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糖尿(당뇨) 副作用(부작용) 없이 쉽고 確實(확실)하게💢💢
💢💢糖尿(당뇨) 禮房(예방)할 수 있어요!💢💢
당뇨병(糖尿病, diabetes mellitus, DM, diabetes)은 높은 血糖(혈당) 數値(수치)가 오랜 期間(기간) 지속되는 代謝(대사) 疾患群(질환군)을 말한다. 血糖(혈당)이 높을 때의 症狀(증상)으로는 小便(소변)이 잦아지고, 渴症(갈증)과 배고픔이 甚(심)해진다. 이를 治療(치료)하지 않으면 다른 合倂症(합병증)을 誘發(유발)할 수 있다. 急性(급성)의 合倂症(합병증)으로는 糖尿病(당뇨병)케톤산증[케톤산증: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의 케톤산증 血糖(혈당)이 높은 채로 治療(치료)하지 않고 放置(방치)한다면 심각한 症勢(증세)인 糖尿病性(당뇨병성) 케톤산증 發展(발전) 할 수 있습니다. 多幸(다행)히도, 糖尿病(당뇨병) 管理(관리)를 잘 한다면, 이러한 症狀(증상)은 避(피)할 수 있습니다.
ketoacidosis(케톤산증症(증)산증)은 며칠간에 걸쳐 생기는데,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들에게 빈번히 發生(발생)됩니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들에게도 發生(발생)되지만 드문 일입니다.) 葡萄糖(포도당)을 分解(분해)할 인슐린이 充分(충분)하지 않을 때 케톤(ketone)이라는 몸에 해로운 物質(물질)이 血液(혈액) 안에 쌓인 結果(결과)로 케톤산증이 생깁니다.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들에게는 energy(에너지)를 供給(공급)하기 위해 脂肪(지방)이 分解(분해) 되어 케톤(ketone)이 形成(형성)됩니다. 이런 ketone(케톤)은 血液(혈액) 안에서 매우 危險(위험)한 水位(수위)까지 그 數値(수치)가 높아집니다.
ketoacidosis(케톤酸症(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을 避(피)하기 위한 糖尿病(당뇨병)管理(관리).
• 主治醫(주치의)나 看護師(간호사)에게 服用(복용)하는 모든 藥(약)에 對(대)해 알려주세요.
• 血糖(혈당)을 자주 檢査(검사)하고 數値(수치)가 올라갔다면 主治醫(주치의)에게 報告(보고)하세요.
• 處方(처방)된 대로 定(정)해진 時間(시간)에 인슐린을 注射(주사)하세요.
• 케톤(Ketone) 小便(소변) 檢査(검사)를 하세요.
insulin(인슐린)의 有效期間(유효기간)을 確認(확인)하세요.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의 무케톤성 고삼투성 症候群(증후군).
무케톤성 고삼투성 症候群(증후군)은 血糖(혈당)이 높아져서 血液(혈액)이 끈적해 질 때 發生(발생)합니다. 이 症勢(증세)는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 中(중)50歲(세) 이상 成人(성인)에게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무케톤성 고삼투성 症候群(증후군)으로 因(인)해 血糖(혈당)이 높은 數値(수치)까지 올라가지만, 體內(체내)에 充分(충분)한 인슐린이 있어서 케톤(Ketone)이 形成(형성)되지는 않습니다. 자주 發生(발생)하는 症勢(증세)는 아니지만, 한 번 發生(발생)하면 심각한 緊急(긴급)狀況(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主要(주요) ketogenic(무케톤성) 고삼투성 症候群(증후군)의 症勢(증세):
• 甚(심)한 脫水症勢(탈수증세)로 因(인)한 過度(과도)한 渴症(갈증)과 多尿(다뇨).
• 甚(심)한 體重減少(체중감소).
• 極甚(극심)한 疲勞感(피로감).
• 低血壓(저혈압).
深刻(심각)한 脫水症(탈수증)은 精神的(정신적) 混亂(혼란)이나 指南力(지남력) 障礙(장애)를 惹起(야기) 할 수 있습니다. 萬若(만약) 早期(조기)에 發見(발견)되지 않는다면 昏睡狀態(혼수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病院(병원) 應急(응급)治療(치료)로는 體液(체액)의 靜脈(정맥) 代替(대체) 療法(요법)과 인슐린[(英語(영어) : insulin , 英語(영어)로 island란 意味(의미)를 갖는 라틴어 insula에서 由來(유래)됨)] 療法(요법)이 있습니다.
一部(일부) 患者(환자)들에게는 Ketonic hyperosmolarity(무케톤성 고삼투성) 症候群(증후군)이 糖尿病(당뇨병)의 첫 번째 症勢(증세)로 나타나는 境遇(경우)도 있습니다. 週期的(주기적)으로 血糖(혈당)을 檢査(검사)하면 무케톤성 고삼투성 症候群(증후군)을 일으키는 아주 甚(심)한 高血糖(고혈당)을 發見(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더 알아보기.
糖尿病(당뇨병)의 根本的(근본적) 特性(특성)과 糖尿病(당뇨병)의 短(단), 長期間(장기간)의 合倂症(합병증) 때문에, 持續的(지속적)으로 血中(혈중) 포도당 數値(수치)를 알고 있는 것은 重要(중요)합니다.], 高血糖性(고혈당성) 고삼투성 비케톤성 昏睡(혼수) 等(등)이 包含(포함)된다. 深刻(심각)한 長期間(장기간) 合倂症(합병증)으로는 心血管疾患(심혈관질환), 腦卒中(뇌졸중), 慢性(만성)신부전, 糖尿病性(당뇨병성) 潰瘍(궤양), 糖尿網膜病(당뇨망막병) 等(등)이 包含(포함)된다.
糖尿病(당뇨병)은 膵臟(췌장)이 充分(충분)한 insulin(인슐린)을 만들어 내지 못하거나 몸의 細胞(세포)가 만들어진 insulin(인슐린)에 適切(적절)하게 反應(반응)하지 못하는 것이 原因(원인)이 된다.
insulin(인슐린) 作用(작용)의 不足(부족) 等(등)에 依(의)한 慢性(만성) 高血糖症(고혈당증)은 여러 特徵的(특징적)인 代謝(대사) 異狀(이상)을 隨伴(수반)한다. insulin(인슐린)은 주로 炭水化物(탄수화물) 代謝(대사)에 關與(관여)하므로, 糖尿病(당뇨병)은 炭水化物(탄수화물) 代謝(대사)의 異狀(이상)이 基本的(기본적)인 問題(문제)이나, 이로 因(인)해 體內(체내)의 모든 營養素(영양소) 代謝(대사)가 影響(영향)을 받게 되므로, 또한 總體的(총체적)인 代謝上(대사상)의 疾病(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糖尿病(당뇨병)은 現代(현대)에서 가장 中夭(중요)한 慢性(만성)疾病(질병)으로 꼽히며 特(특)히 先進國(선진국)일수록 發生(발생) 頻度(빈도)가 높다.糖尿病(당뇨병)은 通常(통상) 다음의 세 가지로 나뉜다.
•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은 充分(충분)한 insulin(인슐린)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것에 基因(기인)한다. 'insulin(인슐린)依存(의존)糖尿病(당뇨병)' 또는 '연소성 糖尿病(당뇨병)'이라고도 한다. 原因(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은 細胞(세포)가 insulin(인슐린)에 適切(적절)하게 反應(반응)하지 못하는 insulin(인슐린)抵抗(저항)으로 始作(시작)된다. 病(병)이 進行(진행)되면서 insulin(인슐린) 不足(부족)이 發生(발생)할 수도 있다. 'insulin(인슐린)-非依存(비의존) 糖尿病(당뇨병)' 또는 '成人(성인) 糖尿病(당뇨병)'이라고도 한다. 體重(체중) 過多(과다)와 充分(충분)하지 못한 運動(운동)으로 주로 發病(발병)한다.
• 妊娠糖尿病(임신당뇨병)은 세 番(번)째 有形(유형)이며, 糖尿病(당뇨병)의 病歷(병력)이 없는 妊娠(임신)한 女性(여성)에 高血糖(고혈당)으로 發展(발전)하는 境遇(경우)에 發病(발병)한다.
