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탄고도(運炭高道) 트레킹

●트레킹 일자 : 2016. 5. 26(목)
●인원 : 8명
●코스 : 만항재-옛 봉명탄좌-하이원CC-도롱이연못-화절령삼거리(20km)-옛 동원탄좌-폭포주차장-사북역(7km)
운탄고도(運炭高道)는 '석탄을 나르던 높은 길'이라는 뜻이다. 연탄이 국민생활의 필수품 이었던 시절 석탄을 실은 트럭이
다니던 길을 지금은 구름 위의 양탄자를 밟고 하늘을 걷는 기분으로 걷는다.
1957년 함백역이 개통된 후 탄광에서 역까지 석탄을 실어 나르기 위해 2천여 명의 국토건설단이 삽과 곡괭이로 이 길을
만들었다. 지난 시절엔 검은 먼지를 날리며 석탄을 실은 트럭들이 활발히 오갔지만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으로 이 지역
탄광들이 폐광되면서 이 길도 자신의 몫을 다했다. 지금은 사람의 발길이 닿지않아 자생하는 수백종의 야생화가 이 길을
걷는 나그네의 좋은 길동무가 되고있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해발 1,100m가 넘는 고지와 능선을 잇는 운탄고도는
우리나라 산업화의 뒤안길 처럼 호젓한 산길에 희귀 고생식물이 함께 호흡하는 새로운 힐링 명소가 되었다.
▼태백산 민박집에서 구수한 된장찌개를 끓여 맛있는 아침 식사.

▼택시 2대에 나눠타고 만항재 휴게소 앞에서 내린다. 해발 1,330m. (민박촌에서 만항재까지 택시요금 대당 2만원)


▼8월 초에 야생화 축제가 열리는 야생화 공원을 잠시 둘러본다. 자욱한 안개가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운탄고도 트레킹을 시작한다.(08:00)

▼야생화와 함께 울창한 숲이 힐링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보기만 해도 기분이 상쾌해 진다.

▼평탄한 길이 완만하게 계속 이어진다.

▼숲이 제공하는 맑은 공기를 모두들 가슴속 깊숙히 마셔본다.

▼띄엄띄엄 보이는 연등은 '혜선사'라는 절에서 달아놓은듯 하다.

▼쥐오줌풀. 쥐 오줌 비슷한 특이한 냄새가 난다고한다.


▼길섶의 민들레 씨앗이 마치 깊은 바닷속에 둥둥 떠다니는 해파리를 연상시킨다.

▼이렇게 길섶의 야생화가 걷는길의 운치를 한층 더해준다.

▼미나리아제비

....................................
훗날에 훗날에 나는 어디선가
한숨을 쉬면서 이야기할 것입니다.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엇다고,
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하였다고,
그리고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고
-가지않은 길(로버트 프로스트)-

▼시간이 정지된 듯 침묵만이 흐르는 길을 걷는다.

짙은 피톤치드 향을 깊숙히 받아들인다. 치유의 시간이다.


나는 걸으면서 사색한다. 걷기를 멈추면 생각도 멈춘다.-룻소-

운탄길은 사색의 길이다.
2009년 봄, 홀로 화절령길을 걸으며 참 많은 생각을 했었지.
그런데 한참을 걷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어느새 무념의 세계로 빠져든다.


▼운탄길엔 석탄 운반하던 흔적이 아직도 남아있다.


▼차마고도(茶馬古道)와 비교해도 될런지....



▼하이원CC 근처에서 휴식.(11:10)


▼이 길은 어디로 이어질까....

▼우리 일행의 홍일점, 나이는 나와 동갑내기다. 우보천리(牛步千里)의 종결자. 참 대단하다.


▼배낭속에 남은 마지막 간식을 꺼내 먹고나서.(12:20)

▼몸은 힘들어도 표정만은 즐겁다.


▼폐광 갱내수 정화시설

▼길은 계속 내려가는 것 같은데 만항재 정상과 표고 차이가 85m 밖에 안 난다.

▼이 길, 참 좋다. '한편의 시를 위한 길'이라고 이름 지으면 어떨까?

"길이 참 예뻐서 몸으로 이런 표현이 절로 되나봐..." 홍일점의 표현이다.

화절령(花折嶺)길, '꽃꺾이재'라는 아름다운 이름으로 불렸지만 사실은 배고픈 시절 꽃을 꺾어 먹으며 걸었다던 애환의 길이다.

▼동원탄좌 사북광업소가 개발한 최초의 갱도. 체험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이 갱의 일부를 원형대로 복원하였다.


▼화절령 길에서 만나는 '도롱이 연못'. 1970년대 탄광 갱도의 지반 침하로 생긴 연못이다.(13:30)

▼너와지붕의 정자


▼화절령 삼거리에서 사북역 방향으로 내려가는데, 지금까지의 아름다운 길은 끝나고 황량한 풍경이 펼쳐진다.
옛 동원탄좌의 흔적. 저 아래 공터에는 카지노에서 돈 빌리고 저당잡힌 차량들이 방치하다시피 어지러이 널려있다.
전국의 대포차 절반은 여기서 공급된다니 씁쓸하다.(14:15)

▼이런 딱딱한 아스팔트길을 1시간 여 힘들게 내려간다.

▼카지노에서 돈을 날린 사람이 얼마나 많을까? 성업중인 전당포 간판이 이를 말해준다.
간판이 재밋다. "니가 천일이면 난 천억이다!"

▼걷기를 끝내고 사북소방서 앞에서 지친 몸을 쉬고있다. 뜨거운 발바닥 불을 끄기위해.(15:15)

▼모든 일정을 끝내고, 사북역에서 열차를 기다리며.(17:00). 노노3인방이다.

(Tip)
운탄고도 트레킹의 즐거움은 화절령 삼거리까지다.
이후 사북역까지 7km는 지친몸을 더욱 피곤하게 만든다.
옛 동원탄좌나 보성사 절까지 택시를 콜하여 마무리 하는게 좋을 듯 하다.
첫댓글 좋은 여행 사진과 함께 나눠 주신 기억 생생이 간직하겟습니다. 한때의 영광이 또 이렇듯 변할줄이야 산행하시느랴 고생도 많았지만 자연 그대로를 마음에 담았기에 기쁨이 가득 찼으리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