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금정산(고당봉 801.5m) 일 요 산 행 안 내 | ||||
일 자 | 2023년 12월 10일 (일요일), (한성병원기준 06시출발) | |||
산 행 지 | 금정산(801.5m) | |||
소 재 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일대 | |||
산 행 코 스 | A코스 :산성고개-파리봉-상계봉-남문-대륙봉-동문-3망루-4망루-의상봉-원효봉-북문-고당봉-내원암-범어사(약 15km 5시간30분) B코스 :산성고개-동문-3망루-4망루-의상봉-원효봉-북문-고당봉-범어사 (약 10.5km 3시간40분) | |||
회 비 | 50.000원 (당일납부) | 포 함 내 역 | 차량전세비,조식(김밥),하산주, 하산식 | |
산행도우미 | 빗소리:010-5267-4566 곱 슬:010-5447-6792 | 회 장 | 천년바위 010-3481-7950 |
◆ 출발시간 및 승차위치 ◆
05 : 20 | 시흥사거리 우체국 주유소 앞 출발 |
05 : 25 | 석수역검문소 주유소 정차 |
05 : 30 | 관악역1번출구, 현대아파트 앞(관악치안센터) 정차 |
05 : 35 | 신협 앞 정차 |
05 : 40 | 2002년 아울렛 정차 |
05 : 45 | 메가트리아 전차 |
05 : 53 | 범계역 4번출구앞 정차 |
06 : 00 | ★★ 한성병원 앞 정차 ★★ |
06: 05 | 하이마트 앞 정차 |
06 : 10 | 의왕버스터미널 출발 |
출발시간은 이동거리 및 산행시간 등을 참고하여 신중하게 결정하고 있습니다.
■ 좌석은 선착순 우선배정이며, 본인이 지정좌석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임의배정 됩니다.
★ 약속시간 5분전 도착은 회원 상호간에 대한 예의라고 사료됩니다.
☖ 당 부 사 항 ☖ |
■출발시간을 반드시 확인 하시어 차량이 정시에 출발 할 수 있도록 협조 부탁드립니다. |
■실내의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하여 배낭은 반드시 트렁크에 싣고 승차하시기 바랍니다. ■본인의 안전을 위하여 버스 탑승후 반드시 안전밸트를 착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차량내 마스크 쓰기 의무입니다. |
■ 등산은 신체적 상해나 사망 까지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할수도 있는 활동 입니다. 이러한 위험을 인식하여 받아드릴 것을 수락하고, 산행 중 모든 행동과 사고는 본인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이에 동의하는 회원만 산행 신청을 할수 있습니다. 찬조금의 금액과 기부여부는 본인의 의사에 준함. 주관 대장의 안전수칙에 불응하는 회원은 등산을 허락하지 않는다. 산행신청 후 산행참석시에는 동의한 것으로 간주한다. 산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는 본인 책임으로 개인보험 및 상해보험 가입요함. 안양산죽회 및 산행대장을 상대로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 * 이에 동의 하는 회원만이 참석 할 수 있습니다 * |
★ 준 비 사 항 ★ |
■ 중식(간식). 물, 방풍의, 우비, 비상약, 헤드랜턴(필수), 스틱, 아이젠&스패츠(겨울철) 등 산행에 필요한 장비 및 기타 여벌의 옷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산행개요
높이는 800.8m이다. 태백산맥이 남으로 뻗어 한반도 동남단 바닷가에 이르러 솟은 명산이다. 부산의 진산(鎭山)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동래현 북쪽 20리에 금정산이 있고, 산꼭대기에 세 길 정도 높이의 돌이 있는데 그 위에 우물이 있다. 둘레가 10여 척이며 깊이는 일곱 치쯤 된다. 물은 마르지 않고, 빛은 황금색이다. 전설로는 한 마리의 금빛 물고기가 오색구름을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그 속에서 놀았다고 하여 금정이라는 산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이로 인하여 절을 짓고 범어사라는 이름을 지었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금정은 금어(金魚)가 사는 바위 우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판단된다.
금정산은 낙동강과 수영강(水營江)의 분수계가 되는데, 최고봉은 북쪽의 고당봉(802m)이다. 북으로는 장군봉·계명봉(602m)이 뻗어 있고, 남으로는 원효봉(687m)·의상봉·파리봉·상계봉 등 600m 내외의 봉우리들이 백양산(白陽山, 642m)에 이어진다.
