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타닐 국경 단속 강화 협상 카드로 등장
연방정부, 국경 보안에 13억 달러 추가 투입
철강·알루미늄 업계 "양국 모두에 타격" 경고
캐나다 13개 주 수상단과 백악관 고위 관료들의 회담이 12일 워싱턴에서 진행됐다. 양측은 관세와 국경 안보 문제를 논의했으나, '캐나다의 51번째 주' 발언을 둘러싼 진실공방으로 새로운 갈등이 불거졌다.
제임스 블레어 백악관 부비서실장과 세르히오 고르 대통령 인사국장은 이날 회담에서 캐나다 측과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블레어 부비서실장은 회담 직후 소셜미디어를 통해 "캐나다가 51번째 주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데 동의한 적이 없다"며 논란에 불을 지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월요일 캐나다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3월 12일부터 시행되는 이 조치는 이미 예고된 전체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에 추가되는 것이다.
연방정부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국경 안보 강화에 13억 달러를 투입하고, 전직 연방경찰 케빈 브로소 씨를 펜타닐 대책 총괄책임자(펜타닐 차르)로 임명했다.
도미닉 르블랑 연방 재무장관은 이날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의 회담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가 양국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강조했다. 양국 철강·알루미늄 산업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관세로 인한 피해가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도 미칠 것이라는 설명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초 3월 4일부터 시행하려던 전반적 관세 부과를 잠정 연기했다. 대신 캐나다와 멕시코를 통한 펜타닐 밀반입 문제를 새로운 협상 카드로 내세우고 있다. 미 상무장관은 최근 인준청문회에서 양국에 대한 관세가 국경 안보 강화를 위한 압박 수단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국경을 통한 펜타닐 유입량은 멕시코 국경과 비교해 매우 적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캐나다 정부는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국경 단속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편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주의 데니스 킹 수상과 노바스코샤주의 팀 휴스턴 수상은 기상 악화로 조기 귀국길에 올랐다.
이번 방문에는 앨버타주의 대니엘 스미스 수상, 매니토바주의 왑 키뉴 수상을 비롯한 주요 주 수상들이 대거 참여해 미국의 관세 철회를 강력히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