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78서울도시철도는 1995년 11월 5호선 강동 구간(왕십리∼상일동, 14역)의 첫 운행을 시작한 이래, 2010년도에 수송인원과 운수수입 최고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2010년 5∼8호선 이용고객은 전년도에 비해 3천2백만 명(일 8만7천 명) 늘어난 8억7천만 명으로 3.7% 증가했으며, 운수수입 역시 117억 원(일 3천만 원) 늘어난 4천6백억 원으로 2.6% 증가하였습니다.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전년도와 비교해 유난히 잦은 눈 소식(‘09년 11회, ’10년 22회 / 1월4일 25.8cm 폭설, 12월 28일 9.4cm)과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건대입구역 등의 역세권 개발 및 6호선 봉화산역, 7호선 철산역 등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 입주, 신규노선(9호선, 3호선 연장구간) 개통 영향 유입인원 증가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 ‘10년 수송인원ㆍ운수수입 현황
(단위 : 천명, 백만원)
구 분 |
’10년 |
’09년
|
증가
|
비율(%)
|
수송인원
|
874,025
|
842,511
|
31,514
|
3.7%
|
(일평균) |
(2,395) |
(2,308) |
(87) |
|
운수수입 |
462,857 |
451,134 |
11,723 |
2.6% |
(일평균) |
(1,268) |
(1,236) |
(32) |
|
최대 이용노선은 7호선
5∼8호선 중 2010년 한해 가장 많은 고객이 이용한 노선은 7호선(온수∼장암)으로, 전년과 비교해 일평균 3만 6천명이 늘어나 4.2%가 증가, 4개 호선 중 가장 높은 36.1%의 점유율을 차지했습니다.
이 역시 가산디지털단지, 건대입구역 등의 주변 상권개발 및 역세권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입주 등의 영향으로 보여 지며, 2007년 근소한 차이로 5호선을 추월한 이후 점유율 1위 자리를 꾸준히 고수하고 있습니다.
월별 수송인원ㆍ운수수입 실적은 4월이 최고, 8월이 최저 월별 수송인원은 나들이객이 많은 4월이 일평균 255만 명으로 가장 많았던 반면, 여름방학과 휴가기간이 겹치는 8월이 일평균 220만 명으로 가장 적었습니다. 운수수입 실적도 수송인원의 월별 패턴과 유사했으며, 4월이 가장 높고, 8월이 가장 낮았습니다.
요일별 승차인원은 금요일이 최고, 일요일이 최저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192만 명(평일평균 대비 100.6%)으로 가장 많았고, 토요일은 평일평균 대비 77.6%인 148만 명, 일요일은 평일평균의 절반(52.7%) 수준인 101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이제는 교통카드 시대 - 승차권 종류별 이용현황
승차권별 이용현황은 선·후불 교통카드가 78.1%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우대권(13.5%), 정기권(4.6%), 1회권(2.8%)순으로 나타났습니다. ’09년 종이승차권 사용 폐지 및 1회권 교통카드 도입 이후 교통카드의 점유율은 점점 높아져 2010년 기준 99%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승차권 종류별 이용현황(일평균)
(단위 : 천명, %)
구 분
|
선ㆍ후불
|
우대권
|
정기권
|
1회권
|
단체권 등
|
승차인원 |
1,321 |
228 |
78 |
48 |
17 |
(점유율) |
(78.1) |
(13.5) |
(4.6) |
(2.8) |
(1.0) |
버스와 환승인원 29.8%로 늘어나는 추세
2004년 7월 1일에 시행된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점진적 확대에 따라 지하철-버스 간 환승인원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10년 기준 하루 평균 약 50만 명, 총 승차인원의 29.8%가 환승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1인당 평균 통행거리는 12.1km로, 지하철만을 이용하는 정기권 사용자들의 평균 통행거리가 14.2km로 가장 길었으며, 어린이 이용고객의 통행거리가 10.0Km로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시간대별 승차인원을 살펴보면 평일기준 오전 7시∼9시가 21.3%, 오후 6시∼8시가 17.2%로 출퇴근 인원이 전체 이용객의 38.5%를 차지하고 있고, 토요일과 휴일은 평일과는 달리 출퇴근시간대 이용률이 낮 시간대 이용률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8호선 최대 수송역은 천호역
역별 수송인원은 천호(5ㆍ8)역이 일평균 5만8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4만8천명), 5호선 광화문역(4만6천명)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 수송인원 상∙하위 5역
(단위 : 명)
상위 5역 |
하위 5역 |
순 위 |
역 명 |
일평균 |
순 위 |
역 명 |
일평균 |
1 |
천호(5ㆍ8) |
58,157 |
1 |
마곡 |
735 |
2 |
가산디지털단지 |
47,991 |
2 |
장암 |
2,412 |
3 |
광화문 |
45,682 |
3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2,498
|
4 |
까치산 |
43,440 |
4 |
신길 |
2,799 |
5 |
화 곡 |
42,225 |
5 |
영등포구청 |
3,637 |
폭설 내린 새해 첫 출근길 이용고객 가장 많아
2010년 이용고객이 가장 많았던 날은 기록적인 폭설이 내렸던 1월 4일(월)로 평일평균 보다 약 77만 명이 늘어난 346만 명가량이 지하철을 이용한 반면, 추석 연휴가 시작되었던 9월 21일(화)은 폭우가 더해져 이용고객이 80만 명에 불과해 대조를 이뤘습니다.
또한, 불꽃축제 행사가 개최되었던 10월 9일 10만 명가량이 여의나루역을 이용하여 개별 역 기준 가장 높은 수송인원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1995년 개통 이후 누적 수송고객 100억 명 달성
1995년 5호선 강동 구간을 시작으로 영업을 개시한 5678서울도시철도공사는 개통 첫해 수송인원은 474만 명이었으나, 개통 16년차인 2010년 12월 28일 누적 수송인원 100억 명 돌파 기록을 세우며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냈습니다. ‘수송인원 100억 명’은 우리나라 5천만 국민 모두가 200회, 1천만 서울시민이 1,000회 씩 도시철도를 이용해야 가능한 수치며, 100억 명을 넘어서기까지 열차의 누적 주행거리는 2억5천3백만km로 이는 지구에서 달까지 38만4천4백km를 329회 왕복하는 거리이며, 4만km 가량의 지구둘레를 6,345바퀴 돌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약 410km(철도기준)의 거리를 총 30만회, 15년 1개월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56회씩 왕복한 셈입니다.
▣ 누적 수송인원(‘10.12.28. 누적 수송인원 100억명 돌파)
(단위:천명)
개통년도
|
수송인원 |
완전개통 |
누적 수송인원 |
개통 16년차 |
누적 수송인원 |
1995년 |
4,740 |
2001년 |
2,471,958 |
2010년 |
10,008,512 |
2010년에 이루어 낸 ‘최대 수송인원ㆍ운수수입 실적’ 및 ‘100억 명 달성 기록’, 이 모든 것은 15년이 넘는 기간 동안 5678서울도시철도를 달리게 하는 힘이자 희망이었던 고객님의 소중한 발걸음 덕분에 이루어낸 값진 성과입니다.
2010년 수송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5678서울도시철도가 시민 생활과 얼마나 밀접한지 실감할 수 있으며, 5678호선을 향한 고객 한 분 한 분의 귀한 발걸음이 모여 100억 명을 이루었다는 것을 알기에, 앞으로도 200억 명, 300억 명 이상의 끊임없는 발걸음을 위해 고객님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모시겠습니다.
앞으로도 한층 더 강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도시철도의 발전을 통한 시민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글 박일남 서비스전략팀, 사진 이태영 방송광고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