산정부는 각섬석화강암(角閃石花崗岩)으로 되어있고, 남동부는 마산암류(馬山岩類), 북부는 안산암질 암류(安山岩質岩類)로 구성되어 있다. 산정의 능선에는 암반이 노출된 첨봉(尖峰)이 많으며 대체로 동쪽과 남쪽은 급사면, 북쪽은 완사면을 이룬다.
급사면의 산록에는 주빙하환경(周氷河環境)에서 운반·퇴적된 심층풍화(深層風化) 기원 즉, 핵석(核石) 기원의 화강암 암괴들이 암괴류(岩塊流)를 형성하고 있다. 심층풍화 기원의 암괴류는 보통 3단계를 거쳐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1단계는 최종빙기(最終氷期) 이전의 온난습윤한 환경에서 화강암 계열의 심층풍화에 기원한 원력(圓礫)과 토르(tor)가 잠재적으로 형성된다. 그다음 2단계에서는 최종빙기 동안의 주빙하환경에서 솔리플럭션(solifluction)과 포행(匍行)에 의한 암설(岩屑)의 이동으로 암괴류가 형성된다.
마지막 3단계는 암괴류를 구성하는 암설 사이의 세립물질(細粒物質)이 점진적으로 제거되면서 지형면의 미기복(微起伏)이 형성된다.
현황
금정산은 산의 북동쪽에 위치한 범어사로 인하여 더욱 잘 알려져 있다. 범어사 서쪽에는 주봉인 고당봉이 솟아 있고, 그 북쪽 장군봉에서 동쪽으로 계명봉 능선이 범어사를 에워싸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금정범어(金井梵魚)’로 기록되어 있어 신라시대부터 널리 알려졌고, 항상 금정산과 범어사를 연관시켜 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범어사는 678년(문무왕 18)에 의상이 창건한 화엄십찰의 하나로 경상남도의 통도사·해인사와 더불어 3대 사찰의 하나로 손꼽힌다. 20여 동의 가람과 신라시대의 석탑인 범어사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은 금정산과 더불어 관광 명소로 이름이 높다. 절 부근에는 계명암을 비롯한 여섯 암자가 있다.
이 밖에도 금정산에는 금정산성·미륵암·정수암·국청사 등이 있고, 상계봉 남쪽에는 석불사가 있다. 1971년 사적으로 지정된 금정산성은 원래 동래읍의 외성으로 축성되어 동래산성으로 불렸으나 금정산성으로 개칭되었다.
산성은 임진왜란 후 당시 경상감사의 진언으로 1703년(숙종 29)에 축성되었고, 그 뒤 다시 증축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훼손되었다가 1972년부터 2년 간에 걸쳐 동·서·남 3문과 성곽 및 4개의 망루를 복원하면서 둘레 1만 7336m, 높이 1.5∼6m인 우리나라 최대의 산성이 되었다.
금정산 주변에는 높이 12m의 마애여래입상, 자연굴인 은동굴, 케이블카 시설, 식물원, 금강공원(金剛公園), 산성마을, 동래온천 등이 있다.
범어사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금정산 중턱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다. 부산지역을 대표하는 고찰이며[1] 해인사, 통도사와 함께 영남 3대 사찰이기도 하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의 역명이 여기서 유래했다.
창건에 대하여는 2가지 설이 있으나, 그 중 삼국유사의 678년(문무왕 18년)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금빛이 나는 물고기가 하늘에서 내려와 우물에서 놀았다고 하여 금정산(金井山)으로 이름짓고 그곳에 사찰을 지어 범어사(梵魚寺)를 건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참고로 '범어(梵語)'라고도 알려져있지만 창건 설화에서 물고기가 등장하는 만큼 물고기 어 자를 쓴 '梵魚'가 올바른 표기이다.[2]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버려 10여 년을 폐허로 있다가 1602년(선조 35년) 중건하였다. 그러나 또다시 화재를 당하였고, 1613년(광해군 5년) 여러 고승들의 협력으로 중창하여 법당, 요사채, 불상, 시왕상(十王像), 필요한 모든 집기를 갖추었다. 신라시대 창건 당시의 흔적은 3층석탑과 당간지주, 각 건물의 기단 등 석조 부분에 남아있다.
범어사는 역사적으로 많은 고승대덕을 길러내고 선승을 배출한 수행사찰로 오랜 전통과 많은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의상대사를 비롯하여 원효, 표훈대덕, 낭백선사, 명학과 그 대에 경허선사, 용성선사, 성월선사, 한용운, 동산선사 등 한국 역사 속의 고승들이 수행 정진하여 한국의 명찰로서 그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1950년대 동산스님이 불교정화운동을 주도하였고, 이후 한국근대불교를 이끌었으며, 2012년 11월 선찰대본산 금정총림으로 지정되었다.
