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6월, 19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변산반도국립공원은 지질 암석의 교과서다. 중생대의 격렬한 화산활동에서 발생한 화산암류가 차가운 바다를 만나 압축되고 뒤틀려서 지금의 모습을 하고 있다. 변산반도는 크게 외변산과 내변산으로 나뉘며 해안 쪽에 접한 외변산은 기암절벽과 해식애가 도드라지고 채석강, 적벽강, 솔섬, 고사포해수욕장, 격포해수욕장 등 걸출한 명소가 즐비하다.
변산반도의 진풍경은 내변산이다. 내변산은 예로부터 피란처로 좋은 십승지 중 한 곳이다. 굵고 힘차게 뻗은 암릉은 없으나 깊은 계곡과 능선들은 구절양장처럼 불규칙하고 험하다. 과거 변산에는 실상사, 선계사, 청림사, 내소사의 4대 사찰이 있었는데 현재는 내소사만이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출처 : 월간산(http://san.chosun.com)
의상봉, 관음봉, 쌍선봉, 옥녀봉, 선인봉, 우금암, 쇠뿔바위봉, 갑남산 등 400m급 10여 개 암봉들이 내변산의 협곡을 이루고 있다. 최고봉인 의상봉(508m)에는 공군부대가 있어 관음봉(433m)이 실질적인 정상을 대신한다. 우열을 가릴 수 없는 봉우리들이 절경이다.
내변산은 직소폭포, 분옥담, 선녀탕으로 이어지는 봉래구곡을 비롯해 와룡소, 가마소, 굴바위 등 어디에나 물이 넘친다. 오랜 침식작용으로 좁고 기다란 골짜기와 절벽 지형이 많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백제부흥운동 세력이 신라와 당나라에 대항해 마지막 항전을 벌인 중심지이기도 하며, 구한말에는 의병, 격동기에는 빨치산들의 은신처였고 수많은 고승을 배출한 구도의 도량이기도 하다.
변산반도의 진또배기 내변산
누군가는 이곳을 생태계의 보고라 부른다.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유일한 다기능 공원인 변산반도국립공원에는 다른 지역에서 보기 힘든 다양한 종이 서식한다. 복수초와 함께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변산바람꽃을 비롯해 포유류 21종, 조류 95종, 곤충류 832종, 양서류는 11종, 파충류는 14종, 어류는 24종이 살고 있으며 관속식물은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을 포함하여 881종류가 분포한다.
천연기념물도 많다.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122호), 격포리 후박나무군락(123호), 중계리 꽝꽝나무군락(124호), 청림리 미선나무자생지(370호) 등이 있다. 변산마실길 해안에는 8~9월이면 멸종 2급 식물인 노란색 붉노랑상사화가 핀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엠블럼인 호랑가시나무도 볼 수 있다.
어수대를 산행 초입으로 잡아야 체력소모가 덜하다. 어수대는 부안댐의 발원지이며 ‘임금이 물을 마시는 장소’라는 뜻을 지닌다. 이곳에서 물을 마시다 경치에 반한 신라 ‘경순왕’이 3년이나 머물렀다고 전해진다. 작은 연못 정도의 크기이지만 주변의 경관만큼은 암벽이 띠를 두른 것처럼 웅장하다.
어수대에서 우슬재까지 20여 분만 오르고 나면 평지 수준의 능선길이 이어진다. 조망 또한 사방으로 터진다. 변산에 있는 바위들은 유문암 화산암류여서 노출된 표면이 잘게 부스러진다. 낭떠러지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으므로 지정된 등산로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좋다.
출처 : 월간산(http://san.chosun.com)
3월 정기산행 (시산제)
■산행지:전북 부안군 상서면(쇠뿔바위봉465m)
■산행코스
어수대입구–어수대-우슬재–비룡상천봉-성인봉-쇠뿔바위봉–지 장봉–새재-청림마을
■산행거리6.5㎞약4시간
■산행일자: 2025년 3월16일(셋째 일요일)
. 고도산악회 임원 현황
회 장 : 신재형(010-3682-9345)
부 회장 : 박영민(010-4901-0576)
남 총무 : 김정동 (010-3677-4077)
재 무 : 전명순(010-5880-0955)
안전이사: 최중기(010-3671-6773)
홍보이사: 심상묵(010-5048-8645)
홍보이사: 서도원(010-5895-2288)
후미등반대장: 김정태(010-3433-2399)
※.입금계좌번호:(농협) 351-1269-9864-33 익산고도산악회
산행비:35.000원 선 입금순으로 좌석배정 합니다
버스출발 정차시간
금마07시00분~기안아파트 맟은편07시10분
화물터미널 07시15분~(다사랑건너,고려정형외과 앞경유)삼성홈플러스앞07시20분
시청민원실07시25~고현교회 07시30분
모현도서관 건너 07시 33분
산행시주의사항
※산행대장이 산행을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하산을 요구하는 경우 하산하여야 한다.
※안내하는 등산로 이외의 등산로로 진입하지 않아야 합니다.
※성명.휴대폰번호를 정확히 전달하여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때 연락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산행 중에는 산행안내서를 반드시 소지하여야 한다.
※기타안내:본 고도산악회는 이익 단체가 아니므로 산행시 만일에대한
사고책임은 본인책임을 명시합니다
※산행 중에 발생하는 모든 사고와 지병 때문인 사고는 본인 책임이며,산악회에서는
일체 책임지지 않으며단지 산행안내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