豫防(예방)과 治療(치료)로 保健式(보건식), 運動(운동), 禁煙(금연), 正常體重(정상체중) 維持(유지)가 包含(포함)된다. 血壓(혈압) 調節(조절)과 適切(적절)한 발 管理(관리) 또한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들에 있어 重要(중요)하다.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은 insulin(인슐린) 注射(주사)로 管理(관리)되어야 한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은 投藥(투약)으로 治療(치료)하는데, insulin(인슐린)이 包含(포함)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insulin(인슐린)과 一部(일부) 經口(경구) 投藥(투약)은 低血糖(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肥滿症(비만증)이 있는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에는 體重減量(체중감량) 手術(수술)이 效果的(효과적)인 措置(조치)일 수 있다. 妊娠糖尿病(임신당뇨병)은 通常(통상) 出産(출산) 後(후) 解決(해결)된다.
2014年(년) 基準(기준)으로, 世界的(세계적)으로는 約(약) 3億(억) 8千餘名(천여명)의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가 存在(존재)하며,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이 90%를 次知(차지)한다. 이는 成人(성인) 人口(인구)의 8.3%에 該當(해당)되는데,[男女(남녀)의 比率(비율)은 서로 같다. 2012年(년)부터 2014年(년)까지, 每年(매년) 糖尿病(당뇨병)으로 死亡(사망)한 사람은 150萬(만)에서 490萬(만)에 이르는 것으로 推定(추정)되었다. 糖尿病(당뇨병)은 死亡(사망) 危險(위험)을 最小(최소)한 두 倍(배)로 늘인다. 糖尿病(당뇨병)은 2035年(년) 5億(억) 9千餘萬(천여만) 名(명)에 이를 것으로 豫測(예측)된다. 世界的(세계적)으로 糖尿病(당뇨병)에 드는 經濟的(경제적) 費用(비용)은 6,120億(억) 美國(미국) dollar(달러)에 이를 것으로 推定(추정)된다. 2012年(년) 美國(미국)에서는 糖尿病(당뇨병)에 드는 費用(비용)은 2,450億(억) dollar(달러)에 달했다.
目次(목차)
• 1 徵候(징후)와 症狀(증상).
• 1.1 應急(응급)狀況(상황).
• 1.2 合倂症(합병증).
• 2 分類(분류) 및 原因(원인).
• 2.1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
• 2.2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
• 2.3 妊娠糖尿病(임신당뇨병).
• 2.4 其他有形(기타유형).
• 3 病態生理學(병태생리학).
• 3.1 병리기전.
• 4 診斷(진단).
• 4.1 診斷基準(진단기준).
• 5 豫防(예방).
• 6 管理(관리) 및 治療(치료).
• 6.1 生活方式(생활방식).
• 6.2 投藥(투약).
• 6.3 手術(수술).
• 7 疫學(역학).
徵候(징후)와 症狀(증상).
治療(치료)받지 않은 典型的(전형적)인 糖尿病(당뇨병)의 症狀(증상)은 體重(체중) 減少(감소), 多尿症(다뇨증), 多飮多渴症(다음다갈증), 多食症(다식증)이다.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에서는 症狀(증상)이 數(수) 週(주) 또는 數(수) 個月(개월) 사이에 急速(급속)하게 發展(발전)할 수 있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은 그보다 훨씬 천천히 進行(진행)되고, 症狀(증상)이 微微(미미)하거나 없을 수 있다.
糖尿病(당뇨병)에만 特定(특정)되지 않지만 여러 다른 徵候(징후)와 症狀(증상)으로 糖尿病(당뇨병)이 始作(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에 言及(언급)된 症狀(증상)에 더하여, 흐린 視覺(시각), 頭痛(두통), 疲勞(피로), 베인 傷處(상처)의 늦은 治癒(치유), 皮膚(피부)의 가려움 等(등)이 여기에 包含(포함)된다. 높은 血糖(혈당)이 持續(지속)되면 水晶體(수정체)에 葡萄糖(포도당)이 吸水(흡수)될 수 있으며, 模樣(모양)의 變形(변형)을 가져와 視力(시력)을 變化(변화)시킨다. 糖尿病(당뇨병)으로 일어날 수 있는 皮膚(피부) 發疹(발진)들은 總括(총괄)하여 糖尿病(당뇨병) 皮膚(피부)症候群(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
糖尿病(당뇨병)콩팥병증으로 알려진 腎臟(신장)의 損傷(손상)은 組織(조직)에 흉터가 形成(형성)될 수 있고, 오줌으로 蛋白質(단백질)을 잃어버릴 수 있으며, 結局(결국)에는 透析(투석)이나 腎臟(신장) 移植(이식)이 必要(필요)할 수 있는 慢性(만성) 콩팥病(병)에 걸릴 수 있다. 糖尿病神經病症(당뇨병신경병증)으로 불리는 體內(체내)의 神經(신경) 損傷(손상)은 糖尿病(당뇨병)의 가장 흔한 合倂症(합병증)이다.
症狀(증상)으로는 無感覺(무감각), 저림, 痛症(통증), 痛覺(통각) 變更(변경) 等(등)이 있으며, 이들은 皮膚(피부)損傷(손상)을 招來(초래)할 수 있다. 糖尿足(당뇨족)(糖尿病性(당뇨병성) 足部(족부) 潰瘍(궤양)과 같은 糖尿病(당뇨병)에 關聯(관련)된 발 問題(문제)도 생길 수 있는데, 治療(치료)가 어려울 수 있고, 種種(종종) 截斷(절단)이 必要(필요)하다. 追加(추가)로, 筋痿 糖尿病神經病症(근위당뇨병신경병증)은 苦痛(고통)스러운 筋肉衰弱(근육쇠약)을 招來(초래)할 수 있다.
認知缺損(인지결손)과 糖尿病(당뇨병)은 聯關性(연관성)이 있다. 糖尿病(당뇨병)이 없는 境遇(경우)와 比較(비교)하여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들은 認知機能(인지기능)의 減少(감소) 速度(속도)가 1.2에서 1.5倍(배) 크다.
分類(분류) 및 原因(원인).
特徵(특징) |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 |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 |
發現(발현) | 急性(급성) | 漸進的(점진적) |
發現(발현)年齡(연령) | 大部分(대부분) 어린이 | 大部分(대부분) 어른 |
體格(체격) | 마르거나 普通(보통) | 種種(종종) 肥滿(비만) |
ketoacidosis(케톤산증) | 흔하다 | 드물다 |
自家(자가)抗體(항체) | 普通(보통) 存在(존재) | 缺如(결여) |
內因性(내인성) 인슐린 | 적거나 缺如(결여) | 普通(보통), 減少(감소) 또는 증가 |
일란성쌍둥이의 形質(형질) 一致(일치) | 50% | 90% |
有病率(유병률) | ~10% | ~90% |
糖尿病(당뇨병)은 크게 네 가지, 卽(즉)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 妊娠糖尿病(임신당뇨병), 그리고 其他(기타) 特異(특이) 形態(형태)의 糖尿病(당뇨병)으로 分類(분류)된다. '其他(기타) 特異(특이) 形態(형태)'라는 것은 個別的(개별적)인 數十件(수십건)의 原因(원인)을 모은 것이다.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은 膵臟(췌장) beta(베타) 細胞(세포)의 破壞性(파괴성) 病變(병변)에 依(의)해 insulin(인슐린)이 缺乏(결핍)되어 생기는 糖尿病(당뇨병)으로, 다시 免疫(면역) 媒介形(매개형), 原因(원인) 不明形(불명형)으로 나뉜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은 insulin(인슐린) 分泌低下(분비저하)와 insulin(인슐린) 抵抗性(저항성)(IR)으로 因(인)해 생기며, 이 두 가지 因子(인자)의 關與(관여) 程度(정도)에 따라 insulin(인슐린) 分泌不足(분비부족) 優位(우위) 糖尿病(당뇨병)과 insulin(인슐린) 抵抗性(저항성) 優位(우위) 糖尿病(당뇨병)으로 나뉜다. 以外(이외)에도 妊娠(임신) 中(중)에 처음 發生(발생)하거나 診斷(진단)된 모든 形態(형태)의 內堂能障礙(내당능장애)를 妊娠性(임신성) 糖尿病(당뇨병)이라고 하며, 正常(정상)과 糖尿病(당뇨병) 사이의 血糖(혈당) 濃度(농도)를 보이는 境遇(경우)를 警戒形(경계형) 糖尿(당뇨)라고 한다.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은 膵臟(췌장)에서 insulin(인슐린)을 生成(생성)하는 Langerhans Island(랑게르한스섬)의 beta(베타) 細胞(세포)의 損失(손실)로 insulin(인슐린)이 缺乏(결핍)되는 것이 特徵(특징)인 糖尿病(당뇨병)이다.
