 내에서는 주행하지 않으며, 나가라가와하나비 대회 때 임시열차로 전차특별차 특급(메이테츠기후~신카니)이 운행된 경력이 있다. 예전에는 아침에 미카키노발 뮤스카이가 운전되었지만 2021년 5월에 폐지되었다.
낮시간대에는 메이테츠기후~신나카 구간은 보통열차만 운전되고, 신나카~신우누마 구간에서는 일부 보통이 급행으로 전환된다. 메이테츠기후~이누야마 구간을 운행하는(신나카~이누야마 구간 급행) 열차와 전구간 보통열차가 1시간 2회씩 운전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이누야마역에서 계통이 나뉘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아침에는 이누야마선/도코나메선/나고야본선 방면으로 직통하는 급행열차, 메이테츠기후~신카니 구간의 급행열차도 운용되고 있다. 2011년 이전에는 준급도 설정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준급열차는 운전되고 있지 않는 대신, 평일 아침에 메이테츠기후발 코와행의 쾌속급행이 설정되어 있다. 카가미가하라선 내에서는 급행과 정차역이 같다. 대피는 미카키노역에서만 가능하므로, 열차의 추월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소요시간은 메이테츠기후~신우누마 구간이 급행 26분, 보통 31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5. 운용 차량
2000계 - 특급 뮤스카이로 1일 1회 운용. 전 차량 지정석. 4량편성으로 운용.
35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전 차량 지정석. 4량편성으로 운용.
37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4량편성으로 운용.
31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2량편성으로 운용.
315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2량편성으로 운용.
33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2량편성으로 운용.
60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4량편성으로 운용.
60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2량편성으로 운용.
65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4량편성으로 운용.
68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2량편성으로 운용.
50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4량편성으로 운용.
9100계/9500계 - 급행/보통열차로 운용. 9500계는 4량편성, 9100계는 2량편성으로 운용.
6. 역 일람
7. 역사진 컬렉션
메이테츠기후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2/3/4번 승강장 - 메이테츠 나고야본선(NH60) - 메이테츠이치노미야/메이테츠나고야/츄부국제공항 방면
기후역 환승안내(환승시간 10~15분)
1/2번 승강장 - JR도카이도본선(CA74) - 나고야/오카자키/토요하시 방면
3/4번 승강장 - JR다카야마본선(CG00) - 미노오오타/게로/다카야마 방면
5/6번 승강장 - JR도카이도본선(CA74) - 오오가키/세키가하라/마이바라 방면
JR나카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번 승강장 - JR다카야마본선(CG02) - 기후/나고야 방면
2번 승강장 - JR다카야마본선(CG02) - 미노오오타/게로/다카야마 방면
JR카가미가하라역 환승안내(환승시간 15~20분)
1번 승강장 - JR다카야마본선(CG04) - 기후/나고야 방면
2번 승강장 - JR다카야마본선(CG04) - 미노오오타/게로/다카야마 방면
신우누마역 환승안내
2/3/4/5번 승강장 - 메이테츠 이누야마선(IY17) - 이누야마/메이테츠나고야/츄부국제공항 방면
JR우누마역 환승안내(환승시간 5~10분)
1/3번 승강장 - JR다카야마본선(CG05) - 미노오오타/게로/다카야마 방면
2/3번 승강장 - JR다카야마본선(CG05) - 나카/기후/나고야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