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이콘은 다마스커스의 성 요한에 관한 전설과 관련된다.
그에 따르면 모반죄로 탄핵되어 누명을 쓴 요한은 오른손이 잘리는 형벌을 받게 되었다.
이에 요한은 성모 이콘 앞에서 하느님께 자신은 무죄이며
자신의 문필로 성화 공경을 위하여 계속 투쟁할 수 있도록
잘린 손을 다시 돌려 주도록 기도드렸다.
그러자 그의 잘린 손이 팔에 다시 붙었고 그 때부터 요한의 팔목에는 빨간 선의 흔적만 남게 되었고,
요한은 감사의 표시로 은으로 만든 손을 자신이 기도하였던 이콘 앞에 기증하였다 한다.
(이콘.신비의 미-장긍선신부) 에서
성모여, 나의 영혼에 지혜와 충고를 주소서.
그것들은 나의 불행과 어둠을 메울 것입니다.
그리고 나의 결점과 나의 부족을 바로 잡도록 도와주소서.
그로 인해 죄의 어두움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소서.
나는 끝없는 찬양과 영광으로 당신을 공경하나이다.
오, 우리 하느님의 아들이신 진실된 빛의 유일하고 참된 어머니여.
현재와 영원히, 모든 가시적인 것과 불가시적인 것에 의해
영광과 축복을 받으시는 당신은 주님을 통하여
주님과 함께 홀로 영원히 계시나이다.
시리아의 성 에프렘의 성모찬가 중.
*시리아의 성 에프렘 축일:6월9일.게시판1216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세 개의 손을 가진 성모(희랍어 : Tricheirousa)는 다마스커스의 요한에 관한 전설과 관련된다.
비잔틴황제가 회교국주(回敎國主)에게 조작한 편지를 내세워 요한을 모반죄로 탄핵한다.
회교국주가 요한의 오른손을 자르도록 명령하자,
요한은 성모 성화 앞에서 하느님께 그는 무죄이며
그가 그의 문필로 종교화 숭배를 위하여 계속 투쟁할 수 있도록
그의 손을 다시 돌려주도록 기도드렸다.
그는 회교국주에게 잘린 손을 되돌려주도록 부탁하였고 그의 팔에 손을 다시 붙였다.
그 때부터 요한의 팔목에는 빨간선의 흔적이 남아 있다.
요한은 또한 은으로 된 손을 이 성화앞에 기증하였다.
이 성화는 사바스(Sabbas) 수도원으로부터 12세기에 세르비아의 성 사바스에 기증되었다.
14세기 말경 터키인들이 세르비아를 정복했을 때에 사람들은
이 성화를 당나귀에 싣고 아토스에 무사히 피난하여 세르비아의 칠란다르(Chilandar) 수도원으로 옮겼다.
세개의 손을 가진 성모 성화의 진적(眞蹟)은 칠란다르-수도원의 은혜를 베푸는 중요한 성화이다.
그림의 왼쪽 가장자리에서는 대 수호천사를, 오른쪽에서는 성 안나를 볼 수 있다.
(유럽 聖畵(ICON)集에서)

축일:3월27일(12월4일)
다마스커스의 성 요한 사제 학자
St. Joannes Damascenus, C. D. E
St. John Damascene
St. John of Damascus
San Giovanni Damasceno Sacerdote e dottore della Chiesa
Doctor of Christian Art; Jean Damascene; Johannes Damascenus;
John Chrysorrhoas ("golden-stream"); John of Damascus
676 at Damascus, Syria- 749 of natural causes
Memorial:27 March (Latin Church); 4 December (Greek Church)

