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움과 친애의 두 진실에서>
친애하는 일본의 국민 여러분!
나는 대한민국의 총리도 국민 대표도 아닙니다.
布衣 書生에 지나지 않는 일개인이
이런 前置詞로 여러분을 부르는 것이 혹시 猥濫될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나는 20 몇 년이란 긴 세월을 貴國에서 자랐습니다.
우리나라 말로 '잔뼈가 굵어지도록―'
20 몇 년이라면
당신네들이 '終戰'이라고 부르고
우리가 소위 '解放'이라고 하던 1945년까지로 마감해서
내 생애의 거의 3분지 2에 해당합니다.
그렇게 긴 세월을 나는 귀국의 雨露에 자랐습니다.
내가 가진 변변치 못한 지식이나 교양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그 태반은 일본에서 얻어 온 것입니다.
'친애'란 말이 일편의 외교 辭令이 아닙니다.
진정 여러분에게 보낼 수 있는 내 마음의 인사입니다.
나는 3,4일 전에 어는 친구 집에서
30여 년이 지난 헌 기록 사진 몇 장을 보았습니다.
우리가 己未 운동이라고 부르는
이른바 大正 8년의 '독립 소요 사건' 때
당신네들 손에 학살당한 그 처참한 송장들의 사진을
내가 그날 처음 본 것은 아닙니다.
20여 년 전 토오쿄오 시모오찌아이(東京下落合)의
오끼노(沖野岩三郞)선생 댁 서재에서 본 것도
바로 이 사진이었습니다.
그러나 나무에다 주렁주렁 목을 달아 매어 죽인 그 사진을
그 날 다시 대했을 때
내 감정은 새로 한 번 설레었습니다.
'죽일 놈들 같으니 ― 이 죗값으로도 나라가 안 망하려고!'
그 때 내 입으로 복받쳐 나온 말이 이것입니다.
'倭賊'이니 '강도 일본'이니 하는 말로는 형용치 못 할,
더 한결 절실한 미움이 용솟음친 것을 고백합니다.
이 '미움'과 이 '친애'는
둘 다 에누리 없는 내 진실의 감정입니다.
이 서로 상반되고 모순된 두 감정을 그냥 그대로 전제해 두고
이 글 하나를 쓰자는 것입니다.
<선데이 매일의 기사>
지난해 가을 ---정확하게는 1950년 9월 10일호 [선데이 매일]지 卷頭에
<한국전선에 종군하여>란 좌담회 기사가 실렸던 것을
여러분은 기억하실 것입니다.
좌담회라기보다는
UP통신 특파원과 뉴스위크 副主筆의 대담―.
거기다 [선데이 매일]의 사원 하나가 진행을 겸해서 한 자리 끼었으니
이를테면 세 사람의 鼎談會라는 것이 옳을는지요.
鼎談이든 대담이든 그것은 별문제로 하고,
도대체 기사의 내용이란 것이 어마어마했습니다.
기탄없고 拙直한 점으로 보아 그 이상 바랄 수 없으리만치
한국의 약점을 찌른 명담이요, 快辯이었습니다.
도시니 촌락이니 할 것 없이 온통 구린내 천지란 이야기,
毒瓦斯는 없어도 구린내에 코가 떨어지지 않으려면
瓦斯마스크가 필요하다는 이야기,
길거리에서 보는 거러지며 浮浪兒들 이야기―
"무슨 죄를 졌기에 이런 나라를 위해서 전쟁까지 해 주어야 하느냐?"
"소련을 응징하는 것이 이번 전쟁의 목적이라면
차라리 이런 나라는 소련에 주어버리는 것이 더 효과적이 아니냐." 등등―,
정히 한국인의 심장에 비수를 겨누는
言言句句 대진리를 갈파한 珠玉의 警句들이었습니다.
<구린내 나는 나라의 출토작>
다시 한 번 친애하는 일본 국민 여러분!
내가 최근에 들은 바로는
[선데이 매일]의 발행 부수는 70만에서 80만을 상회한다 합니다.
대한민국으로는 상상치도 못할 방대한 부수입니다.
한 부를 다섯 사람이 읽었다 치더라도
400만에 가까운 이 숫자는
거의 일본의 독서 대중의 총량에 해당할 것입니다.
