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ing in English in Hong Kong 
The cat got your mother tongue?
광동어는 이제 사용하지 않을것인가?
The Brits make a linguistic comeback
IT WAS an admission of cultural defeat; but then Hong Kong is nothing if not pragmatic about such things. On June 6th its education minister, Michael Suen Ming-yeung, lifted restrictions that forced four-fifths of the territory's more than 500 secondary schools to teach in the “mother tongue”, ie, Cantonese, the main language of its residents and of southern China. Schools may switch to English, the language of the former colonial oppressor, from next year. 그것은 문화적 패배를 인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실적 문제에 홍콩이 현실적이지 않다면 아마도 홍콩은 아무것도 아닌 존제이리라. 유월 육일 홍콩의 교육부장관이 규제를 전면 철패했다. 그 규제는 지금까지 그지역 500개 중고등학교중 4/5에 해당하는 학교들이 홍콩과 중국 남부 주민들의 제1언어인 광둥어로 교육을 해왔다. 그러나 곧 학교들이 영어로 전환하게 될것이다.
 
This reverses a decade-old policy adopted after Hong Kong's reversion to China in 1997, in an assertion of independence from both former and present sovereign powers. Emotion may have played a large role in the decision. But it made some sense. Students speak Cantonese at home, and so using it is the easiest way to impart information and promote discussion. It is also the first language of most teachers: a study done at the time concluded that schools labelled “English-medium” were actually teaching in Cantonese but using English-language textbooks (with predictably chaotic results). 이번 조치는 중국과  과거 홍콩의 지배국이었던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성을 주장하며, 1977년 홍콩의 중국 반환당이후 채택한 십년간의 정책을 뒤집는 조치이다. 감정적인 측면이 이번 결정에 큰 역할을 했었을것이다. 그러나 타당성이 있다. 학생들은 집에서는 광둥어를 사용한다, 광둥어가 정보 전달과 토론에 가장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이 제1언어이기도 하다, 당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영어사용을 표방한 학교들의 경우 실제 수업은 광둥어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영어로 쓰인 교재를 사용한것으로 나타났다.
 
After much bureaucratic shuffling, 20% of schools were permitted to continue teaching in English. That may have made sense to teachers and administrators, but not to ambitious parents. They know that their offspring will need English to get ahead. Those who could flee the public system for costly private schools, or for the eight semi-private schools run on the British system, did so. The rest made extraordinary efforts to enter the minority of English-language schools. They have huge waiting lists; Cantonese ones gaping holes. 관료주의적 문제들의 상당 논의를 겪은 후 20%의 학교들이 영어 수업을 계속하도록 허가를 받았다. 교사나 교육당국을 납득시킬만한 조치였지만, 교육열이 높은 학부모들의 경우는 아니었다. 학부모들은 자신들의 자녀들이 앞서 나가기위서선 영어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공교육 체제를 벗어나 값비싼 사립학교나 영국식 체제의 8개의 준사립 학교들을 이용할 능력이 되는 학생들은 실제 학교들 옮겼다. 그렇지 못한 경우는 엄청난 노려을 기울여 몇 안되는 영어교육학교들에 입학을 했다. 대기인의 수가 엄청나고 광둥어사용 학교는 많은 공석이 생기고 있다.
 
That helps explain Mr Suen's change of heart, for which no reason was given. So does a survey published last year, which concluded that students from the Cantonese schools did far worse than their peers in getting into universities—a result that would horrify Hong Kong's achievement-obsessed parents. And whatever the educators think, employers from coffee bars to banks either require people to be bilingual or pay more to those who are. Private schools offering supplementary English tuition have mushroomed. 
Hong Kong's slow-moving educational bureaucracy has devoted much thought to how English could be offered without harming other studies, and without sacrificing a generation of teachers with a vested interest in a system based on their first language. Mr Suen has skirted these difficult issues. A much-debated but still undisclosed formula will allow an increasing number of subjects to be taught in English. Every step is controversial. As China's most global city, Hong Kong needs skills in both English and Mandarin, or putonghua, China's common language. Pragmatists want Hong Kong to drop Cantonese entirely in favour of the two more broadly used languages. But that may demand a level of cultural indifference which even Hong Kong cannot muster. *교육부 장관이 실제 이유는 규제 철패의 이유는 정확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맘을 바꿔 조치를 취한 이유가 부분적으로 설명이 된다. 지난해 발표된 조사도 한 몫을 한다. 조사에 따르면 광동어 사용 학교 출신 학생들의 경우 대학 진학율이 상대적으로 훨씬 낮았다. 이 결과는 교육열이 높은 홍콩 학부모들을 크게 놀라게 했다. 교육당국의 생각이 어떻던, 실제 업체들은 커피가게 부터 은행에 이르기까지 채용시두개 언어 사용을 요구하거나 그런 사람들에게 더 많은 임금을 준다. 영어 보충 교수를 하는 사립학교들이 우후죽순격으로 늘어나고 있다. 홍콩의 늦장대응식의 교육당국이 많은 생각을 기울이는 부분은 어떻게 하면 다른 교과목에 피해를 덜주고 또 광둥어에 기반을 둔 교육체계에서 기득권을 갖고 있는 교사들을 희생하지 않고 영어 교육을 할것인가 이다. 장관은 이 어려운 문제들을 잘 검토해왔다.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아직 정확한 방법은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곧 많는 과목들의 영어수업이 허가될것이다. 각각의 단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중국 최고의 국제 도시로서 홍콩은 영어와 중국 공용어인 북경어를 모두 구사할 인재들이 필요하다. 실용주이자들은 홍콩이 광둥어를 완전히 배제하고 더 많이 사용되는 영어와 북경어를 사용하길 바람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문화적인 무관심(자신의 언어를 포기하는데 큰 감정적 충격을 받지않도로)이 필요하다. 아무리 홍콩이 국제화된 도시라고는 하지만 그러기는 힘들것이다.
	 					
	
	 
첫댓글 1977년 홍콩의 중국 반환당이후 => 1997년
수고하셨습니다. 기회가 되면 온라인 모임에서 뵈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