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Messiah hype generated by Leadbeater and Besant started to do its magic. On 28th December 1911, at the Society’s annual camp, Krishna handed out regalia for a new order, The Order of the Star. Some of the new recruits prostrated themselves at his feet in ecstasy. Besant proclaimed triumphantly: ‘Those of you who were here yesterday can no longer have doubt whose vehicle the Lord will use.’
리드비터와 베산트에 의해 만들어진 메시아 사기 놀음은 그 마법이 작동하기 시작했다. 1911년12월28일 학회의 연례 캠프에서 크리슈나무르티가 새로운 교단 즉, 별의 교단 旗章기장을 나누어 주었다. 신입 회원 가운데 얼마는 열광에 휩싸여 그에게 오체투지를 했다. 베산트는 의기양양하게 선언했다. ‘어제 여기에 있던 여러분들은 주님께서 어떤 분을 쓰실 지에 대해서 더 이상 의심이 없을 것입니다.’
But then the Indian press again attacked Leadbeater for his paedophilia, and Krishna’s father decided he wanted him and Nitya back. He took the Society to court for enabling child abuse. So Besant whisked them off to the UK and used all her influence in the courts to keep them under her ‘protection’.
그러나 그때 한 인도人 기자가 리드비터의 소아성애를 공격했으며, 크리슈나무르티의 아버지는 그와 니티야를 돌려받기로 결정했다. 그는 아동들이 학대당하게 만드는 신지학회를 법정에 세웠다. 그러나 베산트는 크리슈나를 재빨리 영국으로 빼돌리며, 법정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영향력을 행사하여 그녀의 ‘보호’아래 두려고 했다.
In the UK, at least, Krishna and his brother were safe from Leadbeater. In London, Krishna develope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Lady Emily Lutyens, wife of the architect Sir Edwin Lutyens, and at 20 years his senior, a substitute for the mother who’d died when he was small. He also grew accustomed to the aristocratic life supported by rich Theosophist patrons. He developed a taste for fine clothes, dressing in suits from Saville Row, ties from Liberty, monogrammed shirts, wielding a gold cane and a Philippe Patek watch. He tried studying but it wasn’t to his liking — he flunked his exams to UCL and scorned knowledge for the rest of his life.
영국에서 크리슈나와 그의 동생은 최소한 리드비터로부터는 안전했다. 런던에서 크리슈나는 건축가 에드윈 러츤스 경의 아내인 에밀리 러츤스 여사와 매우 밀접한 관계로 발전했다. 어렸을 때 친 엄마를 잃은 크리슈나는 자신 보다 20년 연상인 러츤스가 자연스레 맡게 된 엄마 역할에 의존하게 되었다. 또한 그는 부유한 신지학회 후원자가 지원하는 귀족적인 생활에 점점 익숙해졌다. 세련된 의상, 새빌 街에서 맞춘 양복, 리버티 社의 넥타이, 명품 셔츠를 걸치고 황금 스틱을 짚으면서 필립 파텍(스위스 최고급 명품시계)시계를 찼다. 그는 공부에 힘썼으나, 그건 그가 좋아하는 일이 아니었다. 그는 UCL(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약칭 UCL은 영국에 위치한 연구중심 공립 대학이다) 시험에 낙방하였으며 일생동안 지식을 경멸했다.
*에밀리 러츤스(Emily Lutyens, 1874~1964): 영국 여성 작가. 철저한 채식주의자. 신지학회 운동가. 크리슈나무르티의 부모 역할을 함.
The Theosophical Society eventually won the court case against Krishna’s father, after he and his brother Nitya said they wished to remain with Besant. They barely saw him again. It was not the last time Krishna would brutally cut off someone close to him.
결국 법정에서 신지학회가 크리슈나의 아버지를 이겼는데, 크리슈나는 자신과 그의 동생 니티야는 베산트 여사와 함께 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후 형제는 아버지를 다시는 보지 못했다. 크리슈나가 자기에게 가까운 사람들을 잔인하게 끊어버리는 일은 이게 마지막이 아니었다.
