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오리의 선조는 야생의 물오리. 기원전 2∼3천년 경 이집트의 벽조(壁彫)에 물오리를 사냥하는 모습이 남아 있을 만큼 오리고기를 식용으로 이용한 역사가 유구하다.
가금으로 사육한 기록은 고대 로마시대 바로 황제(Varro: BC110∼27년)의 기록이 가장 오래된 것이고오리사육이 성행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이후부터다.
오리는 한자어로 '鳧(부)· 鴨(압)· 鶩(목)'. 조선 선조 때 송강 정철이 쓴 「송강별곡」에는 오리가 '올히'로 나온다.
신라의 고도 경주에 있는 안압지(雁鴨池)는 기러기[雁]와 오리[鴨]가 날아와 노는 연못[池]이란 뜻이고
청둥오리의 서식처라서 청동 빛으로 더욱 짙푸른 강이 우리 압록강(鴨綠江)이다.
동양화에 등장하는 오리는 장원급제를 뜻한다.
오리 '압(鴨)'을 파자하면 장원급제를 뜻하는 '甲(갑)'으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버드나무 밑에 오리 두 마리가 있는 동양화는 버들 '류(柳)'를 머물 '류(留)'로 읽어 과거에 장원급제한 행운이 계속 머물기를 바라는 그림이다.
오리는 영어로 'duck'(더크). 'lame duck'(레임 덕)은 절름발이 오리란 뜻에서 임기가 조금 남아있어서쓸모없는 낙선한 대통령을 지칭한다.
또한 뒤뚱거리며 걷는 오리가 다리마져 절게 된 것처럼 낙선한 대통령의 임기 말 행정이 불안정한 것을 '레임덕 현상'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벼 심은 논에 오리를 길러 무공해쌀을 생산하는 친환경 농업이 새로운 농가 소득원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좋은 자료라 퍼 온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