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중앙정보부장 총에 맞고 생을 마감했다.
전국에는 비상 계엄령이 떨어졌다.
비상 계엄. 군 병력이 경찰을 대신해 치안을 장악했다.
계엄군 사령관이 행정권과 사법권을 틀어쥐었다.
몇몇 사람들이 계엄령을 해제하고, 유신 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거사를 준비한다.
하지만 계엄령 아래에서 모임 자체가 불가능했다.
그래서 그들은 결혼식을 생각해 낸다.
“신랑 홍성엽, 신부 윤정민의 결혼식을 다음과 같이 거행하오니.....”
청첩장에 1979년 11월 24일 명동 YMCA 강당이라는 것까지 주먹만하게 박혔다.
신랑 홍성엽은 진짜였지만 신부 윤정민은 민정(民政)을 비튼 가상의 인물이었다.
윤보선 전 대통령부터 젊은 학생과 노동자들까지 만장한 가운데 결혼식이 열렸다.
결혼식에서 울려 퍼진 건 뒤늦게 사실을 알아챈 계엄군의 군홧발 소리였다.
체포된 사람들은 악독한 고문을 받아야 했다. 신랑 홍성엽은 말할 것도 없었다.
그런데 특별 취급을 받은 또 한 사람이 있었다. 백기완이었다.
체중 82Kg 체구였던 그가 40Kg대의 말라깽이가 되었다.
냉혹한 계엄 당국조차 이러다 죽이겠다 싶어 병보석으로 내보냈다.
그 참혹한 시간을 백기완은 자신이 지은 시(詩)를
주문처럼 읊조리고 버텼다고 했다.
“시멘트 바닥에 누워 천장에 매달린 15촉 전구를 보고 있노라면 이대로 죽는구나 하는 절망에 몸부림칠 때가 많았다. 극한 상황에서 자꾸만 약해지는 정신을 달구질하기 위해 <비나리> 시를 지어 주문처럼 외우고 또 외웠다.”
1983년 2월 대구. ‘기독교 예장(예수교 장로회) 청년 대회.
백기완이 등장하자 청년들 모두가 일어나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그 노래 가사는 <비나리>의 일부였다.
歌仙 박진광 - 님을위한 행진곡.mp3
백기완은 노래를 듣고 펑펑 울었다.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동지는 간데없고 깃발만 나부껴 새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깨어나서 외치는 뜨거운 함성.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사실 이 노래는 백기완을 만나기 1년 전에 지어졌다.
광주항쟁의 마지막 날, 도청에서 끝까지 계엄군 총에 맞선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그리고 고된 노동에도 야학을 함께 했던 박기순, 이 두 사람의 죽음 앞에 사람들은
영혼 결혼식을 올려 주기로 한다.
그 때 만들어진 노래가 <임을 위한 행진곡>이었다.
http://archives.kdemo.or.kr/contents/view/60
이 노래 테이프를 만든 사람들은 녹음한 테이프를 가슴에 품고서
꼭 혼자서만 다녔다고 한다.
혹여 경찰에 잡히더라도 자기 혼자만 잡히고,
누군가는 꼭 다른 사람들에게 이 노래를 전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 노래는 독재에 맞선 민주주의의 깃발이다.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에 대한 찬가다.
1981년 5월, 백기완의 미발표 장시 「묏비나리」(1980)의 한 부분을 차용하여 소설가
황석영이 가사를 짓고, 전남대 출신으로 대학가요제에서 수상한 바 있는 김종률이 곡을 지었다. 이 노래는 1970년대 말부터 광주의 극회 광대에서 활동하던 문화운동 관련자들이 모여 지하방송 ‘자유광주의 소리’를 창설하기로 하고 첫 작품으로 만든 음악극 「넋풀이 굿(빛의 결혼식)」에 포함되어 있다. 「넋풀이 굿」은 광주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전사한 두 남녀의 영혼결혼식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임을 위한 행진곡」은 고인이 된 두 남녀가 저승으로 가면서 ‘산 자’에게 남기는 마지막 노래로 배치되어 있다.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동지는 간 데 없고 깃발만 나부껴’ 등의 가사는 온 몸을 바쳤던 치열한 투쟁과 엄청난 죽음으로 귀결된 비극적 패배의 절망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며, ‘앞서서 가나니 산 자여
따르라’는 이러한 비극적 죽음과 절망을 딛고 나아가는 비장한 의지와 용기, 결단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가사 내용은 대중적이면서도 비장한 4/4박자 단조의 행진곡 음악과 조응한다.
음악극 「넋풀이 굿」은 가정용 카세트녹음기로 녹음되어 서울로 옮겨졌고, 여기에 수록된 「임을 위한
행진곡」은 서울과 광주에서 급격히 빠른 속도로 구전되며 전국으로 확산되었다<H4 id=37303314 class=tit_section>현황 1980년대 말부터 이 노래는 민주화운동 집회를 시작할 때 민주화운동의 열사들에게 바치는 묵념과 함께 불리는 노래가 될 정도로 한국 민주화운동을 대표하는 노래가 되었다. 김대중 정부 이후 5월 18일이 국가 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이
노래는 기념식장에서 공식적으로 제창되었으나 2010년과 2013년 국가보훈처가 기념식에서 이 노래를 빼려다 유족들의 반대에 부딪치는 사건이 발생했고, 2013년 6월 국회에서 이 노래를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공식 추모곡으로 지정하자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의의와 평가
1970년대의 구호적 행진곡의 유행을 종식시키고, 비극성 등의 서정성을 풍부하게 담은 행진곡의
시대로의 이행을 확고히 했다. 이 작품이 보여준 비장한 단조 행진곡은 이후 민중가요의 가장 대표적인 양식으로 자리매김 되었다.임을 위한 행진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첫댓글 https://youtu.be/yYN424mPjrg 전인권 상록수 노래 열창
PLAY
https://youtu.be/-GfymrL_J2U 님을 위한 행진곡 원곡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