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한국추리문학연구회
 
 
 
 

최근 댓글 보기

 
 
카페 게시글
수다방 <EBS 다큐10+> 과학수사의 함정
애꾸눈잭(정석화) 추천 0 조회 324 13.05.02 16:19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3.05.02 16:25

    첫댓글 저 역시 법과학에 대해 의문을 가졌던 사람이기에 이 다큐를 관심있게 보았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꼭 보시길.

  • 13.05.02 22:32

    csi 뉴욕, 라스베가스편 보고 가장 완벽한 수사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였다니 충격!

  • 13.05.03 11:02

    좀 다른 얘기지만 증거를 조작하는 스토리도 많이 나오잖아요.
    글 읽고 보니, 지문도 비슷한 형태가 나올 수도 있을 거 같네요. 인구가 몇명인데...정말 황당했겠어요.~
    확실한 건 DNA뿐인군요

  • 13.05.03 11:27

    글에 나온 폭탄테러범이랑 무고한 사람은 오래 전에 헤어진 형제가 아니였을지, 이제서야 밝혀진 출생의 비밀?

  • 13.05.03 17:06

    전 한번씩 저희 회사 출퇴근 지문인식기가 있거든요. 다른 용지 등에 제 지문을 미리 찍어놓고 다른 직원에게 대출(?)을 부탁하는 생각을 매일 하는데요... 몇 번 시행착오 거치면 될 것도 같아요...

  • 13.05.03 20:34

    현대 추리물을 쓰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가 과학수사의 범위를 어디까지 적용할 것인가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소설을 쓰는 입장에서는 생각하기에 따라 반가운(!)소식이려나요.

  • 13.05.03 23:31

    예전에 쓰인 추리소설의 트릭을 굳이 추리를 하지 않아도 현대의 과학수사로 알아낼 수 있는 경우도 있죠. 그래서 탐정의 일거리가 많이 줄었다는

  • 13.05.04 14:28

    프로그램을 보지 않았지만 NIJ 보고서에 대한 내용과 Innocent project에 관한 내용을 다룬 것 같군요. 지문 인식기와 AFIS(auto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은 다릅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에서 제기한 문제점 때문에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지요. 지금은 미국이나 한국도 프로그램에서 다룬 문제점에 대해서는 상당히 보완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머 적용범위에 대해서는 과학적 발전과 같이 물려들어간다고 보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과학수사도 상당히 많은 부분 스토리 텔링과 가설과 추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을 범죄의 재구성이라고 하는데 프로파일링이라는 것과 매치되는 부분도 상당히 많습니다.

  • 13.05.04 14:30

    미드 CSI의 경우는 거기 나온 기법들에 대해서든 대부분 구현은 가능합니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죠. 시간나면 프로그램을 보겠지만 어떤 특이 내용이 있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 13.05.04 21:54

    당장 챙겨봐야 겠네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