UP특파원과 뉴스위크 副主筆-
이 두 분의 외국 기자는 한국의 똥구멍을 털어서
그 적나라한 실상을
전 일본의 방방곡곡에다 소개하고 선전해 주었습니다.
거기 대해서 우리들은 정히 冷汗三斗일 뿐,
一言反辭의 對句가 있을 수 없습니다.
하물며 이것은
우리들이 역사의 은인이라고 부르는 미국의 언론인의 대담입니다.
그 기사의 책임을 여러분에게 돌릴 이유도 없거니와
그것을 여기서 추구하고 항변하자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가 오늘날 가졌다는 것은 가난한 것과 초라한 것뿐입니다.
어느 모로 따져 보아도
우리가 치켜들어서 남의 앞에 자랑할 것이 없습니다.
일찍이 남의 나라에까지 이식되던 우리들의 문화는
이미 낡은지 오래입니다.
그리고 그 문화의 대부분이
일본 ― 즉, 당신네들의 나라로 수출되었습니다.
새삼스런 이야기 같습니다마는
우리노(上野) 공원을 지나칠 때
여러분은 王仁 박사의 기념비를 자주 보실 것입니다.
일본에 처음으로 한문 문화를 이식한 우리 先人의 한 분입니다.
일본에 있어서 생활 문화의 기본이라고 할 '茶道'―,
지금도 일본의 餘裕層들은 비록 패전은 했다고 하나
그 다도를 숭상함이 예와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거기 쓰이는 그릇(茶碗)들은 좀 값나고 귀한 것이라면
대개로 이 '구린내 나는 나라'의 출토품들입니다.
지나간 옛 문화가 아무리 찬란했기로서니
그것으로 오늘날의 우리의 처지를 호도할 구실은 못됩니다.
'소로구―프'(러시아의 상징파시인 1863-1928)에
이런 우화가 있습니다.
동물들의 자격 심사회인데
그 몇 번째 차례에 거위가 나왔습니다.
심사관이 묻습니다.
"자네 공적은 무언가?"
"네, 제8대조 할아버지가
트로이 전쟁 때 城을 넘어오는 적병을 맨 처음 발견했지요.
그래서 하마터면 위태할 뻔한 城을 구해냈답니다. 유명한 이야기이지요."
"그건 자네 8代祖 이야기가 아닌가. 자네 공적이 무언가 말이야."
"제 공적이 무어냐고요? 제가 바로 그 8대조 할아버지의 8代孫이지요."
"글쎄 이 사람아,
트로이 전쟁은 트로이 전쟁이고 자네는 대체 무엇을 했더냐 말이다."
"온, 참, 말귀도 못 알아들으시네.
제가 바로 트로이 전쟁에 공훈을 세운 그 거위의 8대 直孫이라니까요."
우리는 비록 구린내 나는 나라의 族屬이라고 하나
이 거위의 '난센스'를 되풀이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新羅니 高句麗니 해서 죽은 아이의 나이를 헤이자는 것이 아니라
일체를 상실한 오늘날과
그 화려하고 풍요하던 옛날의 문화를 한번 맞대어보는 것입니다.
서글프고도 부끄러운 회상입니다.
<제 욕을 제가하는 바보>
[선데이 매일]의 기자가 묻습니다.
"한국의 도시나 촌락에서 약탈을 당한 그런 흔적은 없던가요."
"글쎄요. 한국에 약탈을 당할 만한 무슨 재산이 애당초에 있었던가요.
그토록 빈한합니다. 이 나라는―"
UP기자의 이 대답에는
"약탈의 대상이나 되었으면 제법이게―"하는
또 하나의 暗意가 풍기어 있습니다.
사실인즉 戰禍로 인해서 입은 직접 피해 외에도
한국의 국민들은 허다한 재산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재산'이라고 하는 물자며 세간들은
있는 이의 눈으로 볼 때 소꿉장난의 부스러기들로 보였을 것입니다.
약탈의 대상도 못 되리만치 빈곤하다는 이 신랄한 비평을
그러한 의미에서 감수합니다.
그러나 看過치 못할 또 하나의 문제가 여기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은 36년 동안을 일본이 다스리던 나라입니다.