이 形態(형태)는 다시 免疫媒介形(면역매개형)(immune-mediated)과 原因不明形(원인불명형)(idiopathic)으로 細分(세분)되기도 한다. 第(제)1形(형)의 大部分(대부분)은 免疫媒介(면역매개)이며, T細胞(세포) 媒介(매개)의 自家免疫(자가면역) 攻擊(공격)이 beta(베타) 細胞(세포)와 insulin(인슐린)의 損失(손실)을 招來(초래)한다. 이는 North America북아메리카와 Europe(유럽)에서 發生(발생)하는 糖尿病(당뇨병) 中(중) 約(약) 10%의 原因(원인)이 된다. 發病時(발병시) 大部分(대부분)의 사람들은 健康(건강)하며 體重(체중)도 正常(정상)이다. 感受性(감수성)과 insulin(인슐린)에 對(대)한 反應(반응)은 普通(보통) 正常(정상)이며, 初期(초기) 段階(단계)에는 特(특)히 그러하다.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은 어린이나 어른 모두에 影響(영향)을 줄 수 있지만, 어린이들에서 大部分(대부분) 發生(발생)하므로 傳統的(전통적)으로 '小兒糖尿病(소아당뇨병)'이라 부른다.
不安定糖尿病(불안정당뇨병)은 insulin(인슐린)依存糖尿病(의존당뇨병)에서 種種(종종) 特別(특별)한 理由(이유) 없이 劇的(극적)으로 再發(재발)되는 glucose(글루코스) 數値(수치)의 變動(변동)을 傳統的(전통적)으로 불렀던 名稱(명칭)으로, 生物學上(생물학상)의 根據(근거)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은 不規則(불규칙)하고 豫測(예측)이 不可能(불가능)한 高血糖(고혈당), 種種(종종) ketosis(케톤증), 가끔씩은 深刻(심각)한 低血糖(저혈당)을 同伴(동반)하기도 한다. 다른 合倂症(합병증)으로는 低血糖(저혈당)의 對應(대응) 反應(반응) 調節(조절) 惡化(악화), 感染(감염), 食餌(식이) 炭水化物(탄수화물)의 吸水(흡수)가 不規則(불규칙)해지는 胃痲痹(위마비), 內分泌病(내분비병)(例(예)를 들면 Addison's disease(에디슨병) 等(등)이 있다. 이러한 現象(현상)들은 1%에서 2% 以下(이하)의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들에서 發生(발생)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은 一部分(일부분) 先天的(선천적)이며, 糖尿病(당뇨병)의 危險性(위험성)에 影響(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特定(특정) 사람백혈구항원을 包含(포함)한 腹水(복수)의 遺傳子(유전자)와 關聯(관련)이 있다. 遺傳的(유전적)으로 感受性(감수성)이 있는 사람들에 있어서 糖尿病(당뇨병)의 始作(시작)은 virus(바이러스) 感染(감염)이나 食事(식사) 等(등) 한 가지 또는 그 以上(이상)의 環境的(환경적) 要人(요인)에 觸發(촉발)될 수 있다.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과 Coxsackie(콕사키) B4 virus(바이러스)의 聯關性(연관성)을 暗示(암시)하는 若干(약간)의 證據(증거)가 있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과는 달리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의 始作(시작)과 生活方式(생활방식)은 서로 關聯(관련)이 없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은 insulin(인슐린) 抵抗性(저항성)이 있는 것이 特徵(특징)이며, 相對的(상대적)으로 줄어든 insulin(인슐린) 分泌(분비)와 關聯(관련)되었을 수 있다. 體(체) 組織(조직)의 insulin(인슐린)에 對(대)한 反應(반응) 缺損(결손)은 insulin(인슐린)受容體(수용체)와 關聯(관련)이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어쨌거나, 特別(특별)한 缺陷(결함)은 알려지지 않았고, 알려진 缺陷(결함)에 依(의)한 糖尿病(당뇨병)은 別途(별도)로 區分(구분)된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은 가장 흔한 種類(종류)이다.
第(제)2形(형)의 初期(초기) 두드러지는 이상은 insulin(인슐린) 感受性(감수성)의 減少(감소)이다. 이 段階(단계)에서는 insulin(인슐린) 感受性(감수성)을 向上(향상)시키거나 肝(간)의 葡萄糖(포도당) 生産(생산)을 줄이는 投藥(투약)과 多樣(다양)한 措置(조치)로 高血糖症(고혈당증)이 逆轉(역전)될 수 있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은 주로 生活方式(생활방식)의 要素(요소)나 遺傳(유전)에 依(의)한다.
肥滿(비만)(體質量(체질량) 指數(지수) 30 超過(초과)로 定義(정의), 運動(운동) 不足(부족), 不實(부실)한 食事(식사), stress(스트레스), 都市化(도시화) 等(등)을 包含(포함)한 몇 가지 生活方式(생활방식) 要所(요소)들은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의 發生(발생)에 있어 重要(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中國(중국)과 日本(일본) 사람의 30%, Europe(유럽)과 Africa(아프리카) 사람의 60~80%, pima indians(피마족 인디언)과 太平洋(태평양) 섬주민들의 100%가 過度(과도)한 體脂肪(체지방)에 關聯(관련)되어 있다. 肥滿(비만)이 없는 사람들도 種種(종종) 높은 허리엉덩이 比率(비율)을 갖는다.
食事(식사) 要所(요소) 또한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의 發展(발전)에 影響(영향)을 준다. 설탕이 添加(첨가)된 飮料(음료)의 過度(과도)한 攝取(섭취)는 危險(위험) 增加(증가)와 關聯(관련)이 있다. 食事(식사)에서의 脂肪(지방)의 種類(종류)도 重要(중요)한데, 飽和(포화) 脂肪酸(지방산)과 trance(트랜스脂肪(지방)은 危險(위험)을 增加(증가)시키며, 다불포화지방산과 不飽和脂肪(불포화지방)은 危險(위험)을 減少(감소)시킨다. 白米(백미)의 多量(다량) 攝取(섭취)는 危險(위험)을 增加(증가)시키는 役割(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患者(환자)의 7%는 運動(운동) 不足(부족)으로 誘發(유발)되었다고 여겨진다.
妊娠糖尿病(임신당뇨병).
妊娠糖尿病(임신당뇨병)(GD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은 insulin(인슐린) 分泌(분비)와 反應(반응)이 相對的(상대적)으로 不充分(불충분)한 症勢(증세)의 調合(조합)과 關聯(관련)되어 있으며, 여러 面(면)에서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과 닮았다. 이 病(병)은 姙娠婦(임신부)의 約(약) 2~10%에서 發病(발병)되며, 出産(출산) 後(후)에는 症勢(증세)가 좋아지거나 사라진다. 어쨌거나, 妊娠(임신) 後(후) 妊娠糖尿病(임신당뇨병)이 있는 女性(여성)의 5~10% 程度(정도)가 糖尿病(당뇨병)이 있는 것으로 把握(파악)되는데, 大部分(대부분)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이다. 妊娠糖尿病(임신당뇨병)은 完全(완전)히 治療(치료)할 수 있으나, 妊娠(임신) 期間(기간) 동안 주의 깊은 醫學的(의학적) 管理(관리)가 必要(필요)하다. 管理(관리)에는 食習慣(식습관) 改善(개선), 血糖監視(혈당감시), 境遇(경우)에 따라서는 insulin(인슐린)이 必要(필요)할 수 있다.
