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도재-국사봉(인증)-방장산(인증)-주월산(인증)-무남이재-고흥지맥분기점(인증)-존재산-큰봉-주릿재-485.5봉(인증)-석거리재(약 22.5km/10시간)
오도치- 파정치(2.2km), 관수산(방장산 536 2.1km), 이드리재(1.9km), 배거리재(0.7km), 주월산(558 0.6km)
무남이재(2.0km), 모암재(천치고개 느재 3.6km) - 존제산(712 1.3km), 주릿재(6.4km), 석거리재(4.6km)
<시간계획>
ㅇ23:50~04:30 : 들머리 이동 (전남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 산189-1 주변)
* 들머리 도착 예정시간 : 04:10
ㅇ04:30~14:30 : 산행
* 산행 예정 시간 : 7시간30분 ~ 9시간
* 차량 대기 장소 : 전남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 1061-1 주변
ㅇ14:30~19:00 : 귀경
* 들머리 석거리재 식당 : 일요일에 식당은 휴무입니다.
석거리재 휴게소 식당
전남 보성군 벌교읍 쌍향수길 229
(지번) 벌교읍 추동리 1061-1
010) 4800-1580
061) 857-4550
* 램플러 활용하기
램블러 등산 어플 사용법 기본, 램블러 따라가.. : 네이버블로그
* 산길샘 활용하기
- 산길샘[나들이] 앱 설치하는 방법 및 주요 기능 소개
- 산길샘 카페 : 모르는것 공부하기
산길샘[나들이] 동호회 : 네이버 카페
등산지도
지도표시 : 01
지도표시 : 02
지도표시 : 03
지도표시 : 04
지도표시 : 05
지도표시 : 06
존재산 부분으로 군부대 정문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야 함.
존제산 정상 부분
지도표시 : 07
지도표시 : 08
오도치는 전남 보성군 득량면 삼정리 오도골과 겸백면 수남리 오도골 사이의 고개로 845번 도로가 지나간다. 서쪽으로 길게 뻗어내린 방장산의 형국이 마치 5마리(五頭)의 돼지가 내려오는 모습 같다하여 오돗치(五頭峙)라 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도(五道)로 부르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19-01 국사봉 표지목,산패
파정치는 전남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와 득량면 예당리 사이의 고개이다. 수남리는 마을 앞의 초암산과 뒤쪽의 주월산사이에 흐르는 물이 남쪽으로 흐른다 하여 처음에는 무남이 또는 무냄이라고 하였으며, 한자음으로는 수남(水南)으로 표기되고 있다. 예당리의 파청마을은 마을 뒷산에 보살들이 절을 건립하였는데 절에 빈대가 많아 타지역으로 옮기면서 마을이 폐할 것이라 하여 파청이라 하였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19-02 방장산 정상석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예당리, 송곡리와 겸백면 수남리, 조성면 덕산리에 걸쳐 있는
관수산(방장산 方丈山 536)은 파청산 이라고도 하는데 파청산은 파청에 있는 산이라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옛 패주(보성)와 조양현의 경계로, 밑에 파청역이 있었다.
이드리재는 전남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의 이드리골과 조성면 봉능리 사이의 고개이다.
배거리재는 전남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와 조성면 봉능리, 우천리 사이의 고개이다. 갈래길이 아주 많고, 사방으로 조망이 확 트여있다. 배거리재는 옛날 이곳까지 강물이 차올랐다고 전해진다
전남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와 조성면 대곡리, 덕산리, 봉능리, 우천리에 걸쳐 있는
주월산(舟越山 558)은 배거릿재, 배너미, 배네미라고도 하는데 배가 넘어갔다고 하여 주월산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옛날 득량면 앞 바닷물이 홍수로 밀려 와 배가 이 산을 넘어 갔다고 구전한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19-03 주월산 정상석
무남이재는 전남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와 조성면 대곡리 사이의 고개로 남해고속도로가 지나간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19-04 고흥지맥 분기점(적지봉) 산패
모암재(천치고개 느재)는 전남 보성군 율어면 선암리의 모암마을과 벌교읍 옥전리의 느재골 사이의 고개이다.
선암리(船岩里)의 모암마을은 율어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촌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의 이름은 앞산에는 신부바위, 뒷 산에는 신랑바위가 서로 마주보고있다 하여 모암이라 하였다고 한다.
전남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 장동리, 선암리, 벌교읍 옥전리 경계의
존제산(尊帝山 712)은 존자산(尊者山), 금화산(金華山)이라고도 하며 고려 충렬왕이 남부 지방을 순시하는 길에 광주에 이르러 시종 관원에게 전남의 명산을 물었더니 첫째가 광주 무등산, 둘째가 나주 금성산, 셋째가 고흥 팔영산, 넷째가 보성의 존자산이라고 아뢰자 왕은 존자산보다 존제산이라 부르는 것이 낫겠다고 했다고 한다. 일설에는 이 고장 산수의 조종산 격인 제암산을 잊지 못해 돌아보고 높이 받든다는 뜻에서 그렇게 불러 왔다고도 한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20-01 485.5봉 산패
주릿재는 전남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와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 사이의 고개로 895번도로가 지나간다. 주로치(周路峙, 周老峙)라고도 하며 긴 밧줄을 틀어 놓은 것처럼 꾸불꾸불 한 형국이라 해서 붙은 이름이다.
석거리재는 전남 순천시 외서면 장산리와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 사이의 고개로 15번도로가 지나간다. 신거치(新巨峙), 신치(薪峙)라고도 하였으며 섶나무거리가 많아서 섶거릿재라 이름붙인 것이다. 석거리재는 섶거릿재가 변한 것이다.
참고사진
좋은사람들 예약 홈페이지
참고 산행기
호남정맥 종주 17구간 오도재~석거리재
램블러 : 트립 탐색
* GPS 트랙
- 정상트랙 : 설명포함
참고트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