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날 옛적 한 여인이 용인으로 시집가서 아들 하나 낳아 잘 살다가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진천으로 개가, 진천에서도 아들 하나를 더 낳고 ‘잘 먹고 잘 살았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성장한 용인의 아들이 진천의 어머니를 용인에서 모시겠다고 했다. 진천의 아들이 극구 반대하자 결국은 관가의 판결을 받기로 했다. 관가의 판결이 “너희 어머니가 살아 계시는 동안에는 진천에서 모시고 돌아가시면 용인에 모셔다 제사도 지내도록 하라(生居鎭川 死居龍仁 생거진천 사거용인)”는 얘기는 다 아는 얘기일 터.
또 하나 믿거나 말거나로 전해오는 이야기. 옛날에 진천과 용인에 ‘추천석’이라는 동명이인(同名異人)이 살고 있었다. 농사를 짓고 살던 진천의 추천석은 매우 착한 사람이었다. 반면, 용인에 살던 추천석은 부자로 살면서도 심술이 많아 동네사람들을 못살게 굴었다고 한다. 염라대왕이 용인의 추천석을 괘씸하게 여겨 사자(使者)로 하여금 잡아오도록 했다. 그런데 사자의 실수로 진천의 추천석을 데려갔다. 이를 알게 된 염라대왕이 이번에는 용인의 추천석을 잡아들이고는 그 몸에다 이미 장례까지 치른 진천 추천석의 영혼을 불어 넣고는 환생을 시켰다는 것이다.
그래서 진천의 추천석은 살아서 진천, 죽어서는 용인에서 다시 살게 되었다는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이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로 용인분들이 언짢아할 필요는 없겠다. 이 이야기는 어디까지나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일 뿐, 풍수지리와는 관계가 없다. 용인은 산세가 순후하여 사대부가의 묘소가 많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사거용인(死居龍仁)에 연계시킬 곳이 아니다. 현실은, ‘세계 최고 선진 용인’을 표방하고 있는 거대 도시가 되어 날로 도약하고 있다.
진천은 생거진천(生居鎭川)의 ‘생거(生居)’를 특허청 등록 고유 브랜드로 삼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사는 고을’을 지향하고 있다. 진천은 평야가 넓고 토지가 비옥하여 산물이 풍성하다. 한해와 수해가 별로 없어 농업경영이 순조롭고 인심마저 넉넉하다.
곡간에서 인심 난다고 했던가. 1932년에 만든 진천군의 역사책 상산지(常山誌) 토산(土産)편에는 조선시대 진천에서는 연간 6만여 석의 쌀을 수확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의 전국 통계는 단보당 평균 수확량이 9말 3되였다는데, 진천은 11말 5되를 수확, 곡향(穀鄕)으로서 크게 명성을 떨쳤다는 것이다. 그리고 동국여지승람의 고적조(古蹟條)에는 조선 중종조(1506-1544) 이전부터 관개용 저수지를 만들어 활용했다는 기록도 있다.
조선왕실 보양식 붕어찜 천국
단골집
-
두대산(일명 두타산) 자락 초평호 물가로 가본다. 전국적인 유명 낚시터로 크게 알려져 있는 아름다운 호수 초평호 주변에는 ‘붕어찜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이곳은 붕어찜을 전문으로 차려내는 19개 업소가 산재해 있는 붕어찜 천국이다.
붕어찜은 오래 전부터 내려오는 보양식 중 하나다. 조선조 때 왕명의 출납(出納)을 맡아 보던 관청 승정원(承政院)의 승정원일기 등 왕실 기록에는 왕실의 보양식으로 붕어찜이 나온다. 왕실의 보양식이라고 하면 특별한 음식으로 알기 쉽지만, 사실은 특이하거나 구하기 힘든 음식들만은 아니었다고 한다.
이것은 조선 왕실의 절제된 음식문화를 보여주는 한 단면이기도 한데, 인조, 영조, 효종 때 이 붕어찜에 대한 기록이 여러 번 나오고, 나중에는 민간에도 널리 퍼졌다는 것이다.
1881년(고종 18년)에 간행된 부녀자의 생활지침을 위한 순 한글판 사전 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붕어찜에 관한 내용이 소상하게 소개되어 있기도 하다. 조선조 17대 임금 효종 즉위년(1649년)에는 신하들이 중전에게 보양을 위해 붕어찜을 권하면서 ‘붕어찜은 비위를 보하고 원기를 회복시키는 성약(聖藥)’으로까지 치켜세우기도 했다.
좋은 음식은 보약이나 마찬가지라는 뜻인‘의식동원(醫食同源)’이라는 말처럼 우리 주변에는 보약이나 마찬가지인 좋은 음식이 많다. 붕어찜도 이러한 음식 중 하나인데 하산길에서 조선의 한 임금이라도 된 기분으로 이런 음식을 쉽게 먹을 수 있다는 것은 산행의 큰 즐거움이겠다.
