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1. 2022년도 전국의 개인병원(상위 5개)(단위: 개소)
지역개소전국서울경기부산대구인천
34,958 |
9,467(27.1%) |
7,829(22.4%) |
2,562(7.3%) |
1,924(5.5%) |
1,725(4.9%) |
주 1) 전국적으로 요양기관으로 분류되는 치과와 한의원이 개인병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차지하나 통계상 치과와 한의원은 요양기관으로 분류되어 이 분석에서 제외함
2) 통계상 개인병원은 ‘의원’으로 분류
3) 통계상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은 ‘전문과목 미표시 전문의’로 분류
자료: 「건강보험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2. 2022년도 시도별 1,000명당 개인병원 수 (단위: %, 개소)
시도개소전국서울대구대전부산광주제주전북인천충북경기울산세종전남경남강원충남경북
0.68 |
1.00 |
0.82 |
0.78 |
0.77 |
0.72 |
0.71 |
0.68 |
0.58 |
0.58 |
0.58 |
0.56 |
0.56 |
0.53 |
0.52 |
0.52 |
0.52 |
0.50 |
주 1) 전국적으로 요양기관으로 분류되는 치과와 한의원이 개인병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차지하나 통계상 치과와 한의원은 요양기관으로 분류되어 이 분석에서 제외함
2) 통계상 개인병원은 ‘의원’으로 분류
3) 통계상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은 ‘전문과목 미표시 전문의’로 분류
자료: 「건강보험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3. 2022년도 서울시 개인병원 현황(상위 15개)(단위: %)
개인병원비율진료과목 불특정 병원내과일반의이비인후과정형외과성형외과정신건강의학과피부과안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마취통증의학과비뇨의학과외과가정의학과
18.4 |
12.9 |
8.3 |
7.2 |
6.7 |
6.6 |
5.6 |
5.6 |
4.9 |
4.8 |
4.2 |
3.4 |
2.7 |
2.4 |
2.2 |
주 1) 전국적으로 요양기관으로 분류되는 치과와 한의원이 개인병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차지하나 통계상 치과와 한의원은 요양기관으로 분류되어 이 분석에서 제외함
2) 통계상 개인병원은 ‘의원’으로 분류
3) 통계상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은 ‘전문과목 미표시 전문의’로 분류
자료: 「건강보험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4. 연도별 전국과 서울의 진료과목 불특정 개인병원 수 (단위: 개소)
연도전국서울201720182019202020212022
5,674 | 1,581 |
5,781 | 1,608 |
5,857 | 1,614 |
5,937 | 1,642 |
6,097 | 1,700 |
6,277 | 1,743 |
주 1) 전국적으로 요양기관으로 분류되는 치과와 한의원이 개인병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차지하나 통계상 치과와 한의원은 요양기관으로 분류되어 이 분석에서 제외함
2) 통계상 개인병원은 ‘의원’으로 분류
3) 통계상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은 ‘전문과목 미표시 전문의’로 분류
자료: 「건강보험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5. 2022년도 진료과목 불특정 개인병원 구성 (상위 10개) (단위: %)
전문과목개소가정의학과산부인과외과비뇨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소아청소년과정신건강의학과흉부외과이비인후과응급의학과기타
38.5 |
12.6 |
11.2 |
7.5 |
4.6 |
3.8 |
3.4 |
2.5 |
2.1 |
2.0 |
11.7 |
주 1) 전국적으로 요양기관으로 분류되는 치과와 한의원이 개인병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차지하나 통계상 치과와 한의원은 요양기관으로 분류되어 이 분석에서 제외함
2) 통계상 개인병원은 ‘의원’으로 분류
3) 통계상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은 ‘전문과목 미표시 전문의’로 분류
자료: 「건강보험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6. 2017년도 대비 2022년도 개인병원 수 및 증감률(상위 10개 구) (단위: 개소, %)
구20172022증감률서초구용산구강서구강남구영등포구성동구송파구강동구금천구중구
598 | 780 | 30.4 |
121 | 157 | 29.8 |
357 | 456 | 27.7 |
1,518 | 1,835 | 20.9 |
318 | 382 | 20.1 |
197 | 236 | 19.8 |
510 | 608 | 19.2 |
343 | 407 | 18.7 |
142 | 164 | 15.5 |
227 | 262 | 15.4 |
주 1) 전국적으로 요양기관으로 분류되는 치과와 한의원이 개인병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차지하나 통계상 치과와 한의원은 요양기관으로 분류되어 이 분석에서 제외함
2) 통계상 개인병원은 ‘의원’으로 분류
3) 통계상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은 ‘전문과목 미표시 전문의’로 분류
자료: 「건강보험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7년 대비 가장 많이 늘어난 진료과목은 정신건강의학과, 줄어든 진료과목은 소아과
표7. 2017년 대비 2022년 서울시 표시과목별 개인병원 증감률 (단위: %)
개인병원증감률정신건강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흉부외과신경외과재활의학과정형외과성형외과신경과일반의내과피부과외과진료과목 불특정 병원비뇨의학과안과이빈인후과가정의학과산부인과영상의학과소아청소년과
76.8 |
41.2 |
37.5 |
37.2 |
36.0 |
29.8 |
29.7 |
22.0 |
20.4 |
17.1 |
13.9 |
13.2 |
10.2 |
10.2 |
9.6 |
5.7 |
3.5 |
2.2 |
-2.4 |
-12.5 |
주 1) 전국적으로 요양기관으로 분류되는 치과와 한의원이 개인병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차지하나 통계상 치과와 한의원은 요양기관으로 분류되어 이 분석에서 제외함
2) 통계상 개인병원은 ‘의원’으로 분류
3) 통계상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은 ‘전문과목 미표시 전문의’로 분류
자료: 「건강보험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