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점번호 이해하기
1. 간단하게 이해하는 방법
1) 국가지점번호의 기준점은 (E127°.30'30" , 38°.00'00")을 원점으로 서쪽으로 300km, 남쪽으로 700km 지점이 가가 0000 0000이된다.
- 경도 : 동경 127°30′00.000″ [X(N) 2,000,000m]
- 위도 : 북위 38°00′00.000″ [Y(E) 1,000,000m]
2) 한칸은 100Km X 100Km로 되어있습니다. (가가 0000 0000)
100km를 m로 환산하면 100,000m입니다. 이 단위를 10,000으로 나누어서 또 작은 칸들을 만듭니다.
즉 10m 간격으로 칸이 만들어져 가로, 세로로 각 4자리 번호를 부여하게 됩니다.
설악산대청봉 : 라아 8485 1333(기준점에서 동쪽 384.85km, 북쪽 713.33km지점)
3) 카카오맵 지도에서 위치 표시하기 (첨부된 엑셀파일 사용방법)
1) 핸드폰에서 엑셀파일을 연다.
- 시트에서 제일 앞쪽에 있는 "지점번호에서 경위도"를 연다.
- 입력란 옆 노랑부분에 국가지정번호를 입력한다.

2 ) 입력이 끝났으면 우측 상단 초록색 엔터를 누른다.
- 엔터를 치면 아래 좌표 위도 및 경도가 바뀐다.

3) 좌표부분을 원이2개 생기고 아래원을 아래로 내리면 2칸이 선택된다.
- 선택된 부분의 위쪽에 메뉴가 생기는데 그곳에서 복사를 선택한다.

4) 다음지도(카카오맵)을 열고서 검색에서 붙여넣기 한다.

5) 붙여넣기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6) 붙여넣기 하고서 중간에 ,표를 넣어야 한다.
- 35.31574 뒤에 ,(쉼표)을 넣어줘야 한다.

7) 붙여넣기 하고 쉼표를 찍고 엔터를 치면 아래와 같이 지도에 위치가 표시된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이해하는 방법

국가 지점번호의 근간은 UTM-K 좌표계(한국형 UTM 좌표계)이다.
국가지점번호 표식은 좌표를 좀 더 간단하게 표기하고 음성전달을 용이하게 하며 좌표의 광역적 위치를 쉽게 인지하는 데 있다.

원점은 [N38°00‘00.000“/ E127°30’00.000”
수치를 북향 값 2,000,000m, 동향 값 1,000,000m로 정했다.
즉
38선을 북향값 200만으로 기준점을 잠고 20으로 하여 글자를 사로 규졍 아래는 글자당 100KM가 줄어들고 위로는 아 아래로는 바->가까지 지정함.
13 ~ <- 19 <- 20(기준점)
가 ~ <- 사 <- 아(기준점)
동향값은 100만으로 기준점을 10으로하여 라로 규정하고 서쪽으로는 다.나.가로... 동쪽으로는 마에서 사까지 지정해 놓음.
7 ~ <- 9 <- 10(기준점) ->11 -> 14
가 ~ <- 바 <- 라(기준점) -> 마 -> 사
원점의 경위도
- 경도 : 동경 127°30′00.000″ [X(N) 2,000,000m]
- 위도 : 북위 38°00′00.000″ [Y(E) 1,000,000m]
1. 국가지점번호 UTM-K (한국형 UTM 좌표계)로 변환 방법


읽기
앞쪽 자음과 숫자는 동향의 값이고
뒤쪽 자음과 숫자는 북향 값이다.
동향값 좌표환산하기 : 가~사
라2559

- 라를 변환값으로 바꾼다.
- 라를 변환값으로 바꾸고 숫자를 다음에 쓰고 마지막에 0을 붙인다.
- 라-> 10 + 2559 + 0 = 1025590이 된다.
북향값 좌표 환산하기 : 가~아

- 사를 변환값으로 바꾼다.
- 사를 변환값으로 바꾸고 숫자를 다음에 쓰고 마지막에 0을 붙인다.
- 사-> 19 + 8364 + 0 = 1983640 이 된다.
2. 국가지점번호 UTM-K로 위치 알기
UTM-K : 한국형 UTM좌표계
100km 단위는 문자를 사용하고 이하부터는 가로와 세로를 각각 10,000으로 나눈 정수를 연결하여 사용

지도상 북쪽으로 가면 뒷자리 글자가 변합니다. 가~아
지도상 동쪽으로 가면 앞자리 글자가 변합니다. 가~사
한칸은 100Km X 100Km로 되어있습니다.
100km를 m로 환산하면 100,000m입니다. 이 단위를 10,000으로 나누어서 또 작은 칸들을 만듭니다.
즉 10m 간격으로 칸이 만들어져 가로, 세로로 각 4자리 번호를 부여하게 됩니다.
설악산대청봉 : 라아 8485 1333(기준점에서 동쪽 384.85km, 북쪽 713.33km지점)
지도상 북쪽으로 가면 뒷자리 글자가 변합니다. 가~아
지도상 동쪽으로 가면 앞자리 글자가 변합니다. 가~사

기준점 `가가`로 부터 시작합니다.
100km당 한글 2자리가 변경되므로, 동쪽으로 384.85km이니 가에서 3번째 `라' 북쪽으로 713.33이니 가에서 7번째 뒷글자는 `아'가 됩니다.
즉 라아로 시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384.85km에서 300km는 이미 한글로 알고 있기 때문에 84.85만 나타내주면 됩니다.(385.85km-300km)
즉 8485로 나타내주면 됩니다.
뒤 713.33km역시 700km은 '아'라는 글자로 알기때문에 (713.33km-700km)1333으로 표시를 해주면 됩니다.
※뒤 숫자는 10m단위가 1이 되므로 0.01km은 10m이기 때문에 0001이 되는 것입니다.
위도 : 지구의나 지도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하여 남쪽과 북쪽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경도 : 그리니치 천문대를 본초자오선으로 하여 서쪽과 동쪽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3. 내 위치 GPS 좌표 및 국가 지점번호 알기
국가 지점번호를 이용하여 지도에 표시하거나 내 위치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공공기관에서는 국가지정번호로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원래 2019년부터 누구나 스마트폰에서 국가 지점번호로 알 수 있게 하겠다 하였지만 아직도 이 부분에 대한 프로그램이 등록 되지 않은것 같습니다.
- 산길샘나들이에서는 위치 입력에서 위도와 경도 및 국가지점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4. 긴급구조 요청하기
- 산길샘 : 화면중심 위치 보내기 : KAKAO 또는 SMS로 해서 119에 신고하면 됨.
- 트랭글 : 지도에서 내위치 길게누름 -> 정보 -> 위치전송 이렇게 119에 전송하면 됨.
* 산길샘에서 내위치 국가지점번호 확인이 가능함.
* 첨부파일 : 국가지접번호-좌표변환기.xlsx
국가지점번호-좌표환산기.xlsx
첫댓글 에고 어려워라 ㅎㅎ,
아직은 보편적으로 활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조난시 국가 대응에 사용하고 있는데.
어플을 통하여 쉽게 일반인들과 공유되어야 하는데 되지 않고 있습니다.
산길샘에서 보면 바로 내위치의 위도 경도와 함께 이렇게 국가지점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