초평호는 광복 후 축조된 저수지인데, 1985년 새롭게 증설되면서 낚시터로 크게 각광을 받게 되자 낚시꾼들이 몰려 왔고, 마을에서는 이들에게 먹거리를 제공하게 된 것이 붕어찜마을이 형성된 내력이라고 한다. 그래서 당시에 이곳에서 살던 분들이 자신의 집으로 개점한 집들은 모두가 원조임을 강조하고 있다.
‘단골집(043-532-6171)’은 제2대 업주 황근철(46)-연금자(40)씨 내외가 대를 이은 붕어찜의 본가로 그 명성이 외지로 널리 알려져 있는 충북도에서 지정한 ‘대물림 업소’다. 진천군에서 지정한 향토맛집으로 충청북도에서 주관한 향토음식경연대회에 붕어찜을 출품, 수상한 것을 큰 자랑으로 내세우고 있다.
붕어찜이 대표음식이지만 메기찜과 각종 매운탕도 차려낸다. 특히 충북 영동이나 충남 금산, 금강변 물가의 업소에서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소문이 난 도리뱅뱅이도 식탁에 올라온다. 도리뱅뱅이란 이름은 피라미나 빙어를 프라이팬에 동그랗게 돌려서 요리한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피라미나 빙어를 깨끗이 손질하여 프라이팬에 가지런히 놓는다.
그 위에 기름을 넉넉히 붓고 바싹 튀긴 다음에 기름을 따라낸다. 튀긴 고기 위에 고추장, 물엿, 파, 마늘, 설탕, 참기름 등 갖은 양념을 섞어 살짝 조리면 훌륭한 요리가 된다. 쟁반 위에 옮겨 담은 뒤 붉은 고추로 장식을 하면서 멋을 부릴 수도 있다. 단백질 성분이 많고 칼슘 보충에 좋은 음식으로 민물고기의 비린내도 나지 않는다. 술안주 특히 맥주 안주로 대단한 인기다.
붕어찜 12,000~15,000원, 도리뱅뱅이 15,000~20,000원. 주차공간이 넉넉하다. 충북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 513-20. 산행 후 많은 사람들이 붕어찜마을을 하산지점으로 택하는데, 이곳이 초평지가 아름답게 내려다보이는 화산리다.
무항생제 축산물 전국 최초인증 명품한우
자연의 약속
-
두타산은 증평과 진천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하지만 증평의 산꾼들이 주로 선택하는 산행 나들목은 진천땅이라고 한다. 증평쪽 산자락에는 먹거리집이 없다. 증평군은 32,000명의 인구로 증평읍과 도안면 1개읍 1개면의 초미니 행정단위의 군(郡)이지만, 산악단체는 충북산악연맹에 가맹한 단체만도 증평산악회(회장 이인진)와 삼보산악회(회장 이종진) 두 개나 된다.
그만큼 증평사람들의 산에 대한 열정은 대단하다는 것이다. 정회원 110명이라는 증평산악회의 경우 정례산행 때는 통상 가족들까지 합하여 180여 명이 참가한다고 했다.
비록 산자락에는 먹거리집이 없지만 증평읍내 초중리 36번 국도변에는 순수 국내산 고품질 축산물만 판매하는 멋진 식당이 있다. 괴산증평축협(지점장 서덕제)이 직영하는 ‘자연의 약속(043-838-3939)’이 바로 이 업소다.
이 업소에서는 괴산 명품한우 브랜드 ‘자연의 약속’과 국내산 1등급 이상의 돼지고기 ‘사미랑 홍삼포크’를 먹을 수 있다. 괴산 명품한우 ‘자연의 약속’브랜드는 지난해 가을 전국 최초로 국립농산물 무항생제 축산물(한우) 인증(인증번호 제12-09-5-01호)을 취득했다.
괴산의 33명산과 남한강 최상류 천혜의 청정지역에서 사육기간 동안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친환경 한우고기 ‘자연의 약속’이 개별농가가 아닌 브랜드 단위로 정부로부터 인증을 받았다는 점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증평군청, 증평양돈협회, 충북대 농업생명과학연구소가 기술제휴로 생산하는 ‘사미랑 홍삼포크’ 역시 소비자들에게 높은 신뢰감을 주는 안심 축산물이다.
한우영양국밥(점심 특선) 6,000원, 한우뚝배기 불고기 7,000원, 특제 꽃갈비살(180g) 34,000원, 한우한마리(600g·등심 채끝 안심 차돌박이 양지 등 기본반찬) 43,000원. 120평 넓은 공간에 150석의 산뜻한 분위기에 100대 동시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