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의 노벨상-퓰리처상의 유래 1]
역사상 가장 위대한 언론인으로 기억되고 있는 퓰리처는 군인이 되겠다는 결심으로 1864년,16살의 나이에 헝가리에서 미국으로 건너온다.
남북전쟁에 참전한 그는 군대를 제대한 뒤 서툰 영어때문에 좋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다.
하지만 좌절하지 않고 임시직으로 하루에 16시간씩 일을 하면서도 매일같이 도서관에서 4시간씩 영어공부를 했다.
일이 없을 때는 아침 일찍 도서관 계단에서 사서가 도서관 문을 열어줄 때까지 기다렸다가 도서관 문이 닫힐 때까지 공부를 했다.
퓰리처의 노력에 감동한 도서관 사서는 그가 영어회화를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항상 성실하게 노력하는 퓰리처의 자세는 나중에 일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공부해서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는 놀라운 성과로 나타난다.
세인트루이스포스트 신문사에서 수습 기자 생활을 할 때나 뉴욕월드의 사장이 되어서도 항상 성실한 태도로 직접 취재하고 발로 뛰어 기사를 쓰는 기자로 유명했다.
퓰리처는 열정적인 기자였다
퓰리처가 제퍼슨시티의 주 의회를 취재하러 갔을 때도 비밀회의라는 이유로 취재를 못하게 하자 문을 부수고 들어가 회의를 보도하기도 했다
퓰리처는 비리와 부정을 세상에 알리는 일이 기자의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미주리 주 상원의원이 되었을 때도 그는 부패한 동료들과 로비스트들이 끊임없이 괴롭혔음에도 불구하고 돈으로 법을 매수하려는 세력에 맞서 싸웠다.
퓰리처는 1867년 3월 6일 미국시민이 되었다
비록 그가 태어난 나라는 미국이 아니었지만 퓰리처는 미국이라는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남달랐다.
그가 미국 사회와 정치의 잘못된 부분을 고치기 위해 싸운 것도 그러한 애정때문이었다.
그는 미국 사회에서 소외되어 있었던 이민자들과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위해 특히 애를 썼다.그는 자유를 상징하는 나라인 미국에서 누구나 자유와 평등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믿었다
퓰리처는 1889년 경쟁신문사였던 뉴욕저널과의 경쟁으로 '황색언론'이라는 비난을 받았다.신문판매부수를 늘리기 위해 선정적이고 과장된 뉴스를 보도했던 퓰리처는 나중에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몹시 후회를 했다.그래서 언젠가는 대중들에게 용서를 구하고 명예를 회복해야겠다고 생각했다.퓰리처는 언론인도 법률가나 건축가처럼 하나의 전문직으로 인정받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언론인을 전문직으로 교육하는 기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그래서 언론 전공 대학원을 세우기 위해 200만 달러를 뉴욕의 컬럼비아대학에 기증했고 1917년 9월 30일 최초의 언론 대학원인 컬럼비아 언론 대학원이 세워졌다.또한 퓰리처의 유언으로 매년 뛰어난 언론인들에게 수여되는 퓰리처상이 만들어졌는데 그 권위와 신뢰도가 높아 '기자들의 노벨상'이라 불리게 되면서 퓰리처의 명예는 회복되었다.
1917년에 제정된 퓰리처상은 언론 분야의 상 14개를 포함, 총 21개 부문의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는데, 컬럼비아대학교 언론대학원에 있는 퓰리처상 선정위원회가 매년 4월에 수상자를 발표하고, 5월에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시상식이 열린다. 수상자에게는 1만 달러의 상금을 지급하며, 공공봉사상 수상자에게는 금메달도 수여한다.
신문 관계는 뉴스·보도사진 등 14개 부문, 문학은 소설·연극 등 6개 부문, 음악은 1개 부문이다.
언론 분야는 뉴스·보도사진 등 14개 부문, 문학 분야는 시·소설 등 5개 부문, 드라마 1개 부문, 음악 분야는 1개 부문에서 수상자를 선정한다.
언론 분야에서는 미국 신문사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이어야 하고, 문학과 드라마, 음악분야는 반드시 미국 시민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미디어의 온라인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1999년에 공공서비스 부문에서 온라인 작업이 처음으로 인정되었고, 언론 분야에는 2006년 부터 허용되었다. 2007년 부터는 사진부문을 제외한 전 영역의 수상 대상에 온라인 컨텐츠를 포함시키고 있다.
퓰리처상하면 흔히 사진만 생각하는데 원래 사진부분은 없었고 1942년에 사진 부문이 신설되었다.
언론(14개 부문): 공공봉사,속보,탐사보도,기획보도,전국보도,지역보도,국제보도,특집,논평,비평,사설,시사만화,특종사진,특집사진
문학(6개 부문):소설,드라마,역사,전기,詩,산문
음악(1개 부문):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