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사원 A의 경우 2사분기의 증감계수 1.0은 100%의 증가율, 3, 4분기의 증감계수 0.5와 -0.5는 각각 50%의 증가율과 50%의 감소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보통 증감률이 10% 내외인 경우 그 비율을 단순총합하여 전체 변화율을 구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증감률이 매우 큰 경우에는 단순총합으로 전체 변화율을 구할 경우 오차가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연속된 증가율'은 10% 내외의 작은 비율에만 사용하여야 하고, 이와 같이 큰 비율의 경우 증감률을 직접 적용하여 해결해야 합니다.
첫댓글 해당 문제에 제시된 증감계수는 '증감률'을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원 A의 경우 2사분기의 증감계수 1.0은 100%의 증가율, 3, 4분기의 증감계수 0.5와 -0.5는 각각 50%의 증가율과 50%의 감소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보통 증감률이 10% 내외인 경우 그 비율을 단순총합하여 전체 변화율을 구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증감률이 매우 큰 경우에는 단순총합으로 전체 변화율을 구할 경우 오차가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연속된 증가율'은 10% 내외의 작은 비율에만 사용하여야 하고, 이와 같이 큰 비율의 경우 증감률을 직접 적용하여 해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