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둘레길 3-1코스(광나루역-고덕역) 트레킹 #1
2021. 4.23(금) 맑음, 나홀로
<트레킹코스 및 구간별 소요시간 : 약 10km, 약 3시간 소요>
광나루역/14:00-광진구민 체육센터/14:15-광진교/14:20-광나루 자전거공원/14:42-암사나들목/15:00-선사유적지 마을-선사사거리/15:11-
선사초등학교-암사동 선사유적지/15:19-서원마을회관-고덕산 트리전망대/15:40-암사아리수정수센터/15:48-고덕산/15:45-삼각점-
고덕동 1호 고인돌/16:12-고덕동 2호 고인돌-고덕산 끝지점/16:36-이마트-고덕역/17:00
2021.4.23(금) 서울 강남 석플란트 치과병원 진료관계로 서울로 향한다.
오전 7시 동해 고속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를 이용하여 10시 30분경 서울 강남터미널에 도착하여
오전 11시 부터 오후 1시까지 약 2시간 동안 진료를 마치고
서울둘레길 3코스 구간중 광나루역-고덕역 구간 10km, 3-1코스 구간(고덕산 구간) 트레킹을 실시하기로 한다.
도산공원 교차로 인근에서 시내버스 4212번을 타고 군자역에서 하차하여 군자역에서 광나루역까지 지하철 5호선을 이용한다.
[서울둘레길 3코스 고덕.일자산코스 지도]
서울둘레길 3코스는 3개의 세부구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3-1코스는 약 10km 구간으로 광나루역에서 명일공원(고덕역)까지, 3-2코스는 약 7.6km 구간으로 고덕역에서 올림픽역(오금1교)까지
3-3코스는 약 8.5km 구간으로 올림픽역에서 수서역까지 이다.
14:00 서울둘레길 3-1코스의 출발기점은 광나루역 2번 출구이다.
광나루역 2번 출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광진교 방향으로 나아간다.
횡단보도를 건너 직진하다보니 천호대교가 나온다.
더이상 서울둘레길 표식이 보이지 않아 다시 출발지점으로 Back한다.
다시 서울둘레길 표시에 따라 진행한다.
14:15 시립광진청소년센터, 광진구민 체육센타와 조형물
1963년부터 2019년까지 56년 세월동안 운영해온 한강호텔
광진둘레길 안내도
광진교 초입에서 바라보는 한강과 천호대교, 제2롯데타워
광진교 초입의 서울둘레길 3코스 스템프박스
광진교는 폭 20m, 길이 1,056m의 구 광장 제1동과 강동구 천호동 사이 한강에 있는 다리이다.
조선시대 이곳에 나루터가 있어 광나루 혹은 광진나루라고 불렸기 때문에 광나루다리, 한자명으로 광진교라고 이름 붙였다.
다리가 높고 길어 高層橋라고도 했으며, 일명 廣壯橋라고도 불렀다.
서울 동남부 지역으로의 통행량이 늘어나 1934년 착공되어 1936년 10월 완공되었다.
1950년 한국전쟁 때 파괴되었다가 1952년 미8군에 의해 복구되었다.
1991년 천호대교가 건설되면서 3년후인 1994년 이 광진교는 철거되었고 2003년 재건설되었으며,
2005년에는 자전거 접속도로 건설, 2009년 녹지보행로를 조성하고
’S’라인 벤치, 교목과 관목이 어울어진 화단 등 녹지공간사이에 보행자 산책로가 되었다.
피아노 건반 형태의 벤치에는 앉으면 음악이 흘러나온다.
광진교는 도보보행자와 자전거를 위한 다리로 되어 있어 주변 한강을 조망하면서 걸을수 있다.
S라인 벤치
광진교 다리 정중앙에 조성된 ‘광진교 8번가‘
전 세계 3곳밖에 없는 교각하부 전망대로 탁 트인 한강을 배경으로 휴식을 취하고(라운지) 다양한 문화공연을 즐길수 있는 곳(공연장)이다.
광진교 위에 설치된 화장실이다.
14:33 광진교를 지나기 전에 우측의 한강으로 내려가는 서울둘레길
광나루역에서 1.4km 지점이다.
천호대교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우측으로 돌아선다.
광진교 아래로 지나간다.
14:42 광나루 자전거공원과 그 뒤로 아차산과 용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