一時的(일시적)이기는 하지만, 妊娠糖尿病(임신당뇨병)을 治療(치료)하지 않으면 胎兒(태아)나 産母(산모)의 健康(건강)을 해칠 수 있다. 胎兒(태아)에 있을 수 있는 危險(위험)으로는 巨軀症(거구증), 先天的(선천적)인 心臟(심장)과 中樞神經系(중추신경계) 이상, 骨格根(골격근) 奇形(기형) 等(등)이 包含(포함)된다. 胎兒(태아)의 insulin(인슐린) 增加(증가)는 胎兒(태아)의 表面活性劑(표면활성제) 生産(생산)을 막아 呼吸(호흡)困難(곤란)症候群(증후군)을 誘發(유발)한다. 赤血球(적혈구)의 破壞(파괴)로부터 Gobiliru(고빌리루)貧血症(빈혈증)이 發生(발생)할 수 있다. 甚(심)한 境遇(경우) 周産期死亡(주산기사망)이 發生(발생)할 수 있는데, 大部分(대부분) 血管(혈관) 障礙(장애)로 胎盤(태반) 灌流(관류)가 不良(불량)한 結果(결과)이다. 胎盤機能(태반기능) 低下(저하)에는 分娩誘導(분만유도)가 必要(필요)할 수 있다. 뚜렷한 태아절박가사가 있거나 어깨難産(난산)과 같은 巨軀症(거구증)으로 因(인)한 負傷(부상) 危險(위험)이 增加(증가)하면 帝王切開(제왕절개)를 實施(실시)할 수도 있다.
其他(기타) 有形(유형).
糖尿病(당뇨병)전기는 血糖値(혈당치)가 平均(평균)보다 높지만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으로 診斷(진단)될 程度(정도)는 아닐 때에 發生(발생)한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으로 發展(발전)하는 多數(다수)는 數年間(수년간) 糖尿病(당뇨병)전기의 狀態(상태)에 있게 된다.
成人(성인)潛伏(잠복) 自家免疫(자가면역) 糖尿病(당뇨병) (LADA, Latent autoimmune diabetes of adults)은 成人(성인)에서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으로 發展(발전)하는 境遇(경우)이다. LADA가 있는 成人(성인)은 年齡(연령)보다는 病因論(병인론) 때문에 種種(종종)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으로 誤診(오진)된다.
一部(일부) 有形(유형)의 糖尿病(당뇨병)은 體組織(체조직)의 受容體(수용체)가 insulin(인슐린)에 反應(반응)하지 않아 發生(발생)된다. 이는 insulin(인슐린)이 正常(정상)인 境遇(경우)에도 發生(발생)하여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과 區別(구별)되는데, 이러한 有形(유형)은 매우 드물다. 普通(보통) 染色體(염색체) 또는 mitochondria(미토콘드리아)의 遺傳的(유전적) 變異(변이)가 beta(베타) 細胞(세포) 機能(기능)의 缺陷(결함)을 招來(초래)할 수 있다. 만성재발이자(췌장)염[晩成再發膵臟炎(만성재발췌장염)]이나 囊胞性(낭포성) 纖維症(섬유증) 같은 胰子(이자)에 큰 損傷(손상)을 주는 疾病(질병)은 糖尿病(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다. insulin(인슐린) 拮抗性(길항성)의 hormone(호르몬)의 過多(과다) 分泌(분비)와 關聯(관련)된 疾病(질병)도 糖尿病(당뇨병)을 誘發(유발)할 수 있으나, 通常(통상) hormone(호르몬) 過剩(과잉)이 除去(제거)되면 解決(해결)된다. 많은 藥劑(약제)들이 insulin(인슐린) 分泌(분비)에 損傷(손상)을 주며, 一部(일부) 毒素(독소)는 胰子(이자)의 beta(베타) 細胞(세포)에 被害(피해)를 준다.
其他(기타) 有形(유형)의 糖尿病(당뇨병)으로는 過量(과량)의 糖質(당질) corticoid(코르티코이드)로 誘發(유발)되는 steroid(스테로이드) 糖尿病(당뇨병), 여러 有形(유형)의 單一遺傳子(단일유전자) 糖尿病(당뇨병)(MODY, Maturity onset diabetes of the young) 等(등)이 있다.
糖尿病(당뇨병)의 其他(기타) 原因(원인)들을 綜合(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베타 세포 기능의 유전적 결함 성인발병 당뇨병(MODY, Maturity onset diabetes of the young)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 인슐린 생성 또는 인슐린 작용의 유전적 결함 풋인슐린 전환의 결함 인슐린 유전자 변이 인슐린 수용체 변이 외분비이자 결손 만성재발이자염 이자절제 췌장암 낭포성 섬유증 혈색소증 섬유석회화 이자병증 | 內分泌學(내분비학) 성장 호르몬 과잉 (말단비대증) 쿠싱 증후군 갑상샘 과다증 크롬친화세포종 글루카곤증 감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감염 콕사키 B군 바이러스 약제 당질 코르티코이드 갑상샘호르몬 베타아드레날린 작용제들 스타틴 |
病態生理學(병태생리학).
正常的(정상적)인 胰子(이자)의 beta(베타) 細胞(세포)에서의 insulin(인슐린) 分泌(분비)旣濟(기제) — insulin(인슐린) 生産(생산)은 beta(베타) 細胞(세포) 內(내)에서는 어느 정도 一定(일정)하다. insulin(인슐린) 分泌(분비)는 飮食(음식), 주로 體內(체내)에 吸水(흡수)되는 葡萄糖(포도당)을 含有(함유)한 飮食(음식)에 依(의)해 觸發(촉발)된다.
insulin(인슐린)은 大部分(대부분)의 體細胞(체세포), 特(특)히 肝(간), 筋肉(근육), 脂肪組織(지방조직)으로의 疲勞(피로)부터의 葡萄糖(포도당) 攝取(섭취)를 調節(조절)하는 主要(주요) hormone(호르몬)이다. 따라서, insulin(인슐린)의 不足(부족)이나 그 受容體(수용체)의 感受性(감수성)이 모든 形態(형태)의 糖尿病(당뇨병)에서 重要(중요)한 役割(역할)을 한다. 人體(인체)는 주로 세 곳에서 葡萄糖(포도당)을 얻는다. 이는 內臟(내장)에서의 飮食(음식) 吸水(흡수), 肝(간)에서 發見(발견)되는 葡萄糖(포도당)의 貯藏形(저장형)인 glycogen(글리코겐)의 分解(분해), 體內(체내)에서 炭水化物(탄수화물)의 基本(기본) 物質(물질) 없이 葡萄糖(포도당)을 生成(생성)하는 葡萄糖新合成(포도당신합성)을 말한다. insulin(인슐린)은 體內(체내)의 葡萄糖治(포도당치) 均衡(균형) 維持(유지)에 重大(중대)한 役割(역할)을 한다. insulin(인슐린)은 glycogen(글리코겐)의 分解(분해)나 葡萄糖新合成(포도당신합성)을 막을 수 있으며, 葡萄糖(포도당)의 脂肪(지방)과 筋肉(근육) 細胞(세포)로의 運搬(운반)을 活性化(활성화)할 수 있고, 葡萄糖(포도당)의 glycogen(글리코겐) 形態(형태)로의 貯藏(저장)을 活性化(활성화)할 수 있다.
insulin(인슐린)은 주로 食事(식사) 後(후)의 血糖値(혈당치) 上昇(상승)에 反應(반응)하여 beta(베타) 細胞(세포)에 依(의)해 血液(혈액) 속으로 放出(방출)되고, 胰子(이자) 內(내)의 Langerhans Island(랑게르한스섬)에서 찾아볼 수 있다. insulin(인슐린)은 約(약) 2/3의 體細胞(체세포)에서 燃料(연료)로서의 使用(사용), 다른 分子(분자)로의 轉換(전환), 또는 貯藏(저장)을 위해 血液(혈액)으로부터 葡萄糖(포도당)을 吸水(흡수)하는 데에 쓰인다. 低血糖(저혈당)은 beta(베타) 細胞(세포)로부터의 insulin(인슐린) 放出(방출)을 減少(감소)시키고, glycogen(글리코겐)이 葡萄糖(포도당)으로 分解(분해)되게 한다. 이 過程(과정)은 hormone(호르몬)인 glucagon(글루카곤)에 依(의)해 주로 調節(조절)되는데, glucagon(글루카곤)은 insulin(인슐린) 과 反對(반대)의 作用(작용)을 한다.