'一視同仁'의 일본의 정치가
마침내 한국을 이 빈곤에 머무르게 했다는 사실은
별로 일본의 자랑이 못될 것입니다.
―'센징(鮮人)의 주택은 더럽다'고 쓰는 것보다
'센징의 집은 도야지 우리 같다'고 쓰는 편이 문장 표현으로도 더 효과적이다―
20년 전 동경 삼성당에서 발행된 敎材書의 한 구절입니다.
현명하고 영리한 귀국 국민에도
제 욕을 제가 하는 이런 바보가 있었습니다.
이런 천진한 바보의 귀에도
약탈감도 못 된다는 외국 기자의 한국 평이 통쾌하고 고소했을는지 모릅니다마는,
마음 있는 이는
아마 또 하나의 반성을 잊지 않았을 것입니다.
한국의 '레미제라블(悲慘)'은 한국의 羞恥이기 전에
실로 일본의 덕성의 '바로미터'이라는 것을―
"한국에서 돌아와 일본을 보니 여기는 바로 천국이야.
한국은 정말로 지옥이지 "
"전선에서 잠드는 UN 부대들의 야영의 꿈은
뉴―욕이나 갤리포니아가 아니거든―
긴자, 도-똔보리, 아사쿠사, 신쥬꾸―,
하나꼬상, 기미꼬상, 노부꼬상의 꿈이지."
패전국이라던 일본이 천국이요
36년의 桎梏에서 벗어났다는 한국이 지옥이란 것은,
'메퓌스트회레스'와 '파우스트'가 위치를 顚倒한 것 같은
신통하고도 재미있는 후세의 이야기 거리입니다.
전쟁에 지면 사내란 사내는 모조리 아프리카로 끌려가서
강제 노동의 노예가 된다던 일본…….
그 일본은 점령군 사령부의 寬厚한 庇護 아래
문화를 재건하며 시설을 다시 회복하여
착착으로 戰前의 면모를 도로 찾아가고 있습니다.
거기 대비할 때,
연합국의 일원이요, 당당한 승리자인 중국은
그 광대한 영토를 버리고 대만으로 밀려가고,
해방의 기쁨에 꾕매기를 울리며 좋아 날뛰던 한국은
국토를 兩斷 당한 채
지난 1년 동안에는 두 번이나
수도 서울을 敵手의 유린에 맡기지 않으면 안 되게 된 이 사실,
가장 냉엄해야 할 '역사'도
알고 보니 익살맞고 짓궂은 장난꾸러기입니다.
행여나 오해치 마십시오.
우리는 일본의 불행을 바라는 자가 아닙니다.
일본의 행복을 嫉視하는 자가 아닙니다.
비록 '지옥'의 대명사를 가지도록까지
일찍이 상상치도 못한 가난과 塗炭을 겪고 있다고는 하나
그러나 우리는 지녀나가야 할 최후의 덕성하나를
쉽사리 잃어버리지 않을 것입니다.
<어느 쪽이 더 능란하고 교활한 민족인가?>
개인에도 年齡이 있는 것처럼
민족에도 민족의 연령이 있을 것입니다.
젊으면 경솔하고 순진하고, 늙으면 신중하고 狡狡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生理의 약속입니다.
같은 민족끼리도 문화의 차이가 현저합니다.
東京을 중심으로 한 關東과
京都를 표준으로 한 가미가타(上方)의 기질이며,
지방색을 비교해 본다면,
여러분 자신이 이 사실을 수긍할 것입니다.
중국은 이미 늙은 나라입니다.
일본은 동양 3국 중에서 가장 어리고 젊은 나라입니다.
그리고 한국은 민족의 연륜으로 보아
바로 그 중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일본인의 민족성은 조급하나 眞率한 것이 자랑입니다.
"대(竹)를 쪼갠 것처럼 꼿꼿하다"는 형용을
여러분의 나라에서는 곧잘 씁니다.
우리는 그것을 過信했기에,
만약 일본이 패전한다면
군인이란 군인은 모조리 자살해 버리리라고 믿었던 것입니다.
이것은 지금 와서 생각하면 실로 一場의 난센스입니다.
