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 3 번중에 왜성대목은 2번이 맞는지요?
첫댓글 대목과 접수의 친화력 문제 때문에 이중 접목을 했다면 1번.그리고 이중 접목이 사용되는 예로 중간 대목(2번)을 넣는 경우는.내병성 증진의 목적.대목과 접수가 빠르게 영양 생장을 하는 것을 생식 생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목적.수양성 접수로 접목할 때 수고 생장을 어느정도 유도하고자 할 때.
네 감사합니다
왜성대목을 중간에 넣는 경우는 없습니다. 헌데 우리나라에서 체리에 중간대목으로 기셀라를 넣어 많은 문제가 발생했지요. 중간대목을 넣으면 장점보다 단점이 많어유. 어느나라 사진인지 모르지만 중간대목이 왜성이라면 가지를 낼 이유가 없는데 이경우는 중간대목에 가지가 있네요.왜성대목은 뿌리를 이용하는 자근을 활용합니다. 정상적인 왜성대목을 사용했다면 3번이 되어야 맞습니다.
네 중간에 가지를 낼려구 한것이 아니라 게을러서 늦게 잘라서 그렇구요3번은 빨간배가 달리는 배나무 입니다1번과 2번에 접목을 보면 대승현상이 일어나는걸 보면 1번이 왜성일까요
첫댓글 대목과 접수의 친화력 문제 때문에 이중 접목을 했다면 1번.
그리고 이중 접목이 사용되는 예로 중간 대목(2번)을 넣는 경우는.
내병성 증진의 목적.
대목과 접수가 빠르게 영양 생장을 하는 것을 생식 생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목적.
수양성 접수로 접목할 때 수고 생장을 어느정도 유도하고자 할 때.
네 감사합니다
왜성대목을 중간에 넣는 경우는 없습니다. 헌데 우리나라에서 체리에 중간대목으로 기셀라를 넣어 많은 문제가 발생했지요. 중간대목을 넣으면 장점보다 단점이 많어유. 어느나라 사진인지 모르지만 중간대목이 왜성이라면 가지를 낼 이유가 없는데 이경우는 중간대목에 가지가 있네요.왜성대목은 뿌리를 이용하는 자근을 활용합니다. 정상적인 왜성대목을 사용했다면 3번이 되어야 맞습니다.
네 중간에 가지를 낼려구 한것이 아니라 게을러서 늦게 잘라서 그렇구요
3번은 빨간배가 달리는 배나무 입니다
1번과 2번에 접목을 보면 대승현상이
일어나는걸 보면 1번이 왜성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