요한은 자기 생애의 대부분을 예루살렘 근처에 있는 성사바 수도원에서 보냈으며,
회교도의 규율 밑에 있던 그의 생애는 참으로 그 규율에 의해 보호를 받았다.
다마스커스에서 태어난 그는 고전과 신학 교육을 받았으며
정부 관리로서 아랍인들을 다스리던 아버지를 계승했다.
몇 해 뒤에 그는 관리직을 사임하고 성사바 수도원으로 갔다.
그는 세 가지 분야에서 유명하다.
첫째로, 그는 성상의 공경을 반대하는 성상 파괴주의자들에 대한 글로 잘 알려져 있다.
역설적으로 성상 공경을 금지한 것은
동방 교회의 그리스도인인 레오 황제였는데
요한은 모스렘 영토에 살고 있었기 때문에 반대자들이 그를 모함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둘째로, 희랍 교부들-그는 마지막 교부이다-의 총서인 그의 ’정통 신앙론’으로 유명하다.
이 책은 동방 교회에서는 서방 교회의 아퀴나스의 ’신학대전’과 견줄 만한 책이다.
셋째로, 그는 시인으로서 유명한데 로마누스 멜로디스트와 함께
동방 교회의 가장 위대한 두 시인으로 꼽히고 있다.
성모 마리아에 대한 그의 신심과 마리아의 축일에 관한 그의 설교도 잘 알려져 있다.

요한은 성상 공경에 대한 교회의 이해를 옹호했고 다른 여러 가지 논쟁들에 대하여 교회의 신앙을 설명했다.
그는 30년 이상을 이러한 옹호론과 다른 저술로써 기도 생활을 영위해 나갔다.
주님을 섬기는 데 있어서 그의 성덕은 문학적으로 뛰어난 재능과 설교 안에 그대로 나타난다

성인들은 신학자이며 복음사가인 요한이 다음과 같이 말한 것처럼
그리스도의 친구이며 하느님의 자녀요 상속자로서 영광을 받아야 한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받아들이는 정도에 따라서 당신의 자녀가 되는 힘을 주셨다….’
우리는 주님의 오심을 미리 선포한 모든 사도들,순교자들,고행자 및
의인들의 생활 방식을 상세히 관찰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의 신앙,사랑,희망,열성,생활,고통중의 인내,죽음에까지 이르는 끈기 등과 비교해 보고
그들을 본받음으로써 우리도 영광의 월계관을 나누어 받을 수있는 것이다." (정통 신앙론,제 4권)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1-

다마스커스의 어느 부유한 크리스챤 집안에서 태어났고, 부친은 칼리프 압둘 말레크의 궁중 고관이었다.
그는 그의 부친이 칼라브리아에서 체포한, 그당시 저명한 수도자이던 고스마의 문하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후 요한은 부친의 직책을 계승하여 몇년을 지냈으나,
726년에 레오 3세 황제가 성상 공경을 금지하는 칙서를 발표하자,
즉시 이에 대하여 반대하면서, 가톨릭 입장을 옹호하는 지도자로 변신하여 비쟌틴 황제의 분노를 샀다.
726년, 그는 자신의 직책을 사임하고는 예루살렘 근교로 가서 수도자가 되었다.
그후에도 그는 모슬렘을 공격하는 글을 써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그가 일생동안 살았던 수도원은 "마르사바" 인데, 이곳은 예루살렌과 사해 사이에 있는 황량한 산악 지대이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는 "지식의 근원", "정통신앙"등 이다.
그의 저서들은 중세 서방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그는 많은 시와 찬미가를 지어 희랍 전례에서 사용되게 하였다.
흔히 그는 희랍의 마지막 교부라고 불리우며, 1890년에 레오 13세는 교회 박사로 선언하였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2)

