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건강지킴이 멀티치유 원문보기 글쓴이: 멀티치유
뇌간출혈마비 멀티치유사례
지난 9월 중순 봄학기 수료하신 분 소개로 아름다운 여성분이 방문했습니다. 40대 후반정도로 보이는데 61세라 하여 깜짝놀랐습니다.
동양화가이시며 개인전준비 중에 뇌간(숨골)출혈로 인해 얼굴왼쪽과 팔,손,발 마비가 왔다는 것이였습니다.
뇌간은 뇌와 몸을 연결해주는 핵심통로로서 무게는 약200g 크기는 어른엄지손가락만하지만 '생명의 자리'라 불리웁니다. 뇌간(숨골)은 생명에 직접관계 되는 폐와 심장,혈관의 운동을 지배하는 곳으로 손상되면 의식불명,사망할 수 있으며 깨어나도 반신불수,마비 등 위험하며 그 위치가 두뇌 안쪽 미묘한 위치라 수술적 접근이 어려워 의사들도 수술을 꺼리는 부위이며 의료분쟁의 위험성이 많은 부위라 수술보다 약물치료를 권유하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이 아름답고 멋진 환우님의 상황은 선천성 혈관종으로 인한 출혈로 뇌간에 피가 고여있는 상태로 진단되었습니다만 병원에서 너무 위험하여 수술도 할 수없고 약물치료도 할 수없다는 한마디로 치료불가한 절망적인 상황이였습니다.
그러나 모든 것은 통선이 되면 되는 법~!
통선치유약법을 분법으로 자가치료하면서 mms요법을 병행하는 것을 제안하였고 너무나 열심히 하신 결과 꼭 한달만에 정상으로 돌아왔다며 기쁨과 감사의 문자메시지를 보내오셨습니다.
자가치유의 노력을 하시면서 보름동안 개인전을 성공리에 잘치렀다며 멋진 작품도 카톡으로 보내주셨답니다.
어제 저의 연구실로 방문하셔서 더욱 아름다워지시고 건강하신 모습으로 제게 감사의 말을 표하는데 저는 도리어 건강을 되찾으신 모습에 어찌나 감사하고 고마운지 ...
제가 하고있는 건강멘토역할에 가치와 큰보람을 느낄 수있었습니다.
이화백님 더욱 건강하세요 화이팅입니다!
멀티통선연구소장 신디
이화백님과 멋진 작품
뇌간구조 지식출처:
척수(脊髓)와 대뇌(大腦)를 연결하는 줄기 모양의 구조. 뇌 전체에서 좌우의 대뇌반구 및 소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간뇌·중뇌·교(橋)·연수를 합친 부분이다.아래쪽은 연수가 척수로 이어지고 대뇌반구의 심부에 있는 대뇌핵(大腦基底核이라고도 한다)은 간뇌의 바로 옆에 접해 있으므로 흔히 이것도 간뇌의 일부로 간주한다.따라서 뇌간이라는 말은 학문적으로는 애매한 편의상의 용어법이며, 학자에 따라서 포함시키는 범위가 약간씩 다르다.뇌간에는 수많은 회백질이나 백질이 뒤섞인 복잡한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대뇌반구나 소뇌·척수 등 각 부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므로 뇌 전체의 기능에서 뇌간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