일본이 그렇게 柔順하게 승리자 앞에 무릎을 꿇고
그의 귀염까지 받으리라고는 상상하지도 못했던 일입니다.
한국은 문화에 있어서 적어도 10 여 세기를 일본에 앞선 나라입니다.
중국의 年輪에는 미치지 못하나
일본보다는 더 長成한 나라입니다.
따라서 사교성이나 御人術이 일본보다는 능해야 할 이치인데도
나타난 결과는 正히 그 반대입니다.
오오까와(大川周明)박사는 戰犯者로 在監 중에
發狂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의 기고만장한 저술 「일본 2천6백년사」에 대해서
일찍이 나는 [婦人公論]에 글 하나를 쓰고 삭제당한 일이 있습니다.
그 저서 중 [蘇我氏]에 언급한 1절에
조선으로부터 도래한 귀화인의 예를 들어,
우리 민족성을 교활하고 간악한 최고의 표본으로 내세운 한 구절이 있습니다.
만일, 그가 발광하지 않고 정신이 성했다면
한 번 다시 물어보고 싶은 일입니다.
오늘날 일본과 한국을 비교해서
과연 어느 쪽이 더 순진한 민족이냐,
어느 쪽이 더 능란하고 교활한 민족이더냐를 ········.
그러나 다행이도 그는 狂者입니다.
광자의 권리로 그는 이 說問에 대답을 외면할 것입니다
<하라꾸레(葉隱)의 일화>
사무라이(武士)가 골동품 가게에 와서 접시 하나를 만지다가
"값이 얼마냐?"고 묻습니다.
"네, 스무 냥입니다."
"스무 냥이라니? 아니 이 사람아, 이게 무슨 스무 냥이란 말인가?
자네는 주인이 아닌 게로군. 주인을 불러오게, 주인을 ·······"
"제가 바로 주인인데요."
"주인이라? 주인이면서 접시 하나 값도 모른다?
딴소리 말고 주인을 부르게."
주인이라던 사람, 그 말을 듣더니
두말없이 접시를 도로 뺏어 땅바닥에 탕탕 때려 부수고는,
"자, 잘 보시우. 이래도 내가 주인이 아니란 말이오?"
일본에 보편화된 고바나시의 하나입니다.
깨어진 접시 조각,
무색해서 얼굴이 붉어진 사무라이를 연상하면서
여러분은 이 고바나시(小話)의 痛快味를 즐깁니다.
또 하나 이와 다른
하라꾸레(죽음을 초개같이 아는 무사 정신을 가진 일당)의 일화가 있습니다.
떡 장사집 이웃에
가난한 홀아비 浪人과 그의 어린 자식이 살았다.
어린애가 떡가게에서 놀다 돌아간 뒤 떡 한 접시가 떨어졌다.
낭인의 아들인 그 어린애에게 협의가 씌워졌다.
"아무리 가난할망정 내 자식은 사무라이의 아들이다.
남의 가게에서 떡을 훔쳐 먹다니 그럴 리가 만무하다."
낭인은 백방으로 변명해 보았으나
떡장수는 종시 듣지 않고 떡값만 내라고 조른다.
이에 낭인을 칼을 빼어 그 자리에서 어린 자식의 배를 갈라
떡을 먹지 않았던 증거를 보인 뒤에
그 칼로 떡장수를 죽이고 저마저 할복 자결해 버린다.
이 酸鼻한 일화는
일본 국민성의 純一不羈한 표본의 하나라고 생각해서 칭송받으며,
듣는 자로 하여금 감탄과 賞讚을 마지않게 한 이야기입니다.
만일 이 열렬한 意氣를 용납하지 못하는 민족이 있다면
당신네들은
言下에 경모와 멸시로 그들을 대하기에 주저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 민족이 바로 이 한국입니다.
이상의 두 例話에서
우리들은 용렬한 소인의 性情 ―
制度치 못할
히스테리를 찾아 낼 뿐입니다.
우리들은 이런 이야기에 불쾌를 느낄 뿐만 아니라
이런 이야기를 자긍하고 긍정하는 민족의
그 단순 소박한 윤리 의식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이것은 20 여 년을 일본서 살아온
나 같은 사람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제는 이 장황한 편지에 결말을 지어야 하겠습니다.
