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25일부터 12월 1일까지, 부산에서 매우 중요한 회의가 개최됩니다. 2022년 3월 5차 유엔환경총회 결의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마지막 회의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UN 플라스틱 국제협약은?
'플라스틱 국제협약'은 플라스틱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다루는 방식으로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시킬 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만들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입니다.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의 사용이 절대적으로 줄어야하는데, 석유를 주원료로 하는 플라스틱 산업은 갈수록 성장하고 있습니다. 인류가 만든 플라스틱 절반 이상이 2000년 이후 생산한 거라고 하죠. 그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도 증가 추세입니다. 보통 플라스틱의 자연분해 기간은 100~500년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 말은 100년도 채 안된 최초의 플라스틱은 여전히 썩지 않고 우리 주변에 있다는 말이기도 하구요. 소멸과 탄생의 순환이 아닌 축적의 법칙이 플라스틱 시대에 적용된다는 말이기도 하지요.
많은 사람들이 플라스틱 재활용의 환상을 믿습니다. 과학자들은 플라스틱을 다시 석유 상태로 돌리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죠. 가장 상식적인 대책은 안쓰는 것일 겁니다. 안쓰는 것도 불가능이라면 덜 쓰는 방법으로라도 실천을 해야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