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美 치약시장, 친환경 제품으로 틈새시장 공략 필요 | |||||||||||||||||||||||||||||||||||||||||||||||
---|---|---|---|---|---|---|---|---|---|---|---|---|---|---|---|---|---|---|---|---|---|---|---|---|---|---|---|---|---|---|---|---|---|---|---|---|---|---|---|---|---|---|---|---|---|---|---|---|
게시일 | 2015-11-26 | 국가 | 미국 | 작성자 | 임소현(뉴욕무역관) | |||||||||||||||||||||||||||||||||||||||||||
美 치약시장, 친환경 제품으로 틈새시장 공략 필요 - 소비자의 친환경 관심 증가에 따른 천연 성분의 치약 개발 - - 효과와 사용감 모두를 충족시키는 제품 개발이 관건 -
□ 美 치약시장, 대기업 과점 속 중소기업들의 틈새시장 공략
ㅇ 시장조사기업 IRI에 따르면, 2015년 8월 기준 미국 치약시장 규모는 26억4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3.1% 성장을 기록
ㅇ 콜케이트-팜올리브(Colage-Palmolive), P&G(Procter & Gamble), 글락소 스미스클라인(GlaxoSmithKiline)과 같은 대형 생활용품 기업이 전체 치약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며 과점을 형성함. - 이외에 치약 제조업체로 처치 앤 드와잇(Church & Dwight), 탐즈 오브 메인(Tom’s of Maine) 등이 있음.
ㅇ 대형 제조업체가 대부분의 치약시장을 점유하며 견고한 성장을 보이는 가운데 중소기업들은 천연 성분과 이전에 없었던 다양한 향의 치약을 선보이며 틈새시장을 공략해 나가고 있음
미국 치약시장 규모 및 점유율
자료원 : IRI, HAPPI
□ 치약에 함유된 화학성분에 대한 유해성 우려
ㅇ 과거 치약에서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드러난 사례가 있고 안전하다고 여겨져 왔던 성분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음.
ㅇ 대부분 치약에 함유된 불소는 충치예방의 효과가 있어 수돗물이나 미량으로 포함돼 있기도 하나 유해성 논란이 지속되는 상황
ㅇ 또한, 유해성분인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이 함유돼 문제시된 사례가 있었으며 치약에 기포제로 쓰이는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과 치약이 차아에 잘 달라붙도록 돕는 글리세린 성분도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
□ 천연성분 치약 출시로 美 치약 시장에서 새로운 시장 창출
ㅇ 천연 비누 제조업체 오랜 인기를 누려온 닥터브로너스(Dr. Bronner’s)는 최근 천연성분 위주의 올 원(All-One) 치약을 개발해 소비자의 주목을 받고 있음. - Dr. Bronner’s의 기존제품 Pure Castile Soap은 올 인 원(All-in-One) 다기능성 비누제품으로 샴푸, 바디워시, 치약, 면도크림, 세제, 심지어 바닥청소도 가능한 제품 - Dr. Bronner’s는 그 동안 Pure Castile Soap를 치약으로 사용해온 소비자들에게 더 개선된 기능의 치약을 제공하고자 가능한 천연, 유기농 성분의 치약을 개발 - 이번에 출시한 천연 치약은 70%가 유기농 성분이며 라우릴황산나트륨 대신 유기농 코코넛 오일을 활용해 개발된 potassium cocoate가 사용돼 일반 치약보다 거품은 적지만 세정력은 매우 우수한 제품
Dr. Bronner’s 올-원 치약 자료원: drbronner.com
ㅇ Redmond Trading사의 Earthpaste는 소금, 점토, 자이리톨, 에센셜 오일 등 자연성분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일반 치약제품과는 달리 거품이 생기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색을 띠는 천연치약 개발 - 미국 화장품 전문잡지 Happi에 따르면, Earthpaste는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치약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자연 그대로의 치약으로 화학성분이 거의 들어있지 않고 5가지로 구성된 향 또한 좋다고 평가함. - Earthpaste 제품은 미국 최대 유기농 식품 체인점 Whole Foods에서 판매되고, 제품 런칭 2년 만에 두자릿수대의 성장 기록
Earthpast 치약 자료원: earthpaste.com
□ 시사점
ㅇ 미국 소비자들의 친환경 상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 증가로 친환경제품 시장이 가정용품, 스킨케어, 개인관리용품 등 점차 그 범위를 넓혀가는 추세 - 친환경 개인관리용품 시장의 경우 아직 대기업 제품이 독점적 시장점유율을 보유하지 않고 브랜드 인지도가 확고하지 않아 미국 시장에서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이 진출하기에 유리한 시장
ㅇ 유명 브랜드 제품이 치약시장 내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는 가운데 창의성을 겸비한 광고 문구와 제품의 독창성을 결합시켜 소비자의 이목을 끄는 것이 중요 - 현지 소비자의 선호도 조사 실시 후 제품 샘플링과 온라인 후기를 통해 반응을 살펴 제품 개발에 적극 반영 필요함. - 온라인을 통해 기능성 치약과 기존 치약의 제품비교를 통해 소비자에게 건강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켜 소비심리를 자극시키는 것이 관건
ㅇ 건강한 생활방식과 식습관 등 웰빙 열풍이 향후 지속적으로 유지될 전망임으로 개인관리용품 기업은 효과와 사용감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친환경 대체성분의 개발에 주력할 필요 - 따라서, 치약 튜브, 뚜겅 등 기존 제품의 틀을 벗어난 디자인과 편리성을 갖춘다면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담됨.
자료원: Happi.com, drbronner.com, informationng, ecosalon, collective-evolution, Statista 및 earthpast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