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은 유달리 장마기간도 길었고 그에 따라 여름더위까지 길게 이어져
백로를 코앞에 두고도 늦더위가 계속 되네요!! 하이선 태풍이 지나고 나면
더위가 가시고 본격적인 하이킹계절 천고마비 가을이 다가오겠지요^*^
실로 오랜만에 "한국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으로 마이크로기행을 갑니다^^
목적지인 "안동민속촌"은 경북 안동시 민속촌길 13(성곡동 822-3)에 위치하는데
민속박물관,야외박물관,안동공예문화전시관,예움터마을,월영교 등이 있는 문화관광단지입니다.
1978년 안동댐건설에 따른 수몰지역 문화재를 이건하여 민속경관지 5만평을 조성하여
1982년 기공, 1992년 개관하였습니다.
(기행코스)
민속박물관~야외민속촌~예움터마을~월영교
1.민속박물관(코로나19로 인해 휴관중임 ㅠㅠ)
*민속박물관 안내석
*민속박물관 전경
*휴관안내문
2.야외민속촌
*민속촌 안내도
*육사시비
육사(陸史) 이원록(1904~1944)은 안동출신의 민족시인이자 애국지사입니다.
도산면 원촌에서 성장하였으며 "청포도" "광야"등이 유명합니다.
1964년에 세운 비의 앞면에는 유작시인 "광야"가, 뒷면에는 조지훈의 추모글이 새겨져 있습니다.
*야외민속촌으로 진입하는 입구
*이천서씨 열녀비
조선 순조(1832)때 경상도 관찰사 박기수가 열녀 이천서씨(1795~1817)의 효행을 기려 안동시 율세동에 세웠다가 1983년에 현재위치로 옮김. 이천서씨는 향리를 지낸 김창경의 아내로 시집온지 얼마되지 않아 남편과 사별하고 몸이 불편한 시부모를 정성으로 봉양하였으나 시부모는 차례로 세상을 떠나고
시부모의 장례를 치룬 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함.
*관풍정
*이원모 와가
19세기이후 건축된 것으로 보이며 안동시 예안면 부포리에 있던 것을 1976년에 옮겨옴.
집은 대지 전면에 정면5칸,측면5칸의 정침, 그 오른쪽으로 정면2칸,측면1칸의 고방채가 있고,
정침 오른쪽 뒤편에 높게 위치한 사당으로 구성괴어 있음.
*물레방아 도는 풍경
*돌담집
죽담을 쌓아 지은 집으로 경북 영천시 신녕면 왕산리에 있던 것을 1977년 옮겨옴.
죽담에는 돌과 흙을 섞어 쌓은 돌죽담, 진흙으로 쌓은 토담, 쓰고남은 기와를 흙에 박아 만든 디새죽담 등이 있는데 나무나 기둥을 쓰지 않고 흙담과 죽담을 쳐서 벽채로 삼고 초가지붕을 얹은 집을 "담집"이라 하며 건물은 본채와 헛간채로 구성되어 있음.
*권백종 정효비
권백종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려 충목왕(1345)때 정려되어 경북 안동시 와룡면 도곡리에 목비로 정문이 세워졌는데 조선 영조(1761)때 석비로 개수되면서 안동시내 남문가에 이설되었다가
1989년 옮겨짐. 고려 충숙왕때 사람인 권백종은 조선 단종의 외증조부이다.
*박명실 초가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던 집으로 1700년대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1976년에 옮겨옴.
본채, 사랑채, 헛간채로 구성되어 있음.
*이춘백 초가
100여년전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 농가로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서 1976년 옮겨옴.
4칸 겹집으로 네모난 대지에 본채와 측간으로 구성되며 본채는 정면4칸, 측면1칸반의 초가로 사랑방,
건넌방, 마루, 봉당, 안방,부엌, 광으로 이루어져 있다.
*박분섭 까치구멍집
농가의 문간,외양간,부엌,대청,안방,건넌방,창고 등의 생활공간이 한 건물안에 집약된 집으로
경북 안동시 와룡면 가류리에서 1976년 옮겨옴.
정면3칸, 측면3칸의 9칸집으로 사랑방과 부속시설이 분리된 것이 특징임.
집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연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지붕 합각부 양측에 까치집을 닮은 둥근 구멍을 뚫었다. 이런 구조의 집은 주로 경북 북부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야외민속촌 풍경
*통나무집
경북 영양군 석보면 삼의리에 있던 집을 1977년 옮겨온 것으로 귀틀집으로도 불리는 통나무집은
통나무를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귀를 맞추어 교대로 쌓아올려 그 사이를 진흙으로 막은 방식임.
본체와 헛간채로 구성되며 본채는 "ㅡ"자형 집으로 정면5칸, 측면1칸이고 헛간채는 본채왼쪽에 있음.
*남반고택
조선 고종때 홍문관 교리를 지낸 남반 이만형의 옛집으로 원래 진성이씨 집성촌인 의인마을(경북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에 있던 것을 1976년 옮겨옴.
북향집으로 정침과 대문채로 구성되며 전체형태는 "ㅁ"자에서 약간 벗어난 "巳"형의 변형된 구조임.
*연자방아
*기와가마
1998년 경북 안동시 정하동 낙동강변 택지개발공사때 발견된 것으로 모두 11기 가마중 4호가마를
2000년 옮겨옴.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기에 걸쳐 안동일대 관청에서 사용된 기와를 생산한 것으로
오름식 가마임.
*권두하 효자비
조선말기 선비인 권두하(1853~1906)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조선 순종(1907)때 후손들이
경북 안동시 옥정동에 세운 겻을 두차례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가 2003년 안동민속박물관 앞뜰로 옮김.
*석조불입상
경북 안동시 서후면 광평리 산기슭에 묻혀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옴.
몸체와 받침대만 있고 머리부분이 없는 불상으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불로 추정됨.
*보월루(步月樓)전경과 상단부 모습
보월루를 통과하면 예움터마을이 나타남
*보월루위에서 내려다 본 풍경
3.예움터마을
한자를 근간으로 한 인성교육과 전통문화체험으로 우리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만든 시설임.
*구름에 리조트 안내석과 전경
원래 야외민속촌 고택이었으나 2014년6월부터 (재)행복전통마을에서 운영하는 전통리조트 숙박시설.
*예움터마을 표지석과 안내도
*예움터마을 풍경
4.월영교(月映橋)
바닥과 난간을 목재로 만든 인도교로써 길이 387m인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나무다리임.
다리이름은 안동시민대상 응모작중에서 선정했으며 달과 유난히 연관이 많은 이지역 특성을 반영함.
*월영교방향으로 가는 산책로
*산책로에서 바라본 월영교 전경
*월영교 안내명판
*월영교 풍경
첫댓글 구경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