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저출산, 초고령화 사회 문제가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저출산, 초고령화 사회란? 저출산은 아이를 적게 낳아 사회 전반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하는 사회현상을 말하고, 초고령화 사회는 유엔 기준에 따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20% 이상인 사회를 말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한 이유는 경제적 부담(교육비 증가), 독신 가구 증가, 의료기술 발전 등과 같이 우리의 생활 모습이 바뀌면서 발생했다. 의료기술 발전처럼 좋은 부분도 있지만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해지면서 더욱더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지금 당장 주변을 봐도 심각하다는 걸 알 수 있다. 학교, 유치원이 새로 들어올 아이들이 없다 보니 문을 닫게 된다. 문을 닫지 않은 곳들을 봐도 반 인원수가 전에 비해 확실히 많이 줄고, 한 반당 사람 수가 30명도 넘지 못한다.
더 이상 먼 일이 아닌 현재의 문제가 됐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리 모두가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초고령화 사회로 인해 많은 수의 어르신들을 위한 사회적 대처방안과 제도가 필요하다. 그리고 부양층의 인구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인이 노력해야하는 것은 인식 개선이다. 결혼과 출산에 부정적 인식이다 보니 독신 가구 증가 및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진다. 우리나라에서 우리만 사는 것이 아니니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요지: 더 이상 먼 일이 아닌 현재의 문제니 적극적으로 나서자>
702자
첫댓글 맞아 예진아 요즘은 저출산과 초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진 것 같아. 학생수만 봐도 우리 언니가 학교에 다닐 때보다 훨씬 줄어든것 같아. 우리나라를 이끌 미래 세대들이 줄어든 것이라고 생각하니 안타깝고 착잡하기도 해. 개인주의가 발전하면서 결혼과 출산을 피하다보니까 그런 것 같은데 사람들이 아이를 낳아 고령화와 저출산이 해결됐으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