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암 치료 모습 공개…“이게 피부암 앓는 사람의 모습”
“태양광 위험성 30년 전에 알았다면…”
호주 여성 멜리사 루이스의 틱톡 화면.
10대부터 선크림을 바르지 않고 태닝을 즐겼다는 호주의 40대 여성이 피부암 치료 과정을 공개하며 자외선 차단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48세 호주 여성 멜리사 루이스는 2009년 피부암 진단을 받고 현재까지 치료를 받고 있다. 루이스가 앓고 있는 피부암은 피부가 점점 어둡게 변하는 흑색종과 편평 세포암의 초기 형태인 보웬병, 표피 최하층의 세포가 악성 종양으로 변하는 기저세포암종 등이다.
보도에 따르면 루이스는 피부에 광과민성 물질을 주입한 뒤 레이저를 쏴 암 종양을 파괴하는 치료를 받고 있다. 치료 이후에는 눈 주변이 부어올라 눈 뜨기가 힘들고, 안경을 쓰기 위해서는 받침대에 부드러운 헝겊을 씌워야 한다.
루이스는 SNS에 본인의 얼굴 피부를 공개하며 치료 과정을 공유하고 있다. 영상 속 그의 얼굴은 붉은 물집이 가득 생겼고, 살갗이 벗겨져 있다. 그는 ‘이게 피부암을 앓는 사람의 진짜 모습“이라며 ”태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라. 내가 겪은 과정을 경험하지 않길 바란다. 태양광의 위험성을 30년 전에 알았더라면 이런 일은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루이스는 10~20대 시절 햇빛에 피부를 태우는 태닝을 즐겼고, 한 번 할 때마다 몇 시간 동안 햇볕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그는 “과거의 내게 ‘태닝하는 순간은 즐거울 수 있지만, 미래에는 반드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고 전했다.
인스타그램 화면.
앞서 할리우드 배우 휴 잭맨도 지난달 인스타그램에서 팬들과 소통하며 자외선 차단을 당부한 바 있다. 2013년 기저세포암종을 진단받은 그는 최근 재발이 의심돼 조직 검사를 받았다고 밝혔다. 휴 잭맨은 “자외선 차단제를 꼭 발라라. 태닝은 할 가치가 없다”며 “25년 전 자외선 차단제를 잘 바르지 않았던 결과가 지금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피부암은 과도한 자외선 노출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피부 세포가 자외선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으면 여러 유전 인자들이 변화하면서 암이 발생할 수 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최승규 한마디
자외선 차단제 무엇 인가..?
화학적 자외선차단제[편집]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으며, 암 유발 물질도 소량 발견되는 등 지속적으로 유해성 논란이 있는 옥시벤존(Oxybenzone), 아보벤존(Avobenzone) 등 벤젠 계열의 유기화학물질이 주성분을 이루며 이 성분들이 자외선을 흡수해 피부에 침투되는 것을 막는 방식의 자외선차단제이다.[1]
물리적 자외선차단제[편집]
백탁 현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지만 DNA나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산화아연)와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이산화티타늄)등의 무기화학물질이 주성분을 이루며 이 성분들이 자외선을 반사, 산란시켜 피부에 침투되는 것을 막는 방식의 자외선차단제이다.[1]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은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가 DNA 내에 균열을 일으켜 염체색 손상과 암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하여 미국FDA에서 일부 성분에 대해 사용을 금지했다.[3]
효과[편집]
자외선 차단제는 태양의 자외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흑색종[4], 편평상피암, 두가지 형태의 피부암을 예방하기 위해 권장되고 있다.[5] 기저세포암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거의 없다.[6] 어떠한 의약협회도 비사용을 권장하는 곳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7]
출처 위키백과
최승규는 3쾌4무을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합니다
하루 1회 바르면 끝이나 3~4일 바르지 않아도 피부 손상 없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