The young man started to become more independent. Privately, he expressed his dissatisfaction with Theosophy, with the ‘Masters’, with the whole baroque occult bureaucracy Leadbeater had constructed. ‘It’s all rot’, he told Lady Emily Lutyens. When his brother Nitya tragically died, he became even more disillusioned. But he was still committed to his own Messiah-ness.
청년이 된 크리슈나는 더욱 더 독립적으로 살기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신지학회나, 마스터, 그리고 리드비터가 구축한 기괴한 오컬트 관료제에 대해 불만을 표현했다. ‘이건 썩었다.’고 에밀리 러츤스 여사에게 말했다. 그의 동생 니티야가 비극적으로 죽었을 때 더욱 더 환멸을 느꼈다. 그러나 여전히 자신의 메시야 역할에 몰두 했다.
In 1922, he went through an intense spiritual experience which would repeat over the years and become known as the ‘process’. It involved physical pain accompanied by angelic visitations, during which Krishna had to be mothered by a woman he was attracted to — in this case, a young American woman named Rosalind Williams.
1922년 그는 강렬한 영적인 체험을 겪고 있었는데, 그건 몇 년간에 걸쳐 반복되는 것으로, 흔히 ‘과정’으로 알려졌다. 그것은 천사가 보이는 환시를 비롯한 신체적 고통을 동반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 로잘린 윌리엄스라는 젊은 미국 여성이 크리슈나의 엄마 역할을 대행했는데, 그는 그녀에게 끌렸다.
*로잘린 윌리엄스(1903~1996):나중에 이름을 Rosalinda Rajagopal로잘린 라자고팔로 바꾼다.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신지학회 회원인 인도 사람 D. Rajagopal과 결혼했으나, 크리슈나무르티와 삼각관계의 애정을 유지하다가, 결국 세 사람은 법적으로 냉정하게 결별한다. 그녀의 딸 라다 슬로쓰Radha Sloss가 1991년에 쓴 <Lives in the Shadow with J. Krishnamurti 크리슈나무르티의 그늘 아래서>에 삼각관계와 크리슈나의 숨겨진 모습이 드러났다.
Krishna emerged from this experience convinced that ‘All that I have written is absolutely genuine and profound’ — in other words, he really was the World Teacher, not just the vehicle. His brother also insisted Rosalind had a vision, in which she saw a star descend on Krishna, before she fainted. Rosalind herself later said she merely fell asleep and ‘did not feel anything remarkable had happened’. Her daughter, Radha Sloss, would write:
크리슈나는 그 체험에서 벗어난 다음 ‘내가 쓴 모든 기록은 절대적으로 진실하고 심오하다’-다른 말로 한다면, 나는 세계의 스승의 매개체가 아닌 진짜로 세계의 스승이다-라는 것을 확신하였다. 그의 동생이 주장하기를, 로잘린은 별 하나가 크리슈나에게로 내려오는 어떤 비전을 보았는데, 그 즉시 기절했다는 것이다. 로잘린이 나중에 말하길, 단지 잠이 들었을 뿐이며 ‘이렇다 할 특별한 일이 일어난 걸 느끼지 못했다’고 했다. 그녀의 딸 라다 슬로쓰는 다음과 같이 썼다.
Even before the popularity of psychosomatic medicine, a competent physician might have suggested that Krishna’s symptoms were quite simply the result of a conscious or unconscious intense need to receive mothering and love…In the future these symptoms would be witnessed usually by a woman for whom Krishna felt a special involvement or love.
심신상관적 약처방이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전이기는 해도, 유능한 의사라면 크리슈나가 보인 증세는 엄마의 보살핌과 사랑에 대한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강렬한 욕구의 결과로 나타난 것임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크리슈나의 앞날에서 그가 특별히 개입된 인간관계나 애정문제에 끼어들었던 여자들도 그에게서 이런 증세를 목격하는 건 보통 있는 일이었을 것이다.
After the first ‘process’, Krishna took on the mantle of the World Teacher more boldly. On 28 December 1925, at the Theosophical camp at Ommen Castle, Krishna switched, while talking about the World Teacher, from the third person to the first person: ‘I come for those who want sympathy, who want happiness, who are longing to be released…’ The impact on the audience was electric. Annie Besant declared: ‘The coming has begun’. Lady Emily Lutyens was equally ecstatic: ‘Krishna has become the Lord’. Krishna claimed to have no memory of the speech. But a backstage comment to Rosalind suggests he knew the effect he’d make: ‘You watch! I’m going to show them something.’
