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보교육시민단체 회원들이 서울시립대형 보편적 반값등록금 실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뉴스1 © News1
윤관석 의원 "평균 637만원으로 전년비 상승"…교육부 "분석착오로 사실과 달라"
(서울=뉴스1) 안준영 기자 = 정부의 '반값등록금' 실현 공약이 무색하게 올해 대학들의 연간 평균등록금이 지난해보다 인상됐다는 주장이 야당으로부터 제기됐다.
교육부는 개별대학의 학생수를 고려하지 않은채 국내 전체 대학 등록금 총액을 단순히 대학수로 나눈데서 비롯된 분석 착오라며 실제 등록금은 인하됐다고 반박했다.
19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윤관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파악한 결과 2014년도 4년제 대학의 1인당 연간 등록금은 평균 637만5400원이었다고 밝혔다.
지난해(626만7000원)보다 1.7%, 금액으로는 10만8400원 뛴 수치다.
연간 등록금이 가장 비싼 대학은 한국산업기술대로 901만3400원을 기록했다.
이어 신한대 864만9400원, 연세대 858만1300원, 을지대 850만100원, 한국항공대 847만2200원, 이화여대 843만3300원 순이었다.
가장 낮은 대학은 중앙승가대로 174만원이었다.
영산선학대 200만원, 서울시립대 238만9700원, 부산교대 302만4000원, 서울교대 308만8000원, 한국교원대 318만7200원으로 뒤를 이었다.
단과대학 중에서는 의과대의 등록금이 가장 많았다.
고려대 의대가 1241만4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연세대 의대 1212만8000원, 성균관대 의대 1133만8000원, 아주대 의대 1124만원 등이었다.
또 예체능계열은 이화여대 994만7600원, 서울장신대 972만5300원, 숙명여대 968만100원 순으로 많았다.
공학계열은 신한대(970만원), 고려대(968만원), 서강대(939만5600원)의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윤관석 의원은 "서울시립대가 반값등록금을 시행하자 신입생 자퇴율 하락, 해외 교환학생 신청자 증가, 대출자 감소 등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면서 "교육당국은 등록금 인하를 위한 전향적인 방안을, 각 대학은 실질적인 등록금 인하를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교육부는 이날 해명자료를 내고 "윤 의원이 제시한 대학 연간 등록금은 개별대학의 학생수를 고려하지 않은채 전체 대학 등록금 총액을 단순히 대학수로 나눈 것으로 평균 등록금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적절치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교육부는 학생수를 고려한 '입학정원 가중 평균등록금 산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며 "전국 4년제 대학의 올해 연간 평균 등록금은 667만원으로 전년(668만원) 대비 0.24% 인하됐다"고 덧붙였다.
교육부는 학과별 학년별 등록금과 학과별 학년별 입학정원을 곱한 것을 전체 학과별 학년별 입학정원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대학 평균 등록금을 매기고 있다.

(윤관석 의원실 제공) © New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