3. 현황
현재 보물 제434호로 지정된 대웅전을 비롯하여 3층석탑(보물 250호), 당간지주(幢竿支柱), 일주문(一柱門), 석등(石燈), 동-서 3층석탑 등의 지방문화재가 있다. 이 밖에 많은 전각(殿閣), 요사, 암자(庵子), 누(樓), 문 등이 있다.
양익 큰스님이 선무도의 원형인 금강영관을 창시한 사찰이기도 하다.
2010년 12월 15일, 범어사 입구에 위치한 천왕문에 누군가가 방화를 저질러 전소되었다. 숭례문 방화 사건 때처럼 불이 기와 밑으로 붙어들어가버려서 진화가 어려웠다고 한다. 기와는 비에 목재가 훼손되지 않도록 방수 효과가 있는데 기와 아래만 불이 붙어있으니 소방차가 물을 쏘아도 잘 듣지 않았던 것.
당시 기사를 보면 사천왕상을 성보박물관에 보관하여 무사했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성보박물관에 보관했던 것은 '사천왕상 탱화'로, 화재시 사천왕상도 모두 소실되었다.
상식적으로 생각할때, 이런 커다란 사천왕상을 성보박물관에 보관할 수 있을 턱이 없다.
이전부터 있어왔던 단군동상 목 자르기 테러처럼 개신교 광신도가 저지른 짓이 아니냐고 뒤숭숭했으나 정작 이틀 뒤 잡힌 용의자는 개신교와는 관련이 없었다고 한다. 범어사 인근 어떤 암자에 사는 거사로 밝혀졌는데 자신이 뜻하는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화를 저질렀다고 한다.
현재는 복원된 상태. 다만 방화 자체는 꽤 크게 보도가 됐는데, 나중에 범인이 검거되고, 심지어 불교계 내부에서도 기복신앙화된 불교계에 대해 자성의 시간을 가지고 나서도 정작 이에 대한 보도는 잘 되지 않아 아직도 개신교인이 방화를 한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물론 이 사건을 잘 아는 사람들의 경우 "불교는 자신을 수양하는 종교인데 왜 기복신앙으로 되었냐"며 한국 불교계 내부를 비판하면서 한국 불교계의 현실을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범어사에 대한 개신교측의 태도도 마냥 깨끗하다고 할 수는 없어서 범어사 천왕문 방화에 즈음해 2006년 부산 벡스코에서 ‘Again 1907 in Busan’이라는 주제로 열린 개신교 계열의 집회에서는 "부산을 축복하자"며 각 구별로 등장하는 프레젠테이션 화면. 특히 금정구 화면에는 ‘사찰이 무너지도록’이라는 문구 아래 부산의 대표적인 불교문화유적인 범어사와 안국선원이 지목되는 등 충분히 종교 차별이라고 볼 만한 장면이 있었던 것이 뒤늦게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2010년 11월부터 12월까지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지적을 받아온 보제루를 해체하고 2011년 3월부터 9월까지 새로운 보제루를 지었다.
2010년 일제강점기에 범어사 삼층석탑(梵魚寺 三層石塔, 보물 제250호)을 수리하며 추가한 기단과 울타리를 제거했다.
이 때, 탑의 사리공에서 사리 장엄구가 발견될 것을 기대하였으나, 사리 장엄구 대신 일본 신문지에 싸인 유리함이 발견되었으며, 유리함 안에 있던 무언가를 기록한 종이는 모두 삭아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석탑을 수리하며 사리 장엄구를 반출하고 대신 넣어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일주문이 보이기 시작할 때 길 왼쪽을 보면 등나무 군락지로 가는 길이 있다. 숲이 상당히 험하지만 느낌도 좋으니 한번 가 보는 것도 추천한다. 한 바퀴 돌고 나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30분.