다마스쿠스의 성 요한(Joannes)은 그리스 교부로서는 마지막 인물이나 그리스도교적 아리스토텔레스 학풍을 개척한 분이며, 성 로마누스 작곡가(Romanus the Melodist)와 더불어 동방 교회에서 가장 유명한 시인 중의 한 명이다. 그는 아랍인들이 635년 다마스쿠스를 정복한 후 마호메트의 후계자인 칼리프들의 치하에서 전 생애를 보냈지만, 성 테오도루스 스투디테스(Theodorus Studites)와 더불어 교회의 정통 교리를 수호하고, 성상 공경 논쟁이 가장 극심하던 시기에 끝까지 성상 공경의 정당성을 펼쳤던 위대한 교부이다.
요한은 그의 대표작인 “올바른 신앙에 관한 해설”에서 교회의 가르침 곧 하느님과 창조, 인간론, 그리스도론, 마리아론, 성인 공경과 성화 공경, 구원론, 종말론을 100장에 걸쳐 다루었다. 이 저서는 서방 교회의 대표적인 신학자인 성 토마스 데 아퀴노(Thomas de Aquino)의 "신학대전"에 버금가는 역저로 동방 교회에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교육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
그가 태어난 때의 다마스쿠스는 아랍인들이 통치하고 있었다. 칼리프들은 다마스쿠스를 정복한 후 그리스도교와 유대교에 대한 관용 정책을 펼쳤다. 요한의 가문은 몇 세대에 걸쳐 국가 재정을 담당하는 고위 관리였고, 이 직책은 세습제였다. 그래서 요한은 유아세례를 받고 어릴 때부터 좋은 교육을 받았다. 그의 전기에 따르면 부친이 직접 그에게 교육을 시키고, 말 타는 법 등을 가르쳤다고 한다. 부친 외에 요한은 코스마(Cosmas)라 부르는 훌륭한 스승 밑에서 공부할 수 있었다. 코스마는 그에게 여러 학문을 가르쳤는데, 특히 신학을 강조했다. 장성한 요한은 부친의 직업을 계승하여 국가의 관리가 되었다. 그는 궁중에서 자유로운 생활을 하며 그리스도교적 덕행, 특히 겸손한 자세로 많은 이들에게 큰 감명을 주었다. 그가 이토록 훌륭하게 성장한 것은 그의 스승 코스마의 덕분이었다.
그러나 후임 칼리프들이 그리스도교에 대한 관용 정책을 포기하자 더 이상 그리스도인은 국가의 고위 관직을 맡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는 사직하고 코스마와 함께 예루살렘 근처의 마르 사바(Mar Saba) 수도원으로 가서 수도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곳의 분위기는 아직도 성상 공경 문제가 쟁점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수도자들 가운데에서도 그들을 좋게 보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다. 어쨌든 요한과 코스마는 책을 저술하거나 찬미가를 짓는 등의 일을 하면서 이곳에 정착하였다. 장상과 다른 수도자들의 냉대와 질시 속에서도 그는 참으로 겸손하고 지혜롭게 처신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 성모님의 환시를 보았는데, 이때 성모님은 그의 스승에게 이런 당부를 했다고 한다. “그대의 제자에게 많은 책을 쓰고 또 아름다운 시를 쓰도록 허락하여라.” 이때부터 요한은 자신의 모든 시간을 성서와 교부 문헌 연구 및 저술 활동에 할애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가끔씩 다마스쿠스 거리로 나가 광주리를 팔았다고도 한다. 이때 예루살렘의 총대주교인 요한 5세는 그들의 명성을 익히 알고 있었으므로 먼저 코스마를 마유마의 주교로 축성하고, 요한은 사제로 서품하여 예루살렘으로 불렀다.
그런데 코스마 주교는 죽을 때까지 주교로서 양떼를 돌보았으나, 요한은 이내 수도원으로 되돌아와 자신의 저술을 다시금 살피면서 조심스럽게 다듬었다. 이때부터 그의 저서는 도처에서 읽혀졌으나 반대자들의 질시 또한 날이 갈수록 심해졌다. 그는 위대한 신학자요 시인으로서의 삶을 마치고 754년 12월 4일 고령으로 선종해서 마르 사바 수도원에 묻혔다. 교황 레오 13세는 1890년 8월 19일 교령에서 그를 교회학자로 선포하였다.
(가톨릭홈에서)

7세기 후반 다마스커스의 그리스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훌륭한 철학 교육을 받은 후 예루살렘 근처의 성 사바소 수도원의 수도자가 되고 사제로 서품되었다.
특히 성상 파괴를 주장한 이들을 거슬러 많은 신학서를 저술했다. 8세기 중엽에 세상을 떠났다.
다마스커스의 성 요한 사제의 [신앙 선언]에서
(Cap. 1: PG 95,417-419)
주여, 당신은 나를 당신 제자들을 섬기는 자로 부르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