일본에 대해서 너무 아는 체한 것이 부끄럽습니다마는,
그러나 하고 싶은 얘기를 이것으로 다한 것이 아닙니다.
원컨대 여러분들과 자리를 같이해서
한국과 일본이 지닌 이 久遠의 숙명에 대해서,
좀 더 활발하게, 좀 더 솔직하게, 胸襟을 토로하고 싶습니다.
그런 기회가 아직도 내게는 허락되지 않았습니다.
仇怨의 숙명 ― 진실로 그렇습니다.
미우나 고우나 이것은 숙명적인 인연입니다.
과거의 수천 년이 그러했고,
다가올 수만 년이 또한 그러할 것입니다.
개인의 이웃은 떠나버리면 그만입니다.
그러나 민족의 이웃, 국가의 이웃은 떠나버릴 수 없고,
땅덩이를 실어서 이사할 수도 없습니다.
한국이 오늘날 당면하고 있는 고난과 비통을
이미 여러분은 아실 것입니다.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최대한의 쓰라림과 불행을
우리는 이미 겪어온 것 같습니다.
여기 대해서는 아름다운 말,
호기스런 장담으로 外面을 호도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최후로 한마디 말을 덧붙여야 하겠습니다.
우리는 역경에 있어서 강한 민족이었습니다.
신라의 옛날은 모르거니와
高麗의 문화, 李朝의 學藝가 한가지로
고난의 어둠 속에서 더 한층 빛났다는 것이 우리들의 자랑입니다.
우리의 過誤 ―
나날이 우리 스스로가 불행을 自乘해 가고 있는 이 현실을 부정치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또 하나의 攝理를 믿는 자입니다.
사나운 바람, 매운 서리를 견디고,
땅속에 잠겼던 한 톨의 보리알이 움을 틉니다.
이것이 민족의 地熱입니다.
만일 이 지열이 없었던들, 우리는 몇 세기 전의 어느 국난에서
벌써 滅해 버렸을 민족입니다.
가미가제의 기적을 바라는,
이것은 神話가 아닙니다.
침략치 않고, 저주할 줄 모르는 어진 백성이,
오욕과 가난에 견디어 내는 하나의 抗毒素입니다.
일전에 친한 미국인 한 분이 내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
"미스터 김! 그대가 만일 한국이 아니고 미국이나 프랑스에 태어났던들,
몇 배, 몇 십 배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었으련마는 ."
"천만의 말씀 ."
그 때 내 입으로 나온 대답입니다.
"내 어머니는 '레프라'(문둥이)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나는 우리 어머니를 '클레오파트라'와 바꾸지 않겠습니다."
"오오, 그러리라!"
그는 자못 심각하고 침통한 표정으로 내 손을 쥐었습니다.
그러나 이 말을 그날 내가 처음 한 것은 아닙니다.
1939년 11월호 《婦人公論》에 '보오노 하나(박꽃)'란 수필 하나가 실려 있습니다.
향토에 대한 내 애정과 신앙을 고백한 글입니다.
'향토는 내 종교였다 .
거기 쓴 이 한마디 말은 목숨이 다 할 날까지 내 가슴에 지닐,
괴로우나 그러나 謀免치 못할 十字架입니다.
문둥이의 조국!
그러나 내게 있어서는 어느 極樂淨土보다도 더 그리운 어머니의 품입니다.
가마꾸라 하세의 내 살던 집에 무궁화 한 그루가 있습니다.
수필집 이름은 《木槿의 뜰》이라 지었다가
그 책은 마침내 나오지 못한 채, 終戰되던 해 이월,
손가방 하나를 들고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육 년이 지났습니다.
육군의 비밀 공장 기지로 들어가 그 집이 헐리었다는 소식을
내가 떠난 月餘後에 들었습니다.
내 살던 집은 없어지고, 뜰에 썼던 무궁화도 지금은 아마 피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흰 꽃모습은 언제나 눈만 감으면 내 앞에 있습니다.
여러분에게 보내는 이 편지에
‘木槿通信’이라고 이름 지은 쑥스러운 哀傷을 웃어 줍시사 하고
이 글을 끝맺습니다.
1951.8. 釜山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