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하 시인의 세 번 째 시집 『악의 평범성』
인터넷 서점에서 서핑을 하다가 갑자기 눈에 들어온 시인이 있었다. 이산하 시인은 수배 중이던 1987년 제주 4·3 사건을 다룬 시 ‘한라산’을 발표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고. 석방된 후에도 오랜 기간 절필한 채 시민운동을 하다가 이번에 『악의 평범성』을 내었다.
무엇보다고 그를 이야기하기 전에 제주 4.3사건을 먼저 생각해봐야 한다.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에는 강한 피 바람이 불었다. 사건의 희생자는 공식적으로 1만4532명 대부분이 무고한 제주도민이었다. 정부는 제주도민을 공산주의자로 몰았고 사건을 은폐하려고 했지만,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는 없었다.
정부의 조사결과 제주 4.3 사건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되었고, 대통령도 제주 4.3 사태에 대해 추도했고, 모든 진실이 밝혀져 한이 풀린 것 같지만 사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진실은 밝혀졌지만, 아직도 여기 적기에서 발견되는 유골은 공식적인 발표를 넘어선 제주 도민들의 죽음이 여기 저기에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이산해 시인은 목숨을 걸고 ‘한라산’을 썼다. 진실을 밝혀야 하는 것이 문인들의 일이다. 정권의 하수인이 되는 문인은 문인이 아니다. 지금까지 보아온 바에 의하면 개각을 할 때마다 문인들이 정권에 들어가 정권의 맛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잘못하면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필자가 맣하는 것은 글이 아닌 정권의 힘을 말하는 것이다.
악의 평범성1
“광주 수산시장의 대어들”
“육질이 빨간 게 확실하네요.”
“거즈 덮어 놓았습니다.”
“에미야, 홍어 좀 밖에 널어라.”
1980년 5월 광주에서 학살된 여러 시신들 사진과 함께
어느 인터넷 사이트에 올라 있는 글이다.
“우리 세월호 아이들이 하늘의 별이 된 게 아니라
진도 명물 꽃게밥이 되어 꽃게가 아주 탱글탱글
알도 꽉 차 있답니다~.”
요리 전의 통통한 꽃게 사진과 함께
페이스북에 올라있는 글이다.
이 포스팅에 ‘좋아요’는 500여 개이고
감탄하고 부러워하는 댓글은 무려 1500개가 넘었다.
‘좋아요’보다 댓글이 더 많은 경우는 흔치 않다.
사진을 올리고 글을 쓰고 환호한 사람들은
모두 한 번쯤 내 옷깃을 스쳤을 우리 이웃이다.
문득 영화 ‘살인의 추억’ 마지막 장면에서
비로소 범인을 찾은 듯 관객들을 꿰뚫어보는
송강호의 날카로운 눈빛이 떠오른다.
범인은 객석에도 숨어 있고 우리집에도 숨어 있지만
가장 보이지 않는 범인은 내 안의 또다른 나이다.
현대사에 가장 큰 아픔을 주고 있는 것이 제주4.3사건과, 광주민주화 운동 그리고 몇 년전에 발생한 세월호사건 그리고 광화문 촛불이라고 생각한다. 광주민주화운동도 수 많은 광주시민들이 학살을 당했지만 그 중심에 서 있는 사람은 진정한 사과 한 마디 없다. 세월호사건은 지난 정부의 치부를 드러낸 대표적인 사건이었고 대통형은 감옥에서 그녀의 삶을 살고 있다.
광화문 촛불의 경우는 어떠한가? 사실 국민의 여망으로 촛불이 밝혀졌고 그 힘으로 현 정부가 들어셨다. 그렇지만 며칠 전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선거에서 현 정부가 이끄는 정당이 대패하였고 초선 위원들이 5적이 될지 몰라도 반성문을 썼다. 누군가 현 정부를 ‘내로남불’의 전형이라고 말한다. 바로 초선위원이 이것을 꼬집기도 하였다.
동백꽃
내가 태어나 처음 받은 저자 사인본은
고교 시절 법정스님이 직접 준 ‘무소유’였다.
그때 순천 조계산 중턱의 불일암 사립문 옆에는
작은 가지에 붉은 동백꽃들이 피어 있었다.
“지리산에서 내려온 물이 화개에서 섬진강을 만나는데
강폭이 좁아져 소용돌이치는 지점을 여울이라고 하지.
그런데 그 여울이 가장 격렬하게 소용돌이 칠 때가
햇빛이 가장 찬란하게 빛난다네.
문득 햇빛에 부서지는 그 찬란한 순간이 바로
백척간두에서 한 발 내딛는 순간이라는 생각이 들었지.
대하장강이 파란만장한 우리의 현대사라면
여울은 피와 뼈가 가장 많이 묻힌 통곡의 현장이겠지.
몇 해 전에 떠난 젊은이들도 거기 묻혀 있을 테고.”
다가올 듯 다가올 듯 멀어져가는 얘기들을 엿들은 것 같았다.
그러나 스님의 살얼음 같은 은유들이
스님의 무덤 같은 눈물에 압도되었던 것만큼은 확실했다.
얼마 전 서초동에서 오래 전 동시에 떨어진
8개의 동백꽃들이 호명되었다.
"피고 도예종, 서도원, 하재완, 이수병, 김용원
송상진, 우홍선, 여정남에 대해 판결한다.
원심을 모두 파기하고 피고들 전원무죄를 선고한다."
고교 때 언뜻 본 그 동백꽃들의 의미를 나는
30여 년이 지나서야 깨달았고
스님이 숨지기 전 마지막으로 본 꽃도 그 동백이었다.
강
모난 돌과 바위에
부딪혀 다치는 것보다
같은 물에 생채기
나는 게 더 두려워
강물은 저토록
돌고 도는 것이다.
바다에 처음 닿는
강물의 속살처럼 긴장하며
나는 그토록
아프고 아픈 것이다.
인생목록
흙으로 돌아가기 전
눈물 외에는
모두 반납해야 한다는
어느 노승의 방
구름 같은 이불
빗방울 같은 베개
바람 같은 승복
눈물 같은 숟가락
바다 같은 찻잔
낙엽 같은 경전
그리고
마주 보는 백척간두 같은
두 개의 젓가락과
허공의 바닥을 두드리는
낡은 지팡이 하나...
추모
죽은 자 여럿이
산 자 하나를
따라가고 있다.
빈틈
꽃이 나무의 상처라면
열매는 그 상처가 아문
생의 유일한 빈틈이다
난 지금
봄에 몸이 마르는 슬픔을
지독하게 겪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