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적인 컨설팅회사인 Oliver Wyman는 향후 중국의 자동차 시장에 대해 아래와 같이 분석했음
o 2016년에 중국은 세계 2대 럭셔리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
- 2016년 중국의 럭셔리 자동차 판매량은 2014년의 196.2만 대에서 227.3만 대로 증가하여 미국의 218.2만 대를 상회, 처음으로 세계 2대 럭셔리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
. 2020년 중국의 럭셔리 자동차 판매량은 309.5만 대로 증가하여 미국의 231.2만 대를 훨씬 능가. 서유럽 전체 판매량은 340.2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2020년까지 중국의 럭셔리 자동차 판매량 연평균 증가율은 12.5%로 2016년~2018년 사이에 가장 빨리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2년간 누계 판매량은 약 50만 대 증가할 전망
- 2014년~2020년 세계시장에서의 럭셔리 자동차 판매량 연평균 증가율은 6.1%로 예상됨
o 2025년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은 기타 지역을 훨씬 상회할 예정
- 중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2012년의 1,870만 대에서 2025년의 3,750만대로 증가하여, 유럽(러시아 포함)의 3,000만 대와 북미 1,780만 대를 초과하여 세계 1위 자동차 생산국 지위를 유지할 예정
-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가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주도적 지위 차지
. 2025년 인도의 자동차 생산량은 2012년의 390만대에서 1,550만 대로 급증. 한국과 일본의 동기간 자동차 생산량은 총 1,57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 남미와 아프리카의 자동차 생산량은 각각 700만 대, 100만 대에 그칠 예정
<자료: 신화망>
中, 자동차 병행수입 정책 실시 2014-10-08 ㅣ조회수 132
- 작성자
- beijingk
- 자료제공실
- 북경지부
- 주요내용
- □ 중국 국가공상국은 10월 1일부터 자동차 총판 및 수권 수입벤더에 대한 등록 정책을 취소했음
□ 중국 국가공상국은 10월 1일부터 자동차 총판 및 수권 수입벤더에 대한 등록 정책을 취소했음. 이에 따라 자동차 딜러(4S)의 수입자동차 시장에서의 독점 지위가 상실되며, 수입 럭셔리 자동차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
o 과거 중국에서는 해외 자동차 생산업체 및 생산업체에서 수권한 경소상만 수입자동차 판매가 가능
- 수입자동차 관련 병행수입 정책을 실시하면 생산업체의 수권을 받지 못한 수입벤더도 직접 수입이 가능
o 병행수입차는 통상 정규 수입차 대비 가격이 20% 정도 저렴한 반면 A/S 제공 불가
-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의 병행수입차는 총 9만 대에 달하며 톈진, 다롄 등 지역의 항구를 통해 중국 본토 시장에 진입했음
o 상하이, 베이징 등 지역은 이미 병행수입차 전문 판매점을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A/S, 3C인증 등 일련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 중
- 향후 닝보도 보세구를 통해 병행수입차 업무를 취급할 것으로 보임
o 병행수입차란 중국시장을 대상으로 전문 제조된 차량이 아니라 원래 미주, 중동, 유럽 등 시장을 대상으로 생산된 차량임. 또한 외국자동차 중국 총판을 통해 수입된 것이 아니라 기타 수입 채널을 통해 수입되었으며, 최종 판매도 딜러(4S)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음
<자료: 현대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