이런 첫 번째 ‘과정’을 거친 후 크리슈나는 세계의 스승이라는 망토를 더 대담하게 걸쳤다. 1925년 12월 28일 옴멘(네덜란드 동부에 있는 작은 시, 인구 19,000의 자연휴양지)성에서 신지학회 캠프가 열렸는데 크리슈나는 세계의 스승에 대해 말하는 도중에 갑자기 제삼자적 관점에서 일인칭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말하길, ‘나는 공감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행복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을 위하여, 해방되기를 바라는 사람들을 위하여 왔습니다…’. 관중은 전기에 감전된 것처럼 충격을 받았다. 애니 베산트는 선언했다. ‘메시아의 도래가 시작됐다.’ 에밀리 러츤스 여사도 꼭 같이 열광했다. ‘크리슈나는 구세주가 되었다.’ 크리슈나는 그날 했던 연설의 기억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무대 뒤에서 로잘린에게 했던 말을 보면 그는 자기가 만들어낸 영향력을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너도 봤지! 난 사람들에게 뭔가를 보여줄 거야.’
The Theosophical hierarchy realized they were losing control over their star vehicle, and they worried about the future of the franchise. They attempted to launch a new ‘star’ — the ‘World Mother’ — but she soon flopped. In this, the Society reminds me of a pop hit factory, like Motown, constantly experimenting to discover what sells. The World Teacher story-line worked great as long as the Messiah could be controlled. But Krishna was onto an even better story. He was about to launch his solo career.
신지학회의 고위층들은 그들의 스타를 통제할 힘을 잃어버린 걸 깨닫고, 프랜차이즈의 앞날을 걱정했다. 그들은 또 다른 새로운 ‘별’, ‘세계의 스승’을 찾으려고 했는데 곧 실패했다. 이런 점에서 신지학회는 잘 팔리는 게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실험을 하는 모타운과 같은 팝송계의 히트 제조기를 연상하게 해준다. 세계의 스승이라는 상품은 메시아가 통제 가능할 때만 먹히던 스토리였던 것이다. 그러나 크리슈나는 그들을 뛰어넘은 훨씬 더 좋은 스토리 제조기였다. 그는 바야흐로 솔로의 길을 가기 시작했던 것이다.
On the 3rd of August 1929, at another camp meeting at Ommen, Krishna made his most famous speech:
1929년 8월3일 옴멘에서 열린 또 다른 캠프에서 크리슈나는 최고로 유명한 연설을 했다.
I maintain that Truth is a pathless land, and you cannot approach it by any path whatsoever, by any religion, by any sect…Truth, being limitless, unconditioned, unapproachable by any path whatsoever, cannot be organized, nor should any organization be formed to lead or to coerce people along any particular path…
진리란 길 없는 땅이기에, 어떤 종교, 어떤 종파나 어떤 길로도 접근할 수 없다고 나는 주장합니다. 진리는 무한하며, 무조건적이며 어떤 경로로도 접근 불가능하며, 조직화할 수 없기에, 어떤 조직도 사람들로 하여금 특정한 길을 가도록 이끌거나 강제할 수 없습니다…
You can watch him deliver it, I’m not sure if this is a recreation or not:
여러분은 크리슈나가 연설하는 걸 지켜볼 수 있을 겁니다. 나는 이게 재미로 지어낸 것인지 아닌지 확신할 수 없어요.
He then proceeded to dissolve the Order of the Star, like Brian in Monty Python declaring ‘go home, you are all individuals!’ Krishna said:
그는 몬티 파이돈에서 브라이언이 ‘집으로 돌아가세요. 여러분은 모두 개인입니다!’라고 한 것처럼 별의 교단의 해체를 진행시켰다.
*몬티 파이돈: 영국의 전설적인 코메디 그룹. 코메디 계의 비틀즈에 비유될 만큼 영향력 있던 공연단체
I do not want followers…I am concerning myself with only one essential thing: to set man free…I desire to free him from all cages…Because I am free, unconditioned, whole…the whole Truth that is eternal.
