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병(病)의 90%를 없애는 방법
건강(健康)을 위해서는
먹는 것도 운동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마음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굳이 비중을 둔다면,
음식(飮食)과 운동은 20%에 달한다면
마음 관리가 80%가 되기 때문입니다.
행복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할 때는,
면역 세포의 일종인 T림프구(T세포)가
활발하게 제 기능을 발휘하지만, 시기, 질투,
분노, 미움, 원망, 두려움, 불평, 낙심과 절망,
염려, 용서하지 못하거나 불안(不安)과 같은
부정적 생각이나 감정을 계속 가지게 되면
몸속의 T림프구는 변이를 일으켜, 암세포나
병균을 죽이는 대신 거꾸로 자기 몸을 공격하여
몸에 염증이 생기게 하거나 질병을 일으키는데
이를 <자가면역질환> 이라고 합니다.
미국(美國) 프린스턴대 공대 '로버트 잔' 교수는
"마음은 아주 미세한 입자로 되어 있으며,
이는 물리적 입자와 동일해서 입자로 존재할 때는
일정한 공간에 한정 되어 있지만,
파동(波動)으로 그 성질이 변하게 되면
시공간을 초월(超越)하여 이동을 할 수 있다"는
연구(硏究)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사람의 마음은 에너지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물질이나 생물체에 영향을 미치는데,
배양중인 암세포를 대상으로
"원래의 정상적인 세포(細胞)로 돌아가라"고
스스로에게 mind control을 하게 되면
암세포(癌細胞) 성장이 40%나 억제된다고 합니다.
또 게이츠 교수라는 분은 여러가지 실험을 통해
화(火), 슬픔, 불안, 공포, 증오, 미움 등과 같이
마음이 부정적인 감정에 쌓였을 때,
인체에는 독사의 독액을 능가하는 매우 강력한
독성 물질이 생성되었다고 합니다.
독사의 경우에는,
자신의 독을 축적해 두는 독주머니가 있어
그 독(毒)을 안전(安全)하게 밖으로 내뿜을 수 있어
자신에게 해를 끼치지 않지만,
인간은 그같은 신체 구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自身)이 만든 毒은 그대로 몸속에 축적하게 되는데
그 독성 물질이 몸 속 모든 곳을 돌아다니다가
약한 부위에 첨착하게 되면 각종 변이를 일으켜
다양한 질병을 양성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실례로, '샘 슈먼' 이라는 사람은 간암 진단과 함께
앞으로 몇 달 밖에 살지 못할 거라는 선고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오진(誤診)이었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죽었고, 죽은 후 사체를 부검해보니,
간암으로 죽은 게 아니라 자신이 암(癌)으로 인해
얼마 살지 못할 것이라는 부정적 생각의 지배를 받아
마음의 갈등과 세상에 대한 원망과 자기 분노 등으로
건강이 급속도록 악화된 나머지 급사했던 것입니다.
오래 전, 16세기에 "마음이 산란하면 병이 생기고,
마음이 안정 되면 있던 병도 저절로 좋아진다."라며,
동의보감을 저술하신 허준(許浚) 선생의 말씀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 집니다.
조선시대 세조 때 간행된 '八醫論' 에서는
의사(醫師)를 8등급(等級)으로 나누고 있는데,
마음을 잘 다스려서 병(病)을 치유(治癒)하는
심의(心醫)를 1등급 의사로 여겼습니다.
통계청에서 밝힌 직업 중 평균 수명이 가장 높은 그룹은
목사(牧師), 신부 등 이른바 성직자들이었는데
어느 정도 스스로 마음을 컨트롤 할 줄 아는 사람들이었습니다.
평균 수명이 30세도 안되었던 2,300~ 2,500년 前 당시에도
, 삶의 지혜와 사리에 밝고 비교적 마음(心)을 잘 다스렸던
중국(中國)의 고대(古代) 思想家들이었던 순자(60歲)
공자(孔子/71歲) 장자(83歲) 맹자(83歲) 묵자(90歲)
노자(100歲) 등은 모두 장수했던 인물로 꼽힙니다.
그들이 장수(長壽)한 것은,
잘 먹고 운동을 많이 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마음을 잘 관리(管理)했기 때문입니다.
신경심장학계의 연구 결과에서도,
우리의 몸을 최상의 상태로 계속 유지(維持)를
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살면서
늘 '감사(感謝)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라고 한다.
한 통계(統計)에 의하면
내과를 찾는 환자 2명중 1명은 정신질환에 해당되고,
이들 환자의 80%는 병의 원인을 '가정 불화'로 보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mind control이
건강(健康) 관리에 그토록 중요하게 된 데는,
우리 몸의 유전자의 상태와는 상관없이
사람의 마음 상태(狀態)에 따라서 영향(影響)을 받도록
만들어져 있어 마음(心)의 변화(變化)는
곧 그대로 몸의 변화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현대 의학계에서도 몸의 치료는
먼저 마음(心)의 치료(治療)가 선행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정설로 받아들입니다.
"이 글을 읽어 보시는 모든 님들 '육신 건강'
'마음 건강' 잘 유지하셔서 오래오래 함께
병(病) 없이 행복한 삶을 누리시길 기원합니다."
(瑄)
○ [건강. 의학 정보]
출처: 조선일보(김철중 의학전문기자)
(고려대 의학 학사, 동대학원 의학 석, 박사)
1. 일본 건강장수연구소가 제시한
건강 장수 12가지 수칙(上 편)
https://naver.me/5OQgJsLh
건강 장수 12가지 수칙 (下 편)
https://naver.me/F6lNQbQ9
2. 한국과 고령화·질병 패턴 비슷하다...
日 건강 수명 전략 보니
https://naver.me/x2jmIaMY
3.“난 젊고 꿈 향해 달린다”
79세 트럼프의 6가지 건강 비결
https://naver.me/GQ1xvsd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