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울린 이산가족 방송 40주년…“형 하늘 갔지만 함께 보낸 시간 감사”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40주년]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당시 방송 출연자들 만나보니
이민준 기자 고유찬 기자 박지민 기자 입력 2023.06.30. 03:00 조선일보
1983년 6월 30일 첫 방송을 시작한 KBS '이산가족을 찻습니다'가 40주년을 맞았다. 방송을 통해 극적으로 만난 가족이 얼싸안고 오열하고 있다./문화재청 제공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1983년 6월 30일부터 138일간 생방송으로 진행된 KBS 프로그램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방영된 지 40주년이 됐다. 6·25전쟁 등을 겪으며 흩어진 1만여 가족이 방송을 통해 재회했고, 국민은 이들과 함께 매일 눈물을 흘렸다.
본지는 당시 제작진을 통해 연락이 닿은 출연자 네 가족을 만났다. 대부분 80대에 접어든 출연 가족 다수는 “힘든 가족사를 다시 세상에 알리고 싶지 않다”며 인터뷰를 고사했다. 본지와 만난 이들은 “방송을 통해 가족을 만나 힘겨운 삶 속에서 마음에 위안을 얻었다”고 했다.
1983년 6월 30일 첫 방송을 시작한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여의도 KBS 사옥 벽에 가족을 찾는 벽보가 빼곡하다./국가기록원 제공
그래픽=이진영
인천 부평구에 사는 김광옥(76)씨는 6·25전쟁 때 헤어진 형 고(故) 임무웅씨를 방송을 통해 33년 만에 만났다. 김씨는 당시를 회상하며 “온몸의 피가 탁 하고 멈추는 느낌이었다”며 “얼굴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르는데, 눈을 딱 마주치는 순간 ‘내 형이구나’ 알았다”고 했다. 그렇게 만난 김씨와 임씨는 함께 몇 날 며칠 밤을 지새우며 그간 살아온 이야기를 나눴다고 한다.
1947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난 김씨는 6·25전쟁이 터진 직후 부산으로 가는 피란길에 올랐다. 전쟁으로 사정이 어려웠던 탓에 김씨는 서울 영등포 한 가족에게 입양되며 원래 가족들과 헤어지게 됐고, 5살 때 고아원으로 보내지며 ‘김광옥’이라는 이름으로 살게 됐다고 한다. 이후 형을 찾는 과정에서 양어머니를 통해 자신의 성이 임씨라는 사실을 알았다고 한다.
임씨는 김씨의 5살 위 형으로, 피란지인 부산에서 살고 있었다. 임씨는 본인의 삶이 얼마나 힘들었는지 김씨에게 제대로 말해주지 않았다고 한다. 김씨는 “주변 사람들 이야기를 들어보니 형은 구두닦이부터 시작해서 안 해본 일이 없었다더라”며 “그런데도 괜히 동생 마음이 안 좋을까 싶어 얘기를 참은 것 아닌가 싶다”고 했다.
인천에서 부산까지 400㎞ 떨어져 있었지만, 김씨와 임씨는 명절은 물론 사시사철 여행을 함께 다니며 살갑게 지냈다고 한다. 김씨는 앨범을 펼쳐 보이며 “남해, 정동진, 월미도 등 여행을 함께 갈 때마다 사진을 찍었다”고 했다. 임씨는 지난 2011년 12월 세상을 떠났다. 김씨는 “너무나 큰 불행을 겪었지만, 나는 운이 좋은 사람”이라며 “먼저 세상을 떠났지만, 형님과 만나 함께 보낸 시간이 있어 너무 감사할 뿐”이라고 했다.
김광옥(76·왼쪽)씨가 지난 1983년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통해 형인 고(故) 임무웅(오른쪽)씨와 재회하는 모습(위쪽 사진). 아래는 김씨(왼쪽)와 형 임씨(오른쪽)가 지난 2008년 인천 월미도에서 찍은 사진이다. /그래픽=김현국
이창주(88)씨는 지난 1983년 잃어버린 언니·오빠를 찾으러 방송에 출연했지만 찾지 못했다(위쪽 사진). 아래는 지난 2014년 금강산에서 열린 남북 이산가족 상봉 당시 북한에 살던 둘째 언니의 아들 (오른쪽)과 상봉하는 모습. /그래픽=김현국
경남 창원시에 사는 황대근(83)씨는 43살이던 1983년 방송을 통해 사촌 누나와 사촌 여동생, 육촌 동생을 만났다. 황씨는 당시를 회상하며 “그때의 기분은 말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라며 “몇 날 며칠 밤을 새워가며 ‘어떻게 살았느냐’ ‘이렇게 만나서 다행이다’ 등 얘기를 나눴다”고 했다.
1940년 강원 원산시에서 태어난 황씨는 6·25전쟁이 터진 뒤 아버지가 메는 지게를 타고 속초로 피란을 갔다. 고아원에 맡겨진 황씨는 연탄 공장 등을 전전하다가 왼쪽 손가락 4개를 잃기도 했다.
황씨의 마지막 소원은 이북에 있는 형과 누나 가족을 만나는 것이라고 한다. 황씨는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외에도 남북 이산가족 상봉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했지만 결국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포기하지 않고 중국 등을 통해 가족들의 상황을 수소문해왔는데, 두 사람이 함경북도 청진시의 한 동네에 살고 있다는 소식만 전해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황씨는 “식당에서 밥을 먹다가도 남는 반찬을 보면 힘들게 살고 있을 가족들 생각에 울컥한다”고 했다.
1983년 가족을 찾는 벽보가 서울 여의도 KBS 현관앞 벽을 가득 채우고 있다. 1983년 KBS의 이산가족찾기 프로그램은 4개월 이상 방영되며 1천만 이산가족과 전국민들을 울렸다./조선일보 DB
KBS 이산가족찾기 행사 당시 모습(1983년). /국가기록원 제공
1983년 KBS 이산가족찾기 공개홀에서 한 할머니가 전화통화를 하는 모습./국기기록원 제공
당시 방송에 출연했지만 뒤늦게 이북에 있는 가족을 만나거나 아직 가족을 찾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다. 이창주(88)씨는 평안남도 강동군에 살다가 6·25전쟁 당시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진 탓에 홀로 피란을 왔는데, 1983년 방송에 나갔음에도 가족들을 못 찾았다고 한다. 이씨는 “2014년 금강산에서 있었던 남북 이산가족 상봉 때 둘째 언니의 두 아들을 만났다”며 “돌아가신 언니가 내 걱정을 대단히 많이 했다고 하는데, 살아서 봤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싶다”고 했다. 정해수(87)씨는 전쟁으로 행방불명이 된 사촌 오빠와 사촌 동생을 찾기 위해 방송에 나갔지만, 40년이 지난 아직도 못 찾았다고 한다. 그는 “사촌 오빠가 살아 있다면 90살이 넘었을 텐데, 생사라도 알고 싶다”고 했다.
이민준 기자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