나는 추종자를 원하지 않습니다. 나는 오직 한 가지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사람들을 자유롭게 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을 모든 새장에 벗어나게 해 주길 원합니다. 나는 자유롭고, 조건 지워져 있지 않으며, 전체-영원한 전체적 진리이기 때문입니다.
But the speech, for all its soundbite quality, doesn’t make sense. If truth cannot be approached by any path whatsoever, then it cannot be approached at all…and there is no point talking about it, looking for it, or anything like that.
그러나 이것은 인상적인 발언임에도 불구하고 말도 안 되는 소리였다. 진리란 게 어떤 길로도 접근할 수 없다면, 도대체 전혀 접근할 수 없다는 말이니…거기에 대해 말을 하거나, 찾거나 하는 어떤 것도 의미 없는 짓일 것이다.
It was also pretty brutal to those who gave him everything, like Annie Besant, to torch her organisation and use it as rocket fuel for his own launch. She was devastated and rapidly descended into senility. Then again, she had enabled Leadbeater’s paedophilia, so…
이건 크리슈나에게 전부를 걸었던 사람들, 예를 들자면 크리슈나를 위한 조직에 불을 밝히고, 크리슈나 스스로 출발할 수 있도록 자신을 연료로 썼던 애니 베산트 여사에게는 아주 잔인한 일이었다. 그녀는 큰 타격을 받아 급격하게 노쇠해졌다. 그때 다시 리드비터의 소아성애가 발동하게 된다, 그래서…
At this point, Krishnamurti could have ‘quietly retired from the whole turgid mess’. He could have renounced the Theosophical Society entirely and given up all the trappings of World Teacher. But he didn’t. His renunciation, writes biographer Roland Vernon, ‘did not represent the great sacrifice for which he has been admired so handsomely ever since’.
이 시점에서 크리슈나는 ‘전체적으로 (환상에)부풀려진 대중으로부터 조용하게 은퇴’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는 신지학회를 완전히 떠나 세계의 스승이라는 짐을 내려놓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았다. 롤란드 버논이 쓰기를 ‘그는 그 이후 내내 그렇게도 흠모하던 위대한 희생을 몸소 행하는 내려놓음을 실천하지 않았다’.
Radha Sloss, Rosalind’s daughter, writes: 로잘린의 딸, 라다 슬로쓰가 쓰기를,
on one hand, Krishna was declaring that there should be no authority; yet on the other he had insistently and dramatically portrayed his own new condition as being united ‘with the flame’ and having the ‘vision of the mountain top’, which seemed to place him in a position of ultimate authority, nor did he specifically deny that he was the world teacher. If he had been willing quite simply to step aside or step down from the height on which Leadbeater and Mrs Besant had placed him and stand as a mere human being on his own philosophy, a great deal of present and future confusion could have been avoided. But then, of course, he risked losing everything the Theosophical Society and individual Theosophists had willingly given him — the Order of the Star, the castle, the land in Ommen, Ojai and India, and most important, a sizeable international following. He claimed he did not want followers which, perhaps, he did not equate with the audiences who would fill his camps and lecture halls for years to come.
한편으로 크리슈나는 어떤 권위도 있을 수 없다고 선언했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자신이 ‘불꽃과 한 몸’이 되었으며, ‘山上의 비전’을 보았음을 지속적이며 극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묘사했다. 그건 세상의 스승임을 부인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자신을 절대적 권위에 올려놓으려는 것처럼 보였다. 그가 만일 리드비터와 베산트가 올려놓은 정상에서 비껴 서거나 내려와서, 자기 철학에 기반한 한 인간으로 자립하려 했다면, 현재와 미래에 일어날 엄청난 혼란을 피할 수 있었으리라. 물론 그렇게 된다면 신지학회와 신지학회 개별회원이 그에게 주었던 모든 것-별의 교단, 城, 네덜란드 옴멘과 캘리포니아 오하이 및 인도에 있는 땅, 그리고 가장 중요한 국제적인 추종자들-잃을 위험이 있었다. 그는 추종자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그건 아마도 캠프와 강의실을 몇 년 채 계속 채우고 있는 청중을 의미한 건 아니었을 것이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