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구미사찰순례모임 원문보기 글쓴이: 선주구이
| ||
이 곳은 우리나라 불교 음악의 창시자인 진감선사(774년-850년)가 중국에서 불교 음악을 공부하고 돌아와 우리 민족에 맞는 불교음악(梵唄)을 만든 불교 음악의 발상지이며 훌륭한 범패 명인들을 배출한 교육장이다. 진감선사가 섬진강에 뛰노는 물고기를 보고 팔음률로써 어산(魚山)범패를 작곡했다고 해서 팔영루라고 한다. 신라 문성왕 2년(840년) 진감선사가 창건하였고 조선 인조19년(1641년) 벽암 스님이 중수한 후 1978년 고산스님이 완전히 중수하였다. |
쌍계사 팔영루와 더불어 금당 일원 전각들의 관문 역할을 한다. 형태 및 구조는 삼층 목조기와와 맞배집으로 정면향(정면향)이며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고려 공민왕 6년(1357년)에 진정국사가 창건하였으며 조선 인조 19년(1641년)에 벽암선사가 중건하였고 1978년 고산스님이 중수하였다.
청학루
| ||
이 전각은 고려 충렬왕 6년(1290년) 진정국사가 초창하여 조선 세조 12년(1466년) 선비대사가 중수하고 숙종 4년 (1678년)에는 천봉선사가 순조임금때에는 화악선사가 중수하였으며 1978년 고산스님이 다시 중수하였다고 한다. 양식의 팔작집이다. 공포는 외 3출목 내 4출목을 두었는데 외부제공(外部諸工)의 끝은 장식조각이 없는 강직한 쇠서로 되었고 내부는 모두 교두형으로 되었다.
내부 불상위로는 간단한 닷집을 두고 그 위로는 우물 천정을 가설하였다. 비교적 다출목의 공포를 결구하여 내부가 높직하게 보이나 단순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세부에서 일부 장식적인 조각 수법을 나타내고 있다. |
이 금당 건물 내에는 중국 선종(선종)의 제 6대조인 혜능대사(慧能大師)의 정상(頂相),
즉 머리를 모시고 있다.
신라 성덕왕때 당나라의 혜능대사를 만나 보는 것이 원이었던 삼법스님이 당나라에
유학했을 때에는 혜능대사가 이미 고인(故人)이 되었으므로 그의 무덤을 찾아
머리를 모셔와 돌로써 만든 석감(石龕)을 넣어 이곳 땅밑에 안치했다는 것이다.
그후 신라 민애왕때 진감선사가 건물을 세워 육조영당(六祖影堂)이라 이름했으며,
현재 석감위에 세워져 있는 7층 석탑은 1800년대에 주변에 있던 목압사의 석탑을
용담스님이 옮겨와 세운 것이며,
이후부터 육조정상탑으로 불리웠다.
현재의 건물은 1979년 중수된 단층의 목조기와집으로 다포의 팔작지붕이며 화려하게
단청되어 있다. 정면에 걸려있는 현판은 조선시대의 명필인 추사 김정희의 글씨이다.
| ||
이 대웅전은 진감선사가 신라 문성왕 2년(840년) 초창한 이래 조선 인조 19년(1641년) 벽암 각성스님의 중수, 숙종 21년(1696년) 백암 성총스님의 중수, 영조 11년(1735년) 법훈스님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에는 세분의 부처님이 계신데 중앙이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이고 좌측이 아미타불,우측이 약사여래불이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 기와집이다. 막돌 허튼층 쌓기의 기단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민흘림 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외 3출목 내 3출목으로 기둥위는 물론 기둥사이 평방위에도 짜올린 다포식이다. 첨차는 교두형이고 살미첨차의 바깥끝은 쇠서로 되었고, 안쪽은 교두형으로 되어 있어 건실한 짜임새를 이루고 있다. |
| ||
이 비는 신라 정강왕이 신라말의 고승 진감선사 혜소(774년-850년)의 높은 도덕과 법력을 앙모하여 대사가 도를 닦던 옥천사(玉泉寺)를 쌍계사(雙磎寺)로 명명하고 건립한 것으로 고운 최치원(857-?)이 비문을 짓고 환영스님이 각자하여 887년에 건립되었다. 대사의 속성은 최씨이고, 시호는 진감선사이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애장왕(哀莊王)5년 (804년) 불도를 닦으러 당나라에 들어가 신감대사 (마조도일의 80대 제자로 남종선의 선사)밑에서 스님이 되었다. 흥덕왕 5년(830년)에 귀국하여 상주(尙州) 모악산 장백산(長栢山)에서 선을 가르쳤다. 다시 지리산 화개곡에 들어가 옥천사를 짓고 여생을 마쳤다. 이 탑비는 귀부와 이수 및 비신을 완전히 갖추고 있으며 최치원의 '사산비명(四山碑銘)' 가운데 하나이다. 귀부의 등에는 간결하게 귀갑문이 조각되었으며 귀두는 용머리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귀갑의 중앙에는 방형의 비좌가 마련되어 비신을 받게 되었는데 네면에 운문(雲紋)이 양각되어 있다.
|
| ||
신라 문성왕 2년(840년) 진감국사가 초창한 맞배집 형태로 조선 인조 19년(1641년) 벽암선사의 중수와 순조 1년(1801년) 화악선사의 중수를 거쳐 1974년 정천스님의 중수가 있었다. |
| ||
이 명부전은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위시하여 명부 시왕이 안치된 전각으로 조선 숙종 13년(1687년)성안대사(成安大師)가 창건하였고, 숙종 36년 (1710년) 신민대사가 보수하여 오늘에 이른것이다. 직접놓은 소로로써 방형부재 (方形部材)로 된 첨차와 행공첨차를 받치고 있는 주심포식(柱心包式)과 흡사한 익공계 건축이다. |
금강 계단
| ||
이 전각은 주불인 석가여래와 16나한을 모시고 있다. 신라 46대 문성왕 2년(840년) 진감선사가초창하였고 조선 인조 19년(1641년) 벽암선사가 중수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경내의 명부전과 흡사하게 주두와 창방위에 얹은 소로로써 방형의 첨차와 행공 첨차를 받치고 있는 익공계 건축이다. |
절에서 제일 중요하고 우리 순례단에게 가장 큰 기쁨인 공양시간과 공양간입니다..
정말 맛있는 공양 이었습니다.
공양후에는 경내의 성보박물관을 관람 했습니다.
박물관안에도 진신사리가 있더군요..
성보박물관 관람후 마지막 순례지 칠불사로 갔습니다.
첫댓글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즐감하고 퍼 갑니다, 관세음 보살- 구미14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삭제된 댓글 입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고맙습니다.사랑합니다.☆
참 좋은 인연 입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고맙습니다.사랑합니다.☆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그렇습니다.참 좋은 인연입니다.
항상 부처님 가피 가득 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