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1900~1950 자동차 시대의 개막[ Ford - 디럭스세단, 1933 ] 자동차가 한국에 처음 상륙한 것은 1903년 고종의 즉위 40년을 기념하는 칭경식 때 미국 공사에게 부탁해 포드 자동차를 들여와 바친 것으로 역사에 기록되고 있으나 이듬해 러일 전쟁중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자동차는 이후 황실용 2대와 총독부 1대가 도입되어 1911년에는 우리나라 보유대수는 3대가 되었다. 이후 부유층의 자가용과 운수사업용으로 들여오기 시작하고 판매와 서비스 회사까지 생겨나 1945년에는 7,386대로 보유대수가 늘어나면서 광복을 맞았다.
2. 1950~1960 자동차 공업의 태동[ 국제차량공업사 최무성 삼형제- 시발, 1955 ] 광복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미 군용차를 재생하는 공장으로 1954년 하동환공업사와 신진공업사가 생겨났고, 1955년 국제차량공업사를 운영하던 최무성 삼형제가 전형적인 수공업형태로 지프형 승용차 '시발'을 만들어 1955년 8월 광복 10주년 기념으로 열린 산업박람회에 출품, 대통령상을 받으며 등장 우리나라 자동차공업의 시작을 알렸다.
3. 1960~1970 자동차 공업육성의 기틀 마련[ 신진자동사 - 퍼블리카, 1967 ] 1960년대 들어 5.16 군사정부의 강력한 경제정책에 힘입어 1962년 4월 자동차공업 5개년 계획이 발표되고 자동차보험법이 제정되면서 국내 최초로 대규모 자동차 조립 공장인 새나라자동차(년 생산능력 6,000대)가 설립되어 같은해 일본 닛산의 블루버드 승용차의 SKD 방식으로 수입하여 조립하여 생산한 최초의 국산승용차가 탄생하였다. 다시 1965년 새나라 자동차를 인수한 신진공업사는 1966년 상호를 신진자동차로 바꾸고 일본 도요타자동차와 기술제휴로 국산화율 20% 수준의 '코로나'와 '퍼블리카'를 생산하였다. 제 2차 경제개발계획이 시작된 1967년 중화학공업정책이 본격화 되면서 1967년 12월 현대자동차가 설립되어 자동차 산업에 뛰어들었다. 현대자동차는 1968년 포드와 기술제휴로 '코티나', 이듬해에는 '포드 20M' 생산에 들어갔고, 1965년 설립된 아시아 자동차도 피아트와 기술제휴로 1970년 초부터 '피아트 124'를 생산하였고, 1962년 기아산업은 3륜트럭 'K-360', 'T-1500'을 시작으로 1969년 4륜트럭 '타이탄'을 생산하여 우리나라 자동차공업은 4원화체제를 이루게 되었다.
4. 1970~1980 국산 모델 개발[ 현대자동차 - 포니, 1975 ] 1972년 도요타자동차가 중국 진출을 위해 신진자동차에서 철수하고 대신 GM과 합작으로 GM코리아가 세워졌고, 현대는 포드와 자본 협력에 실패하고 독자적인 자체모델 개발과 종합자동차공장 건설에 착수하는 가운데 기아도 마쯔다의 '브리샤'를 1974년부터 국산화 생산을 개시하였다. 한편 고유모델 개발에 나선 현대자동차는 1975년 최초의 국산 고유모델 '포니'를 개발하여 대량생산과 처녀수출로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수행했다. GM코리아는 1972년 '시보레'와 '레코드'를 양산하였고, 1976년 한국측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여 새한자동차로 회사명을 바꾸고 다시 1978년 산업은행의 보유지분을 대우그룹에 넘김으로써 오늘의 대우자동차가 출발하였다.
5. 1980~1990 양산체제와 수출기반 확립[ 기아자동차 - 프라이드, 1984 ] 1980년 제2차 석유파동의 후유증으로 자동차공업은 한때 위기를 맞았으나 1981년 자동차공업 합립화조치로 승용차 생산은 현대와 대우가, 중소형 트럭은 기아가 독점 생산하게 됨에 따라 각사의 경영이 정상화 되었다. 1986년 합리화조치가 해제되자마자 기아는 '프라이드'로 현대는 '포니'에 이은 '엑셀'과 '프레스토'로 대우는 '르망'을 앞세워 수출전략기지인 미국을 비롯하여 전세계 시장에 진출하는 발판을 만들었다.
6. 1990~2000 국제경쟁체제와 구조조정[ 대우자동차 - Matiz, 1999 ] 세계시장에 본격적인 대량 수출이후 기술의 자립화와 산업구조의 고도화가 이루어졌고, 1996년에는 280만대 생산체제로 세계 5위의 생산대국으로 한국이 부상하였다. 그에 효자역할을 한 것이 대우자동차의 '마티즈'로 유럽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러나 1997년 IMF쇼크로 내수시장이 붕괴되었고 자동차업계의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일어나 바야흐로 자동차 업계는 1999년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그리고 아직 향방을 잡지 못한 대우자동차의 양사체제에 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가 해외에 매각되어 가세하는 혼란기를 맞이하고 있다.
7. 2000년대 환경친화적인 자동차[ 대우 전기자동차 - DEV5 ] 2000년대 자동차의 기능은 소비자의 요구와 자연 및 인간생활의 요구에 맞추어 고유 기능인 수송기능은 물론 정보통신기능과 여가 오락기능이 보다 커지고 또한 함께 제공될 것이다. 또한 많은 첨단장치의 개발로 보다 안전하고 쾌적할 것이며 저공해차나 대체에너지가 늘어날 것이다. 그래서 한국 완성차 업계에서도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자동차의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향후 수년안에 이에 대한 자동차의 양산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