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중형 트럭 현대자동차 '메가'(가운데), 타타대우상용차 '프리마'(하단 왼쪽), 볼보트럭 'FL' (오른쪽) |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국산 중형 시장의 기조가 심상치 않다. 상반기 다임러트럭의 ‘뉴 아테고’, 이베코의 ‘유로카고’ 등이 런칭행사를 진행한 데 이어, 7월 초 ‘볼보 FL시리즈’도 국내에 상륙함과 동시에 국산 중형 트럭을 긴장시키기에 충분한 가격으로 출시됐다. 이에 중형의 전통적 강호 ‘프리마’와, ‘메가트럭’ 그리고 가장 최근에 런칭행사를 끝낸 ‘볼보 FL’ 트럭을 전격 비교해 봤다.
심층취재 ▪ 중형 트럭들 심층 비교해 봤더니… |
비슷한 듯 다른 엔진 사양들 타타대우상용차의 대표 중형 카고인 프리마는 유럽에서 그 성능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은바 있는 이탈리아 FPT사의 NEF 엔진이 장착됐다. 이 엔진은 비교 차종 중 동일 마력 대비 가장 높은 토크를 발휘하는 점이 돋보인다. 또한 ZF사의 수동 및 자동 변속기와 앨리슨 변속기 등 4개의 다양한 변속기와 궁합을 맞춘다.
현대자동차의 메가트럭은 유로6 모델이 출시되며 배기량 및 출력이 소폭 상승했다. 메가트럭에 적용된 G-엔진은 국내 독자기술로 제작된 엔진으로 300마력과 280마력 두 가지 버전으로 구성됐다. 아울러 이번 비교 경쟁 차량 중 6,3L로 가장 작은 배기량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높은 마력을 발휘하도록 세팅됐다. 현재 메가트럭 일반캡에는 다이모스 수동 변속기와 ZF 자동 변속기가 채택됐으며. 와이드캡에는 ZF 9단 수동 변속기만 적용됐다.
볼보트럭코리아가 최근 공개한 볼보 FL 시리즈의 심장인 D8K 엔진은 350마력, 320마력, 280마력 등 다양한 세팅이 가능한 볼보 대표 엔진중 하나다. 볼보 FL은 280마력을 발휘하도록 세팅됐으며, 똑똑한 I-싱크 자동 변속기가 맞물려 넓은 rpm 구간에서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이 엔진의 배기량은 7.7L로 이번 비교 차종 중 가장 높은 배기량을 자랑한다.
3개 엔진의 최대토크 구간시점은 볼보, 타타대우, 현대 순이며, 비교 차종 모두 저속구간과 실용구간에서 최대토크를 사용할 수 있다.
국산 가격을 긴장케하는 볼보 FL 자동 변속기 기준으로 메가트럭 일반캡(초장축 플러스7.4/골드)의 경우 경쟁 차량에 비해 약 1,500만 원가량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하지만 타타대우 프리마(극초장축 플러스/슈퍼디럭스~로얄)는 7,425~8,080만 원(부가세 포함, 이하 동일), 현대 메가트럭(와이드캡 7.6m/골드~프리미엄)은 7,901~8,253만 원, 볼보 FL은 8,800만 원으로 국산 중형 트럭과 약 가격차이는 1,000만 원 내외로 상당히 그 범위가 좁혀졌다. 이에 기준을 볼보 FL 기본 옵션으로 맞추고 프리마와 메가트럭의 옵션가격을 비교해 봤다.
물론 각각의 차량 성격상 다양한 옵션에서 금액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금액으로 보기 어렵지만, 서부화물터미널에서 만난 화물차주들은 중형 수입트럭이 가격 측면에서 봤을 때 국산 트럭을 충분히 위협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었다.
옵션, 기본이냐 선택이냐에 가격차이 확연 볼보 FL의 강점은 기본 옵션이자 최종 옵션으로 무시동 히터를 비롯, 대용량 배터리, 12/24V 컨버터 잭 등 차별화 된 기본 옵션을 갖추었다는 점이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 및 중형 카고 최초로 ESP(전자식 차량자세제어)가 기본 장착돼 다양한 운행조건에서 안전과 조향성을 높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