使用(사용) 可能(가능)한 insulin(인슐린)의 量(양)이 充分(충분)하지 않거나 細胞(세포)들이 insulin(인슐린)에 잘 反應(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insulin(인슐린) 自體(자체)가 缺陷(결함)이 있다면, 葡萄糖(포도당)은 必要(필요)로 하는 體細胞(체세포)에 제대로 吸水(흡수)되지 않고, 肝(간)과 筋肉(근육)에 適切(적절)하게 貯藏(저장)되지 않게 된다. 이들은 持續的(지속적)으로 血糖値(혈당치)를 높이고, 蛋白質(단백질) 合成(합성)을 어렵게 하며, 疝症(산증)과 같은 또 다른 代謝(대사) 障礙(장애)를 일으킨다.
時間(시간)이 지나도 血液(혈액) 內(내)의 葡萄糖(포도당) 濃度(농도)가 높으면 콩팥은 再吸水(재흡수)의 문턱값에 到達(도달)하게 되고, 葡萄糖(포도당)은 小便(소변)으로 排泄(배설)되는데, 이것이 糖尿(당뇨)이다. 小便(소변)의 滲透壓(삼투압)이 增加(증가)하고, 腎臟(신장)에 依(의)한 再吸水(재흡수)가 안 되어 小便(소변)의 生成(생성)이 늘어나는 多尿症(다뇨증)이 되며, 體液(체액)이 損失(손실)이 늘어난다. 血液量(혈액량)이 減少(감소)되면 體細胞(체세포)와 다른 몸의 區劃(구획)으로부터 水分(수분)이 滲透(삼투)로 代替(대체)되어 脫水(탈수)를 誘發(유발)하며, 渴症(갈증)이 深化(심화)되어 茶飮症(다음증)이 된다.
before pathology(병리기전).
糖尿病(당뇨병)은 insulin(인슐린) 不足(부족)이나 insulin(인슐린)에 對(대)한 細胞(세포) 抵抗(저항)으로 因(인)한 高血糖(고혈당)이 根本的(근본적)인 原因(원인)으로 高血糖(고혈당)이 持續(지속)됨에 따라 代謝上(대사상)의 變化(변화)가 招來(초래)된다. insulin(인슐린) 作用(작용)이 低下(저하)되면 過多(과다)한 糖(당)을 攝取(섭취)하였을 때 一定(일정)한 血糖(혈당) 水尊(수준)을 維持(유지)하는 內堂(내당)能力(능력)이 減少(감소)하므로 血糖(혈당)이 높아지고 따라서 糖(당)을 小便(소변)으로 排泄(배설)하는 葡萄糖(포도당) 浪費(낭비) 現象(현상)을 보인다.
糖尿病(당뇨병) 初期(초기)의 特徵的(특징적)인 症狀(증상)으로는 多尿(다뇨)(polyuria), 渴症(갈증)(polydipsia), 食慾航進(식욕항진)(polyphagia), 體重減少(체중감소)를 들 수 있다.
臨床的(임상적)인 症狀(증상)으로는 요를 通(통)한 糖(당)의 排泄(배설)(glucosuria), 高血糖(고혈당)(hyperglycemia), 결구내당능 檢査(검사)의 異常(이상)(abnormal glucose tolerance test), 無力症(무력증)(asthenia) 等(등)이 있다.
韓國(한국)에 많은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의 境遇(경우) insulin(인슐린) 抵抗性(저항성)으로 생기며, 이 때문에 初期(초기)에는 膵臟(췌장)에서 insulin(인슐린) 分泌(분비)를 늘림으로써 별다른 症狀(증상)이 없지만, 膵臟(췌장)의 能力(능력)에 限界(한계)가 오게 되면 症狀(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診斷(진단)이 늦어진다. 보통 이 期間(기간)이 5年(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糖尿(당뇨)診斷(진단) 當時(당시)에 合倂症(합병증)이 이미 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合倂症(합병증)에 對(대)한 檢査(검사)가 必要(필요)하다.
診斷(진단).
條件(조건) | 2時間(시간) 血糖(혈당) | 空腹(공복) 血糖(혈당) | HbA1c | |
單位(단위) | mmol/l(mg/dl) | mmol/l(mg/dl) | mmol/mol | DCCT % |
正常(정상) | <7.8 (<140) | <6.1 (<110) | <42 | <6.0 |
空腹(공복)血糖(혈당) 障礙(장애) | <7.8 (<140) | ≥6.1(≥110) &<7.0(<126) | 42~46 | 6.0~6.4 |
內堂力(내당력) 障礙(장애) | ≥7.8 (≥140) | <7.0 (<126) | 42~46 | 6.0~6.4 |
糖尿病(당뇨병) | ≥11.1 (≥200) | ≥7.0 (≥126) | ≥48 | ≥6.5 |
糖尿病(당뇨병)은 反復(반복)되거나 持續(지속)되는 高血糖(고혈당)이 特徵(특징)이며, 다음 境遇(경우) 中(중) 한 가지에 該當(해당)되는지를 보고 診斷(진단)한다.
空腹時(공복시) 血漿(혈장) 血糖値(혈당치) ≥ 7.0 mmol/l (126 mg/dl).
糖負荷檢査(당부하검사)에서와 같이 75 g의 經口(경구) 葡萄糖(포도당) 攝取(섭취) 2時間(시간) 後(후)에 血漿(혈장) 血糖値(혈당치) ≥ 11.1 mmol/l (200 mg/dl).
高血糖(고혈당) 症狀(증상)과 함께 平常時(평상시) 血漿(혈장) 血糖(혈당) ≥ 11.1 mmol/l (200 mg/dl).
糖化血色素(당화혈색소) (HbA1C) ≥ 48 mmol/mol :≥ 6.5 DCCT(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結果(결과)가 陽性(양성)일 때 明確(명확)한 高血糖(고혈당)이 없다면 또 다른 날에 위의 方法(방법)들을 反復(반복)하여 確認(확인)해야 한다.
空腹時(공복시) 血糖(혈당)을 재는 것이 選好(선호)되는데, 이는 檢査(검사)가 簡便(간편)하며, 正式(정식)의 糖負荷檢査(당부하검사)에는 相當(상당)한 時間(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糖負荷檢査(당부하검사)는 마칠 때까지 2時間(시간)이 걸리며, 空腹時(공복시) 檢査(검사)에 比(비)해 豫測(예측)의 長點(장점)이 없기 때문이다. 現在(현재)의 定義(정의)에 따르면, 두 次例(차례)의 空腹(공복) 血糖(혈당) 檢査(검사)에서 126 mg/dl (7.0 mmol/l)을 超過(초과)하면 糖尿病(당뇨병)이 있다고 診斷(진단)된다.
世界保健機構(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空腹時(공복시) 血糖(혈당)이 6.1 에서 6.9 mmol/l (110 에서 125 mg/dl)인 사람들은 空腹血糖障礙(공복혈당장애)가 있다고 考慮(고려)된다. 75 g의 經口(경구) 葡萄糖(포도당) 攝取(섭취) 2時間(시간) 後(후) 血漿(혈장) 血糖(혈당)이 7.8 mmol/l (140 mg/dl)을 超過(초과)하면서 11.1 mmol/l (200 mg/dl)을 넘지 않는 사람들은 內堂力(내당력) 障礙(장애)가 있는 것으로 考慮(고려)된다. 이들 두 糖尿病(당뇨병) 典證狀態(전증상태) 中(중) 內堂力(내당력) 障礙(장애)는 心血管(심혈관) 疾患(질환)과 함께 特(특)히 完全(완전)한 糖尿病(당뇨병)으로 進行(진행)할 主要(주요) 危險(위험) 要素(요소)가 된다. 2003年(년) 以後(이후)로 美國(미국) 糖尿病(당뇨병) 協會(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서는 空腹(공복) 血糖(혈당) 障礙(장애)로 5.6 에서 6.9 mmol/l (100 에서 125 mg/dl)의 若干(약간) 다른 範圍(범위)를 利用(이용)한다.요붕증 尿崩症 단어장 저장(尿崩症
心血管系(심혈관계:心臟(심장)과 핏줄이 일정한 체계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組織體(조직체)疾患(질환)의 危險(위험)을 알아내기에는 糖化血色素(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가 空腹(공복)血糖(혈당)보다 낫다.
