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페회원분들 보다 호신용품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 분들을 위해 다른 곳에 올렸던 글 입니다. 부족하지만 정보 공유 차원에서 올립니다.>
제목: 삼단봉으로 가능한 공격 형태는? - 삼단봉 시리즈 #1
작성자: 송묘(셀프디펜스1)
호신용품으로 삼단봉에 관심 있어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네요. TV나 영화의 영향인지 호신용품 하면 삼단봉을 많이 떠올리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삼단봉에 대한 이야기를 몇 편에 나누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삼단봉 시리즈 첫번째로 삼단봉으로 가능한 공격 형태에 대해 이야기 하려 합니다.
삼단봉을 영어로 'Expandable Baton' 즉 '확장할 수 있는 봉(棒, 막대/몽둥이)'이라고 표현하는 데, 무술 쪽에서 봉(棒) 즉 몽둥이 처럼 딱딱한 물체로 상대를 가격하는 무기를 표현할 때 'Impact Weapon' 이라고도 합니다. 직역하여 '강력한 충격을 주는 무기, 강하게 충돌하는 무기'라고 한다면, 의역하면 '상대를 강하게 때리는 무기'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칼이나 검처럼 날이 서있는 물체로 상대를 베는 무기는 Edged Weapon)
1. 삼단봉 끝 부분으로 때리기
이처럼 삼단봉으로 상대를 공격해보라고 하면 누구나 삼단봉의 끝(팁, tip) 부분 또는 끝 마디 부분(상단봉)으로 상대를 때릴 것입니다. 그래서 일부 삼단봉의 경우, 주로 타격에 사용되는 맨 끝마디(상단봉) 봉의 재질과 다른 부분의 재질을 다르게도 합니다.
그럼 이 방법 외에 삼단봉을 이용한 공격은 어떤 형태가 있을까요?
2. 손잡이 끝 부분으로 공격
삼단봉 종류에 따라 손잡이 끝 부분이 위의 그림 처럼 밋밋한 일자인 경우가 있고, 유리파쇄기라고 해서 뾰족하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뾰족하든 일자이든 이 부분으로, 상대를 내려찍거나 올려치거나 하는 공격이 가능합니다.
공격 부위로 보면 일반적인 삼단봉 가격 부위가 앞(끝)인 반면, 이 공격은 뒤(시작, 손잡이) 부분인거죠.
보통 삼단봉을 오른손 잡이 인 경우 오른 손 한손으로 잡고 사용하는데, 총검술 처럼 오른 손은 손잡이를 왼손은 봉의 앞(끝) 부분을 잡고, 왼손을 축으로 오른 손을 휘둘러 손잡이 부분으로 상대를 공격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공간이 작거나 또는 다른 여러 이유로 삼단봉을 펼치지 못하는 경우, 삼단봉이 접혀진 상태에서도 이 방식으로 공격할 수 있습니다.
접은채 사용하면 일종의 쿠보탄이나 택티컬펜 처럼 사용하게 되는 거죠. 유래파쇄기가 달린 삼단봉이라면 더욱 그러네요.
3. 삼단봉 끝 부분으로 찌르기
삼단봉 시리즈에서 다루겠지만, 삼단봉을 분류하는 방식 중 하나가 접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마찰식(Friction Loc), 레버락(Lever Loc), 캠락(Cam Loc) 등이 있는데, 많이들 알고 있는 바닥에 내리쳐서 접는 방식이 마찰식 삼단봉입니다.
이런 마찰식 삼단봉으로 상대를 찌르는 경우, 상황에 따라 삼단봉이 접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면, 레버락이나 캠락 방식의 삼단봉은 봉을 돌리거나 손잡이 부분에 있는 버튼을 눌러 접는 방식이라, 일반적으로 찌르기를 하였을 때 쉽게 접히지 않습니다.
2번과 마찬가지로 한손으로 찌를 수도 있고, 두손으로 찌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삼단봉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접는 방식에 상관없이 찌르기가 가능하겠죠.
4. 삼단봉 중앙 부분으로 때리기 및 밀기(또는 당기기)
1~3번 공격 방식에 사용하는 삼단봉 부위가 끝(앞) 또는 뒷부분(손잡이)이었다면, 이 방식은 중앙 부분으로 때리거나 미는 방식입니다.
다른 공격 방식과 달리 한으로 손잡이 부분을 잡고 봉의 중앙 부분으로 상대를 때리거나 밀 때는 별로 파워가 없기에, 한 손은 손잡이를 다른 한손은 봉의 끝(앞, 상단봉)을 잡고 사용합니다.
5. 꺽기나 넘어뜨리기
1~4번의 공격 방식이 주로 때리는 방식이었다면, 5번은 삼단봉을 하나의 막대로 보고 지렛대처럼 사용하여 상대 관절을 꺾거나 넘어뜨리는 방식입니다.
보통 삼단봉 사용 영상 등을 보면, 삼단봉으로 상대 목을 조르거나 겨드랑이 또는 다리 사이에 봉을 넣고 넘어뜨리는 내용들이 나옵니다. 이 부분도 해당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숙달되었는가가 중요하겠지만, 상대에게 최소한의 피해를 주고 제압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할 것입니다.
6. 삼단봉 손잡이를 쥔 손(주먹)으로 공격
2~3 공격 방식도 삼단봉이 접힌 상태로 이루어진다고 해도 공격에 이용되는 삼단봉 부위가 삼단봉의 앞 또는 뒤인 반면, 이 방식은 삼단봉 손잡이를 쥐고 있는 손의 주먹을 이용합니다. 삼단봉이 펴진 상태에서도 전혀 불가능한 건 아니겠지만, 일반적으로 접힌 상태에서 이루어집니다.
지금 생각나는 건 이정도네요. 삼단봉을 1번 방식으로 세게 휘두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황이라는 게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알 수 없기에 그리고 삼단봉까지 꺼내들은상태라면 어떠한 경우라도 상대를 일시 무력화 할수 있어야 하기에 여러 방법을 몸에 익히는 것이 도움이 될 겁니다.
조금이라도 도움 되셨길 바라며, 삼단봉 시리즈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첫댓글 삼단봉을 한가지 형태로만 사용하는것보다 여러가지 형태로 사용할수 있다면 그것도 좋은 방법같습니다.
네. 어떠한 상황에서 어떤 상대를 대상으로 삼단봉을 뽑아 사용해야 할지모르며, 내가 의도한 바 처럼 상황이 돌아가는 것만이 아니니 항상 여러 상황에 대비하고 수련해야겠네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정말 그러네요.저는 지금까지 타격만으로 생각했는데 타격외에도 좋은기술들이 많은것 같아요.잘참고하겠습니다........
네. 도움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한 두번 휘두른 공격으로 상대에게 충분한 데미지를 주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그리고 상대가 나보다 더 강한(꼭 길이나 무기의 강도만이 아닌) 공격력을 갖춘 상대와 마주치는 경우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해서 훈련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