최근 국토부와 부산광역시의 합작으로 증축 가능 면적이 대폭 늘어났다. 이에 범어사는 그동안 다른 절들에 비해 영 작았던 성보박물관을 새로 크게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여기저기에 새로 건물을 세우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새로 지어 2022년 개관한 성보박물관은 절에서 500미터 정도 내리막길을 걸어야 하는 위치로 옮겨졌다. 위치상 범어사에 들린 뒤 내려갈 때 들리는 게 적당하고 대중교통 부산 버스 90도 시가지로 내려갈 때 성보박물관을 지나가게 되어있다
부산 금정산 (고당봉 801.5m) 산행좌석표 | ||||
운전석 | 조수석 | |||
박정석 부장 010-5240-5166 | 빗소리 (범계) | |||
1 | 2 | 3 | 4 | |
회장님 (범계) | 쪼이 대장님 (범계) | 시흥사거리 :2 석수역:2 관악역 :3 석수우체국: 신협:1 국민은행:1 아울렛: 메가트리아:2 전자랜드:4 범계역:5 방축4거리: 한성:2 하이마트:2 의왕터미널:6 ========== 합계 : 30 | 로즈 총무 (신협) | |
5 | 6 | 7 | 8 | |
캥거루 님 (범계) | 아이비 님 (전자랜드) | 오데트 님 (한성) | ||
9 | 10 | 11 | 12기 | |
기산 님 (의왕정류장) | 한양 1님 (범계) | |||
13 | 14 | 15 | 16 | |
태산 님 (한성) | 둥굴레 님 (메가트리아) | 김태영 님 (메가트리아) | ||
17 | 18 | 19 | 20 | |
양파 님 (석수역) | 백야 님 (의왕정류장) | |||
21 | 22 | 23 | 24 | |
실비건 님 (전자랜드) | 라이온킹 님 (의왕정류장) | |||
25 | 26 | 27 | 28 | |
신비 님 (관악) | 후발선착 님 (관악) | 라라 님 (하이마트) | 라라1 님 (하이마트) | |
29 | 30 | 31 | 32 | |
곱슬 대장님 (전자랜드) | 별부자 대장님 (의왕정류장) | |||
33 | 34 | 35 | 36 | |
매쉬 님 (시흥사거리) | ||||
37 | 38 | 39 | 40 | |
한달비 님 (전자랜드) | 산뫼 1님 (의왕정류장) | 산뫼 님 (시흥사거리) | ||
41 | 42 | 43 | 44 | |
천문 대장님. (관악) | 아가짜 님 (국민은행) | 머터리 님 (의왕정류장) | 호호 님 (석수역) |
※ 부득이한 자리 이동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 등산베낭은 꼭 트렁크에 실어 주시기 바랍니다
※ 차량 탑승시 마스크 미 착용 회원은 차량에 탑승 할 수 없습니다
※ 손소독 및 차량내 에서 잡담금지 부탁 드립니다
(차량내 마스크 비치 없는분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마트 2명 신청합니다.
감사 합니다~~
안녕 하세요~금정산 산행을 신청해 주신 회원님들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산행신청시 일행이 있을경우 좌석 조정이 불가피하여 이동이 있을수 있으니 양해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좌석 이동시 원하시는 좌석이 있으시면 이동할수 있게 조율 하겠으며 좌석중 1.2.3.4 번 좌석은 회장 총무님 및 운영진 좌석이므로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
기타 불편 사항이 있으시면 연락주시면 불편을 최소화 할수 있게 하겠 습니다~ 감사 합니다~
참석합니다
신비님 이랑
25.26 ..관악 입니다.
감사 합니다~~
한자리 내립니다
국민은행^^
네~
B코스 신청합니다~~~
18번, 의왕탑승
감사 합니다~18번은 좌석이 지정되어 있어서 20번으로 올려 드렸 습니다
17번 석수우체국탑승
감사 합니다~
35번 좌석 신청 합니다
탐승지는 시흥사거리 입니다
감사 합니다~
11 번 개인사정으로 이번산행 내립니다 죄송합니다
네 알겠 습니다~~
죄송합니다ㅠ
17번 좌석 내립니다
네~
죄송합니다 이번산행 내립니다
안산즐산 하셔요
네~
죄송합니다. 사정이 생겨서 자리 내립니다~
네
13번 개인사정으로 하차 합니다
죄송
네
안녕 하세요~
금정산을 신청하여 주신 회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울러 내일 부산 날씨는 낮 최고 영상 19도로서 초봄 같은 날씨 이며
우천 소식은 아직 없는 상황이니 개인장비및 상황에 맞는 의류등
잘챙겨서 오시길 바랍니다~
또한 베낭은 트렁크에 넣어두고 탑승 하시길 당부드리며 베낭을 선반에 올리는 일은 자제 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베낭을 선반에 올려 내용물이 낙하 하여 위험한일이 자주 발생하여 회원들의 불편 민원이 발생하니 부탁 드립니다~
감사 합니다
개인 사정으로 내립니다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