드문 疾病(질병)인 尿崩症(요붕증:尿崩症, diabetes insipidus, DI)은 燥渴症(조갈증) 및 相當(상당)히 稀釋(희석)된 많은 量(양)의 오줌이 分泌(분비), 또 오줌의 濃度(농도)에 影響(영향)을 미치지 않는 水分(수분) 攝取(섭취)의 減少(감소)의 特徵(특징)을 지니는 疾病(질병)이다. 卽(즉) 오줌 이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 病(병)이다.)(diabetes insipidus)은 糖尿病(당뇨병)과 類似(유사)한 症狀(증상)을 갖지만, 糖(당) 代謝(대사)의 障礙(장애)는 없으며, ('insipidus'는 Latine(라틴語(어)로 '냄새가 없음'을 意味(의미)한다.) 疾患(질환)의 機制(기제)도 다르다.
糖尿病(당뇨병)은 代謝(대사)症候群(증후군)으로 알려진 보다 더 넓은 狀態(상태)의 一部(일부)이다.
診斷基準(진단기준).
診斷(진단)은 靜脈血(정맥혈)의 血漿(혈장) 葡萄糖(포도당) 濃度(농도)를 基準(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서로 다른 날 2番(번) 檢査(검사)하여 空腹時(공복시)(普通(보통) 檢査 前(검사전) 8~12時間(시간) 禁食狀態(금식상태) 血漿(혈장) 葡萄糖(포도당) 濃度(농도)가 둘 다 126 mg/dL 以上(이상)이면 糖尿(당뇨)로 診斷(진단)한다. 學會(학회)마다 差異(차이)가 있지만 一般的(일반적)으로 正常(정상) 血漿(혈장) 葡萄糖(포도당) 濃度(농도)는 普通(보통) 100 mg/dL 未滿(미만)(110 mg/dL을 基準(기준)으로 하기도 함)이며, 100~125 mg/dL 사이를 警戒形(경계형) 糖尿病(당뇨병)라고 한다. 警戒形(경계형) 糖尿病(당뇨병)의 境遇(경우) 糖尿(당뇨)로 進行(진행)하는 境遇(경우)가 25~30%로 알려져 있으므로, 자주 血糖(혈당)을 測定(측정)하여 糖尿病(당뇨병)으로의 進行與否(진행여부)를 早期(조기)에 把握(파악)해야 한다.
흔히 使用(사용)하는 携帶用(휴대용) 血糖測程器(혈당측정기)의 境遇(경우) 末梢血液(말초혈액)을 測定(측정)하는 것이어서, 靜脈血(정맥혈)의 血漿(혈장) 葡萄糖(포도당)을 測定(측정)한 結果(결과)에 比(비)해 血糖(혈당)이 낮게 測定(측정)된다. 따라서 携帶用(휴대용) 血糖(혈당) 測程器(측정기)로 血糖(혈당)이 110 mg/dL 以上(이상)으로 測定(측정)되면 病院(병원)에서 正確(정확)한 診斷(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豫防(예방).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의 豫防法(예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은 種種(종종) 正常(정상) 體重(체중)을 維持(유지)하고, 肉體的(육체적) 運動(운동)을 하고, 健康(건강)에 좋은 食事(식사)를 하는 것이다. 糖尿病(당뇨병) 防止(방지)를 돕는 것으로 알려진 食生活(식생활)의 變化(변화)로는 통알곡과 纖維質(섬유질)이 豐富(풍부)한 食事(식사)를 하고, 땅콩이나 植物性(식물성) 기름, 물고기 等(등)에 들어있는 多不飽和(다불포화) 脂肪(지방:二重(이중) 結合(결합)을 여러 개 갖는 脂肪酸(지방산). 주로 植物性(식물성) 기름에 많으며, linoleic acid(리놀산), linolenic acid(리놀렌산) 따위가 있다.)과 같은 좋은 脂肪(지방)을 選擇(선택)하는 것 等(등)이 있다.
설탕이 든 飮料(음료)를 制限(제한)하고 붉은 고기와 다른 飽和脂肪酸(포화지방산)이 包含(포함)된 食品(식품)의 量(양)을 줄이는 것 또한 糖尿病(당뇨병) 豫防(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直接(직접) 吸煙(흡연)도 糖尿病(당뇨병)의 危險(위험) 增加(증가)와 關聯(관련)되어 있어서, 禁煙(금연)은 重要(중요)한 豫防法(예방법)이 될 수 있다.
管理(관리) 및 治療(치료).~生活方式(생활방식).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들은 病(병)에 對(대)한 敎育(교육)과 治療(치료), 普通(보통)의 몸무게를 달성하기 위한 營養(영양) 攝取(섭취), 運動(운동) 等(등)으로 短期(단기)와 長期(장기)의 許容(허용) 範圍內(범위내) 血糖値(혈당치)를 維持(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追加(추가)로, 關聯(관련)된 心血管(심혈관) 疾患(질환)의 危險(위험)이 있으므로 血壓(혈압) 調節(조절)을 위해 生活方式(생활방식)을 바꾸는 것이 勸獎(권장)된다.
投藥(투약).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의 境遇(경우) 初期(초기)에는 藥(약)으로 調節(조절) 可能(가능)하지만,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의 境遇(경우) 膵臟(췌장)에서 insulin(인슐린)이 減少(감소)된 境遇(경우)이므로 insulin(인슐린) 注射(주사)를 利用(이용)한 治療(치료)가 必要(필요)하다.
糖尿病(당뇨병) 治療(치료)에 使用(사용)되는 藥(약)은 血糖値(혈당치)를 낮춘다. 抗糖尿病弱(항당뇨병약)으로 여러 다른 種類(종류)의 藥(약)이 있다. metformin(메트포르민)과 같은 藥(약)은 經口(경구)로, insulin(인슐린)과 같은 藥(약)은 注射(주사)로 投與(투여)한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 治療(치료)의 1次(차) 藥劑(약제)로 一般的(일반적)으로 metformin(메트포민) 있는데, 死亡率(사망율)을 줄이는. 充分(충분)한 效果(효과)가 있기 때문에 大部分(대부분)이 經口(경구) 投藥(투약)인 다른 種類(종류)의 여러 藥劑(약제)들은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에서 血糖(혈당)을 낮출 可能性(가능성)이 있다. 여기에는 insulin(인슐린)을 增加(증가)시키거나, 창자[뱃속에 있는 작은 창자와 큰창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에서의 糖分(당분) 吸水(흡수)를 줄이거나, 몸이 insulin(인슐린)에 더 敏感(민감)하게 反應(반응)하게 하는 藥劑(약제)들이 包含(포함)된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에서 insulin(인슐린)을 使用(사용)할 때에는, 通常(통상) 經口(경구) 藥劑(약제) 服用(복용)을 繼續(계속)하면서 初期(초기)에 持續性(지속성) 處方(처방)을 追加(추가)하고, insulin(인슐린)의 投與量(투여량)을 늘려 影響(영향)을 준다.
心血管系(심혈관계) 疾患(질환)은 糖尿病(당뇨병)과 關聯(관련)된 深刻(심각)한 合倂症(합병증)으로, 一部(일부)에서는 血壓(혈압)을 130/80 mmHg 未滿(미만)으로 維持(유지)하도록 勸獎(권장)한다. 다만, 證據上(증거상)으로는 140/90 mmHg 에서 160/100 mmHg 사이의 어떤 값 以下(이하)를 維持(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뒷받침되었을 뿐이다.
抗高血壓濟(항고혈압제) 中(중) ACE 抑制濟(억제제)(ACEI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는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에 效果(효과)가 있는데, 類似(유사)한 藥劑(약제)인 angiotensin(앤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는 그렇지 못하다. aspirin(아스피린)도 心血管(심혈관)에 問題(문제)가 있는 患者(환자)들에 推薦(추천)되지만, 規則的(규칙적)인 aspirin(아스피린 )使用(사용)이 單純(단순)한 糖尿病(당뇨병)에 效果(효과)가 있는지는 證明(증명)되지 않았다.
手術(수술).
腎臟(신장)移植(이식)이 必要(필요)한 慢性(만성)腎不全(신부전)을 包含(포함)하여 合倂症(합병증)이 甚(심)한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에는 膵臟移植(췌장이식)이 種種(종종) 考慮(고려)된다.
