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톡톡] 현금인출기에서 입출금할 때 내는 수수료를 아까워하는 이들이 많다. 각 은행들은 인출기를 마련하고 유지하는 비용 등을 언급하며 수수료를 받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내 돈을 내 통장에 넣고 빼겠다는데 돈을 내야한다는 게 좀 불편하게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잘 찾아보면 수수료 면제를 강조한 상품이 적지 않다. 급여통장과 공과금통장과 같은 수시입출금식 예금상품이 그렇다. 수시입출금식 예금상품의 특징은 `저원가성 예금'이라는 특징이 있다. 정기예금처럼 1년 이상 돈을 묶어두는 상품은 돈을 오래 넣어두는 댓가로 은행이 꽤 높은 이자를 줘야 한다. 그러나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한 상품은 소비자가 이자를 받겠다는 욕구가 크지 않아 이자를 조금만 줘도 된다. 예금이자와 대출이자의 차이, 즉 예대마진으로 수익을 내는 은행으로서는 이자를 조금만 줘도 되는 수시입출금식 예금이 꼭 필요한 셈이다.
급여이체만 하면 우대금리에 수수료 면제
소비자도 이런 통장이 꼭 필요하다. 재테크를 잘 하려면 급여가 들어오는 통장, 돈을 모으는 저축 통장, 생활비나 용돈을 쓰는 소비 통장으로 나눠야 한다고 했다. 어차피 급여를 받자마자 저축통장과 소비통장으로 일정 금액을 뺀 뒤 아파트 관리비나 공과금 등 이체할 자금만 남겨놓는다. 따라서 높은 이자를 준다해도 별로 이익될 게 없으니 차라리 거래 수수료를 면제해주는 편이 낫다. 은행들은 이런 소비자를 대상으로 낮은 금리를 제공하는 대신 각종 수수료 면제 혜택을 주는 상품을 내놓는다.
KB국민은행에서 지난해 11월에 내놓은 'KB★Story통장'이 대표적인 수시입출금식 예금상품이다. 기본금리는 연 0.1%에 불과하지만 수수료 면제 서비스가 있다. 매월 통장에서 급여 이체, 가맹점 대금 입금, 연금 수령, 신용카드 결제, 아파트 관리비 이체 같은 은행 거래 실적이 발생하면 항목당 1~2개 포인트를 제공한다. 대학교 입학이나 취업, 결혼, 자녀 출생,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주택 구입, 퇴직, 해외유학처럼 인생의 중요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도 스토리 포인트를 5점 받는다. 획득한 포인트 개수에 따라 수수료 면제와 금리 우대 서비스를 받는다.
우대 금리는 결산일 전월 말일 기준, 최근 6개월 동안 얻은 스토리 포인트가 30개 이상이면 100만 원 이하 금액에 대해 연 2%의 우대 이율을 제공하고, 20~29개면 연 1%의 우대 이율을 제공받는다.
아파트관리비 자동이체 등에도 혜택
외환은행은 '힘내라! 직장인 우대통장'을 선보였다. 만 18세 이상 35세 이하 고객이 급여 이체 실적 요건을 충족하면 혜택이 주어진다. 매 분기 결산을 거쳐 과거 3개월 이내 월 50만 원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2개월 이상 있다면 우대 금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평균 잔액이 300만 원이면 100만 원 미만까지는 연 2.5%, 100만 원 이상부터 200만 원 미만까지는 연 1.0%, 200만 원 이상에 대해서는 기본금리가 지급된다. 월 50만 원 이상의 급여 이체 실적이 있다면 △전자금융(인터넷, 모바일, 텔레뱅킹 포함) △외환은행 CDㆍATM을 통한 다른 은행으로의 자금 이체 △영업시간 종료 후 출금 △다른 은행 CDㆍATM을 이용해 출금할 경우에도 횟수에 제한 없이 수수료가 면제된다.
우리은행은 기존 신세대 통장을 업그레이드한 신세대 플러스 통장을 내놨다. '우리 신세대플러스 통장'은 만 18세 이상 만 30세 이하 신세대 고객을 위한 입출식 통장 상품이다. 우리체크카드를 월 1회 이상 사용하거나 매월 적립식 상품으로 10만 원 이상 자동이체하면 100만 원 이하 잔액에 대해 연 2.0% 금리와 인터넷뱅킹 및 당행 자동화기기 이용 수수료 월 10회 면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 취업 후 이 통장으로 급여를 이체하면, 타행 자동화기기 인출 수수료 매월 5회 면제 혜택과 함께 적금 가입 때 적금 금리를 연 0.2%포인트 우대 적용하는 금리 서비스를 1회에 한해 제공받는다.
우리은행은 또 아파트 관리비 자동이체 때 금리와 수수료 혜택을 주는 관리비 전용 통장도 선보였다. 이 상품은 매월 납부할 관리비를 통장에 입금해 두면 납부기일에 아파트관리사무소로 자동 납부하는 입출식 통장이다. 매일 잔액 100만 원 이하에 대해 연 0.5%의 금리를 적용하며 전자금융 이체 수수료와 우리은행 자동화기기 이용 수수료가 월 25회 면제된다. 신한은행은 고객이 생활비 관리를 하도록 유도하는 '신한 가계부(富) 통장'을 판매하고 있다. 최근 고객들이 수수료 절약 및 생활비 줄이기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에 착안했다.
수수료 면제를 내세워 특정 고객군을 노린 상품도 많이 나왔다. 기업은행 'IBK맛집통장'은 음식업 사업자에게 특화한 통장이다. 통장 월평균 잔액이 30만 원 이상이면서 BC카드 가맹점 대금 입금실적이 있거나, BC카드 가맹점 대금을 월 300만 원 이상 수령하면 타행 자동화기기 출금 수수료와 기업은행 자동화기기 이용 수수료, 전자금융 수수료 등을 면제받는다. 우리은행 '우리동네사장님대출'과 '우리동네어린이집대출'은 골목상권 자영업자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한 금융상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