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2년 전북 익산 왕궁리 유적에서 길이 26~30cm크기의 의문의 나무막대 6점이 발견된다.
왕궁리 유적은 남북 490 여m, 동서 240여m 규모의 장방형 석축 성벽 안을 대상으로 1989년부터 현재까지 발굴 조사가 진행 중으로 조사 결과 백제 무왕(600~641)대 왕궁이 있었음이 밝혀진 곳이다.
학계에서는 이 반질반질한 표면의 길쭉한 막대의 용도를 밝히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다가 지난 2004년 1월 이 막대가 사실은 백제 사람들이 대변을 본 후 뒤처리를 하는 데 사용한 도구인 측주(厠籌)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나무막대는 당시 좁고 기다란 모습의 한 구덩이에서 발견됐다. 학계는 2004년까지 구덩이와 나무막대의 존재를 연결 짓지 못했다.
그러다가 2004년 1월 토양 분석 결과 구덩이에서 기생충 알 등이 확인되면서 이 구덩이가 백제 시대 화장실터였음이 드러났다.
구덩이의 정체가 밝혀지면서 이 막대기의 정체도 '화장실'과 관계가 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학계에서는 종이를 구하기 힘들었던 백제시기에 화장실에서 이 도구를 이용해 뒤처리를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왕궁리 유적지에서는 이 구덩이 외에도 공동화장실 2기가 발견됐다.
이 화장실은 깊이 1.5~3.1m 구덩이에 일정 기간 배설물을 저장했다가, 일정한 높이까지 차오르면 뒷간 수로와 인접한 대형 배수로를 거쳐 궁성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계돼 있다.
이는 오늘날의 정화조와 같은 원리여서 더욱 놀랍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