肥滿(비만)의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 患者(환자)에는 Barry Atrick(배리애트릭) 手術(수술)이 種種(종종) 有效(유효)하다. 많은 이들이 手術(수술) 後(후) 藥(약) 없이 또는 적은 量(양)의 藥(약)으로 正常(정상) 血糖値(혈당치)를 維持(유지)할 수 있고, 臟器(장기) 死亡率(사망률)도 減少(감소)한다. 다만, 1% 未滿(미만)에서 手術(수술) 後(후) 短期(단기) 死亡率(사망률)이 높아질 危險(위험)이 있다. 手術(수술)이 適切(적절)한지의 與否(여부)가 確實(확실)하지 않을 때에는 體質量(체질량) 指數(지수)를 參考(참고)한다. 手術(수술)은 體重(체중)과 血糖(혈당) 모두 모두 調節(조절)할 수 없는 患者(환자)에 對(대)하여 考慮(고려)하도록 勸告(권고)된다.
疫學(역학).
大韓民國(대한민국)의 境遇(경우)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이 大部分(대부분)이다.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은 주로 成人(성인)에서 發生(발생)하고 第(제)1形(형) 糖尿病(당뇨병)은 주로 小兒(소아)에서 發生(발생)한다.
view together(같이보기).
insulin(인슐린) 抵抗性(저항성)(IR)
代謝(대사) 症候群(증후군)(Metabolic syndrome(메터볼릭 신드롬)
phytic acid(피트산)(en:Phytic acid, IP6)
여주[박과 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풀] 植物(식물)(Bitter Melon(비터 멜론)
Inositol(이노시톨)
Gamma Aminobutyric Acid(감마 아미노뷰티르산)(GABA)
Octacosanol(옥타코사놀) - 持久力(지구력) 增進(증진)
Detox(디톡스)(解毒(해독))
Pinitol(피니톨)(en:Pinitol)
(footnote)脚注(각주)
↑ “Diabetes Blue Circle Symbol” .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6년 3월 17일. 2007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Diabetes Fact sheet N°312” . 《WHO》. 2013년 10월 . 2015년 6월 6일에 확인함 .
↑ Kitabchi AE, Umpierrez GE, Miles JM, Fisher JN (July 2009).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 《Diabetes Care》 32 (7): 1335–43. doi : 10.2337/dc09-9032 . PMC 2699725 . PMID 19564476 .
↑ Krishnasamy S, Abell TL (July 2018). “Diabetic Gastroparesis: Principles and Current Trends in Management” . 《Diabetes Therapy》 9 (Suppl 1): 1–42. doi : 10.1007/s13300-018-0454-9 . PMC 6028327 . PMID 29934758 .
↑ Chiang JL, Kirkman MS, Laffel LM, Peters AL (July 2014). “Type 1 diabetes through the life span: a position statement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 《Diabetes Care》 37 (7): 2034–54. doi : 10.2337/dc14-1140 . PMC 5865481 . PMID 24935775 .
↑ “Causes of Diabetes” .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June 2014. 2016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
↑ Ripsin CM, Kang H, Urban RJ (January 2009). “Management of blood glucos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DF) . 《American Family Physician》 79 (1): 29–36. PMID 19145963 . 2013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 Brutsaert, Erika F. (February 2017). “Drug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 2018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7). 《IDF Diabetes Atlas, 8th edn.》 . Brussels, Belgium: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 《RSSDI textbook of diabetes mellitus》 Rev. 2판. 뉴 델리: Jaypee Brothers Medical Publishers. 2012. 235쪽. ISBN 9789350254899.
↑ “The top 10 causes of death Fact sheet N°310” . 《세계 보건 기구》. 2013년 10월.
↑ Rippe, edited by Richard S. Irwin, James M. (2010). 《Manual of intensive care medicine》 5판. 필라델피아: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Wilkins. 549쪽. ISBN 9780781799928.
↑ J. Picot, J. Jones, J.L. Colquitt, E.Gospodarevskaya, E. Loveman, L. Baxter, A.J. Clegg (2009년 9월).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bariatric (weight loss) surgery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evaluation”.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Winchester, England)》 13 (41): 1~190, 215~357, iii–iv. doi : 10.3310/hta13410 . PMID 19726018 .
↑ Jill Cash (2014). 《Family Practice Guidelines》 3판. Springer. 396쪽. ISBN 9780826168757.
↑ “Update 2014” . 국제 당뇨병 연맹. 2015년 5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2015년 6월 8일에 확인함 .
↑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12판. 필라델피아: Elsevier/Saunders. 1371~1435쪽. ISBN 978-1-4377-0324-5 .
↑ Yuankai Shi, Frank B. Hu (2014년 6월 7일). “The global implications of diabetes and cancer” . 《The Lancet》 383 (9933): 1947~8. doi : 10.1016/S0140-6736(14)60886-2 . PMID 24910221 .
↑ Vos T, Flaxman AD, Naghavi M, Lozano R, Michaud C, Ezzati M, Shibuya K, Salomon JA, Abdalla S, Aboyans V 외 (2012년 12월 15일).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The Lancet》 380 (9859): 2163~96. doi : 10.1016/S0140-6736(12)61729-2 . PMID 23245607 .
↑ 《IDF DIABETES ATLAS》 (PDF) 6판. 국제 당뇨병 연맹. 2013. 7쪽. ISBN 2930229853 . 2014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 2014년 6월 8일에 확인함 .
↑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3년 4월). “Economic costs of diabetes in the U.S. in 2012.” . 《Diabetes Care》 36 (4): 1033~46. doi : 10.2337/dc12-2625 . PMC 3609540 . PMID 23468086 .
↑ Cooke DW, Plotnick L (2008년 11월). “Type 1 diabetes mellitus in pediatrics”. 《Pediatr Rev》 29 (11): 374~84; quiz 385. doi : 10.1542/pir.29-11-374 . PMID 18977856 .
↑ Kenny C (2014년 4월). “When hypoglycemia is not obvious: diagnosing and treating under-recognized and undisclosed hypoglycemia” . 《Primary care diabetes》 8 (1): 3~11. doi : 10.1016/j.pcd.2013.09.002 . PMID 24100231 .
↑ Verrotti A, Scaparrotta A, Olivieri C, Chiarelli F8 (2012년 12월). “Seizures and type 1 diabetes mellitus: current state of knowledge” .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167 (6): 749~58. doi : 10.1530/EJE-12-0699 . PMID 22956556 . 2014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2015년 4월 16일에 확인함 .
↑ Kitabchi AE, Umpierrez GE, Miles JM, Fisher JN (2009년 7월). “Hyperglycemic crise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 《Diabetes Care》 32 (7): 1335~43. doi : 10.2337/dc09-9032 . PMC 2699725 . PMID 19564476 .
↑ Sarwar N, Gao P, Seshasai SR, Gobin R, Kaptoge S, Di Angelantonio E, Ingelsson E, Lawlor DA, Selvin E, Stampfer M, Stehouwer CD, Lewington S, Pennells L, Thompson A, Sattar N, White IR, Ray KK, Danesh J (2010). “Diabetes mellitus, fast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risk of vascular disease: A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102 prospective studies” . 《The Lancet》 375 (9733): 2215~22. doi : 10.1016/S0140-6736(10)60484-9 . PMC 2904878 . PMID 20609967 .
↑ O'Gara PT, Kushner FG, Ascheim DD, Casey DE, Chung MK, de Lemos JA, Ettinger SM, Fang JC, Fesmire FM, Franklin BA, Granger CB, Krumholz HM, Linderbaum JA, Morrow DA, Newby LK, Ornato JP, Ou N, Radford MJ, Tamis-Holland JE, Tommaso CL, Tracy CM, Woo YJ, Zhao DX, Anderson JL, Jacobs AK, Halperin JL, Albert NM, Brindis RG, Creager MA, DeMets D, Guyton RA, Hochman JS, Kovacs RJ, Kushner FG, Ohman EM, Stevenson WG, Yancy CW (2013년 1월 29일). “2013 ACCF/AH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127 (4): e362~425. doi : 10.1161/CIR.0b013e3182742cf6. PMID 23247304 .
↑ “Diabetes Programme” . 세계 보건 기구 .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
↑ Cukierman, T (2005년 11월 8일).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in diabetes—systematic overview of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 Springer-Verlag .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
↑ Lambert P, Bingley PJ (2002). “What is Type 1 Diabetes?”. 《Medicine》 30 : 1~5. doi : 10.1383/medc.30.1.1.28264 .
