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은하수와 백합
 
 
 
카페 게시글
시 해석 및 시 맛있게 읽기 스크랩 대근 엽채 일급/ 김연대
은하수 추천 0 조회 31 17.08.16 08:16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대근 엽채 일급/ 김연대


 

이순 지나 고향으로 돌아온 아우가

버려두었던 옛집을 털고 중수하는데,

육십 년 전 백부님이 쓰신 부조기가 나왔다.

을유년 시월 십구일

정해면 오월 이십일

초상 장사 소상 대상 시 부조기라고

한문으로 씌어 있었다.

육십 년 전 이태 간격으로

조모님과 조부님이 돌아가셨을 때의 일이다.

추강댁 죽 한 동이,

지례 큰집 양동댁 보리 한 말,

자강댁 무 열 개,

포현댁 간장 한 그릇,

손달댁 홍시 여섯 개,

대강 이렇게 이어져 가고 있었는데,

거동댁 大根葉菜一級이 나왔다.

대근엽채일급을 유심히 들여다보다가

나는 그만 핑 눈물이 났다.

보지 않아도 눈에 선한

내 아버지, 할아버지와

이웃들 모두의 처절한 삶의 흔적,

그건 거동댁에서

무 시래기 한 타래를 보내왔다는 게 아닌가.


- 시집아지랑이 만지장서(만인사, 2012)

.......................................................


 지난 72년 동안 우리 경제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어마어마한 외형적 폭풍성장을 해왔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분석해 내놓은 자료들을 보면 세계 최빈국 대열에서 세계 11위 경제대국으로 환골탈태한 한국경제의 위상 변화를 실감할 수 있다. 경제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국내총생산(GDP)은 통계가 가능했던 1953년의 477억 원에서 지난해 1506조 원으로 무려 3만1500배 이상 증가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도 같은 시기 67달러에서 2만7500달러로 410배 이상 성장했다. 하지만 이는 지난 2014년 2만 8천 달러를 기록해 추세로는 곧 3만 불 시대를 열 것 같더니만 2년 째 하락 또는 정체 중이다.


 이들 통계가 1953년과 현재를 비교한 것은 해방 직후의 정치·사회적 혼란에 이어 한국전쟁까지 발발한 탓에 광복 직후의 마땅한 통계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명목상의 물가이긴 하지만 1945년 80㎏에 0.29원이던 쌀 가격은 올해 16만원으로 액면가로만 따지면 54만 배 넘게 뛰었고, 금값은 1g당 0.12원에서 6만원으로 5만 배 올랐다. 1945년 1원의 가치는 지금 기준으로 환산하면 18만 원가량 된다. 경제성장과 함께 사회적인 인프라와 국민의 생활상도 크게 바뀌었다. 특히 1945년 70%에 달했던 농업 인구는 현재 5% 남짓이다.


 시의 배경인 안동 길안 한실마을 역시 전형적인 두메산골 농촌지역이다. 시에서 '을유년'은 바로 1945년 광복을 맞은 해이고 '정해년'은 2년 뒤 1947년이다. 농지개혁 이전이므로 당시 전체 경지 가운데 3분의 2는 소작지였으며, 206만호 농가 중 자작농은 14%에 불과했다. 시에서의 생생한 '부조기'는 당시 우리 농촌의 생활상과 인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소담스러워라 ‘죽 한 동이’ ‘보리 한 말’ ‘무 열 개’ ‘간장 한 그릇’ ‘홍시 여섯 개’ 60년대의 어린 시절 계란꾸러미와 메밀묵, 백설탕 등이 인기선물로 주요 부조품목이었음을 기억하는 우리에게도 낯선 품목들인데, 그 이후 세대에겐 참으로 생경한 부조물품이리라.


 하지만 우리들 조부와 부모님 세대들이 고스란히 겪었던 가난과 그 가난 가운데서도 서로 따스한 인정을 나누며 돕고 살았던 눈물겨운 삶의 기록이 아닌가. 살림살이야 남루하기 그지없지만 이웃끼리 서로 보듬고 나누며 살아오면서 누구네 굴뚝에 연기가 피어오르는지, 겉보리소출이 얼마인지, 숟가락이 몇 개인지 빠삭하게 서로의 형편을 살폈다. 이웃에서 큰일을 치면 온 동네사람들이 ‘간장 한 그릇’으로, ‘홍시 여섯 개’로, 그도 아니면 몸을 때우는 걸로 거들었다. 그중에 ‘大根葉菜一級’ ‘무시래기 한 타래’라니, 무슨 사족이 더 필요하랴.


 지난 세월을 거치면서 우리는 물질이 넘쳐나는 풍요로운 세상을 살고 있다고 여겼지만 이웃에 가장이 실직을 했는지, 병으로 고생하는지, 누가 밤사이 죽어나갔는지 전혀 관심조차 갖지 않은 채 오로지 나 자신과 내 가족만을 위해 이기적인 관행으로 살아오진 않았는지. 문상과 부조는 아픔을 나누고 위로하기 위함이 아니라 간결한 애석함의 표시이거나 세상살이 방편으로 덤덤하게 남의 불행을 방관해온 처사는 아닌지. 우리의 미풍양속이라 할 향약은 ‘좋은 일을 서로 권장하고, 잘못은 서로 고쳐준다, 서로 사귐에 있어 예의를 지킨다, 환난을 당하면 서로 구제한다’라 되어있거늘 이놈의 세상에서 자리 잡기에는 아무래도 버거운 노릇일까.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면 남의 불행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으며, 먹고 사는 일과는 무관하게 욕망하고 탐할 것도 많나보다. 그러고 보니 2년 전 꼭 오늘, 전날 밤 대취하여 귀가길 어수룩한 공원을 지나다가 잠시 상의를 나뭇가지에 걸어둔 채 오줌을 누었다. 깜박 윗도리를 잊고서 터덜터덜 10여분 걸은 뒤에야 퍼뜩 정신이 들어 현장을 찾았으나 지갑과 휴대폰이 든 상의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후 파출소에도 신고하고 몇날며칠을 기다려 봐도 소용없었다. 순전히 내 잘못이긴 하지만 멘붕상태로 일단 휴대폰부터 다시 장만했다. 어제 그 폰을 바꿀 건지 어쩔 건지를 알리는 문자를 받았다. 그렇잖아도 지금 갖가지 말썽중이라 교체할 참이긴 하다.


 경제적인 삶의 질은 높아졌다지만 각종 범죄, 자살 등 비경제적 지표들은 갈수록 악화를 기록했다. 보이스피싱을 비롯해 사기범죄는 날로 지능화되었으며 남의 돈을 떼어먹고도 당당한 사람들이 부지기수로 늘었다. 마비된 양심이 돌아올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국가경제는 성장했으나 성장의 열매가 고루 돌아가지도 않았다. 자본의 불평등 골은 깊어졌고 빈부 격차도 갈수록 커져만 갔다. 2년 전 이 시에 눈길이 머물며 어차피 돌아오지 않는 지갑에 부쳐 한 가지 희망사항을 마음속으로 되뇌었다. 부디 나보다 가난한 사람의 '횡재'였기를.



권순진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