↑ Shoback, edited by David G. Gardner, Dolores (2011). 〈17〉. 《Greenspan's basic &clinical endocrinology》 9판. 뉴욕: McGraw-Hill Medical. ISBN 0-07-162243-8 .
↑ Rother KI (2007년 4월). “Diabetes treatment—bridging the divid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6 (15): 1499~501. doi : 10.1056/NEJMp078030 . PMID 17429082 .
↑ “Diabetes Mellitus (DM): Diabetes Mellitus and 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Merck Manual Professional” . Merck Publishing. 2010년 4월 . 2010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독일어) Dorner M, Pinget M, Brogard JM (1977년 5월). “Essential labile diabetes”. 《MMW Munch Med Wochenschr》 119 (19): 671~4. PMID 406527 .
↑ Risérus U, Willett WC, Hu FB (2009년 1월). “Dietary fats and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 《Progress in Lipid Research》 48 (1): 44~51. doi : 10.1016/j.plipres.2008.10.002 . PMC 2654180 . PMID 19032965 .
↑ Malik VS, Popkin BM, Bray GA, Després JP, Hu FB (2010년 3월 23일). “Sugar Sweetened Beverages, Obesity,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 《Circulation》 121 (11): 1356~64. doi : 10.1161/CIRCULATIONAHA.109.876185 . PMC 2862465 . PMID 20308626 .
↑ Malik VS, Popkin BM, Bray GA, Després JP, Willett WC, Hu FB (2010년 11월).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 《Diabetes Care》 33 (11): 2477~83. doi : 10.2337/dc10-1079 . PMC 2963518 . PMID 20693348 .
↑ Hu EA, Pan A, Malik V, Sun Q (2012년 3월 15일). “White rice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 《BMJ (Clinical research ed.)》 344 : e1454. doi : 10.1136/bmj.e1454 . PMC 3307808 . PMID 22422870 .
↑ Lee IM, Shiroma EJ, Lobelo F, Puska P, Blair SN, Katzmarzyk PT (2012년 7월 1일). “Effect of physical inactivity on major non-communicable diseases worldwide: an analysis of burden of disease and life expectancy” . 《The Lancet》 380 (9838): 219~29. doi : 10.1016/S0140-6736(12)61031-9 . PMC 3645500 . PMID 22818936 .
↑ “National Diabetes Clearinghouse (NDIC): National Diabetes Statistics 2011”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4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2015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PDF) . 세계 보건 기구. 1999.
↑ 'Table 20-5', Mitchell, Richard Sheppard; Kumar, Vinay; Abbas, Abul K.; Fausto, Nelson. 《Robbins Basic Pathology》. 필라델피아: Saunders. ISBN 1-4160-2973-7 .
↑ Sattar N, Preiss D, Murray HM, Welsh P, Buckley BM, de Craen AJ, Seshasai SR, McMurray JJ, Freeman DJ, Jukema JW, Macfarlane PW, Packard CJ, Stott DJ, Westendorp RG, Shepherd J, Davis BR, Pressel SL, Marchioli R, Marfisi RM, Maggioni AP, Tavazzi L, Tognoni G, Kjekshus J, Pedersen TR, Cook TJ, Gotto AM, Clearfield MB, Downs JR, Nakamura H, Ohashi Y, Mizuno K, Ray KK, Ford I (2010년 2월). “Statins and risk of incident diabetes: a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randomised statin trials”. 《The Lancet》 375 (9716): 735~42. doi : 10.1016/S0140-6736(09)61965-6 . PMID 20167359 .
↑ “Insulin Basics” .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 2015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David G. Gardner, Dolores Shoback 편집 (2011). 《Greenspan's basic &clinical endocrinology》 9판. 뉴욕: McGraw-Hill Medical. ISBN 9780071622431.
↑ Kim E. Barrett, …; 외. (2012년).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24판. 뉴욕: McGraw-Hill Medical. ISBN 0071780033 .
↑ Robert K. Murray …; 외. (2012년).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29판. 뉴욕: McGraw-Hill Medical. ISBN 007176576X .
↑ 《Defini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intermediate hyperglycemia: report of a WHO/IDF consultation》 (PDF) . 제네바: 세계 보건 기구 . 2006. 21쪽. ISBN 978-92-4-159493-6 .
↑ S. Vijan (2010년 3월). “Type 2 diabete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2 (5): ITC31-15. doi : 10.1059/0003-4819-152-5-201003020-01003 . PMID 20194231 .
↑ “ " Diabetes Care" 2010년 1월” .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 2015년 6월 27일에 확인함 .
↑ Saydah SH, Miret M, Sung J, Varas C, Gause D, Brancati FL (2001년 8월). “Postchallenge hyperglycemia and mortality in a national sample of U.S. adults”. 《Diabetes Care》 24 (8): 1397~402. doi : 10.2337/diacare.24.8.1397 . PMID 11473076 .
↑ 《Defini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intermediate hyperglycemia : report of a WHO/IDF consultation》 (PDF) . 세계 보건 기구. 2006. 21쪽. ISBN 978-92-4-159493-6 .
↑ Santaguida PL, Balion C, Hunt D, Morrison K, Gerstein H, Raina P, Booker L, Yazdi H.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 《Summary of Evidence Report/Technology Assessment, No. 128》.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 2008년 7월 20일에 확인함 .
↑ Bartoli E, Fra GP, Carnevale Schianca GP (2011년 2월).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revisited.”.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2 (1): 8~12. doi : 10.1016/j.ejim.2010.07.008 . PMID 21238885 .
↑ Selvin E, Steffes MW, Zhu H, Matsushita K, Wagenknecht L, Pankow J, Coresh J, Brancati FL (2010). “Glycated hemoglobin, diabetes, and cardiovascular risk in nondiabetic adults” . 《N. Engl. J. Med.》 362 (9): 800~11. doi : 10.1056/NEJMoa0908359. PMC 2872990 . PMID 20200384 .
↑ “The Nutrition Source” .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
↑ Willi C, Bodenmann P, Ghali WA, Faris PD, Cornuz J (2007년 12월 12일). “Active smoking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8 (22): 2654~64. doi : 10.1001/jama.298.22.2654 . PMID 18073361 .
↑ Adler AI, Stratton IM, Neil HA, Yudkin JS, Matthews DR, Cull CA, Wright AD, Turner RC, Holman RR (2000년 8월). “Associa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6):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BMJ》 321 (7258): 412~9. doi : 10.1136/bmj.321.7258.412 . PMC 27455 . PMID 10938049 .
↑ “Pancreas Transplantation” .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4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2015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J Picot, J Jones, JL Colquitt, E Gospodarevskaya, E Loveman, L Baxter, AJ Clegg (2009년 9월).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bariatric (weight loss) surgery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evaluation”.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Winchester, England)》 13 (41): 1~190, 215~357, iii~iv. doi : 10.3310/hta13410 . PMID 19726018 .
↑ KJ Frachetti, AB Goldfine (2009년 4월). “Bariatric surgery for diabetes management”. 《Current Opinion in Endocrinology, Diabetes and Obesity》 16 (2): 119~24. doi : 10.1097/MED.0b013e32832912e7. PMID 19276974 .
↑ AP Schulman, F del Genio, N Sinha, F Rubino (2009년 9~10월). “ " Metabolic" surgery for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Endocrine practice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Endocrinology and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ists》 15 (6): 624~31. doi : 10.4158/EP09170.RAR . PMID 19625245 .
↑ RA Colucci (2011년 1월). “Bariatric surger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viable option”. 《Postgraduate Medicine》 123 (1): 24~33. doi : 10.3810/pgm.2011.01.2242 . PMID 21293081 .
↑ JB Dixon, CW le Roux, F Rubino, P Zimmet (2012년 6월 16일). “Bariatric surgery for type 2 diabetes”. 《Lancet》 379 (9833): 2300~11. doi : 10.1016/S0140-6736(12)60401-2 . PMID 22683132 .
WHO 糖尿病(당뇨병) 診斷(진단) 基準(기준) 第(제)1形(형)과 第(제)2形(형) 糖尿病(당뇨병)의 比較(비교).
첫댓글 이승철~월 2021-06-07 오후 5:58~참 좋은 자료입니다. 저도 당뇨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