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역사소설 태종 이방원 205
낙천정 찾아간 명나라 사신
대마도 정벌, 조선의 위상이 달라지다
대마도 원정 승리는 태종의 정치적인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세종이 매일 같이 수강궁에 문안드리는 것을 빠뜨리지 않았고 대신들도 줄을 이었다.
대마도 정벌이 승전으로 끝나고 긴장이 풀려서일까? 태종의 건강이 좋지 않았다.
더불어 대비 민씨가 시름시름 앓기 시작했다. 태종은 좌의정 박은과 우의정 이원을 불렀다.
“수강궁은 송나라 광종의 궁 이름인데 그 이름을 취해서 우리 궁의 이름으로 한 것은 무엇 때문이오?”
잘되면 내 탓, 못되면 조상 탓이라더니 건강이 좋지 않으니 수강궁이 찍혔다.
“홍범(洪範) 서경(書經)의 편명에 수(壽)자와 강(康)자 한 글자씩 들어 있다는 것만을 알고 있었을 뿐 광종의 궁
이름이었다는 것은 몰랐습니다.”
송구한 듯 박은이 머리를 조아렸다.
“황족인 조여우와 외척인 한탁주가 영종을 황제로 옹립하자 어쩔 수 없이 황위를 양위한 광종이 격분한 끝에
병이 나서 수강궁에 6년 동안 피해 있다가 붕(崩)하였소. 이 일은 <송감(宋鑑)>에 있오.”
송감은 편년체로 쓴 송나라 역사책이다.
“대신 노릇을 하는 자는 마땅히 글을 널리 알아야 하는데 신들은 배우지 못한 탓으로 이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예조로 하여금 자세히 연구하여 고치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고친다면 기국(氣局)이 좁아지는 것이니 고칠 것 없소. 액운을 당하면 피접할 곳이 있어야 하는데 두 번이나
송도에 행차할 때 폐해가 적지 않았소. 낙천정에 궁을 짓고 풍양에 이궁을 건축하도록 하시오.
또 ‘무악은 가히 도읍할 만한 곳이라’하였으니 궁을 지어 때에 따라 행차하면 왕래간의 폐해가 덜 할 것이오.
재목은 내가 이미 준비 했으니 국가에 폐될 것이 없을 것이오.”
도성을 벗어나고 싶다, 이궁을 지어라
수강궁을 중심으로 동서와 남쪽에 이궁을 지어 건강이 좋지 않을 때 피접하겠다는 뜻이다.
옛 사람들은 병이 나면 귀신이 달라붙어 해꽂이 하기 때문에 장소를 피해야 한다고 믿었다.
태종이 선공제조(繕工提調) 박자청과 병조당상관(兵曹堂上官)을 불렀다.
“백 칸을 넘지 않게 하고 사치하게 짓지 말라.”
장인과 군사를 동원하여 동시다발적으로 세 군데서 공사가 벌어졌다.
낙천정에 궁을 짓고 풍양에 공사판이 벌어졌다.
또한 하륜이 생전에 그토록 도읍지로 추천하던 무악산 아래에 공사가 벌어졌다.
풍양은 오늘날의 남양주시 진접면 내각리이고, 무악산 이궁은 연희궁(衍禧宮 후에 延禧宮으로 개명)이다.
현재 연희궁은 없어지고 연세대학교 교정에 연희궁터. 서잠실터 라는 표지가 있다.
병세에 차도가 없는 대비를 위하여 의산군(宜山君) 남휘의 집으로 이어(移御)했으나 별무 효과였다.
대비의 병세가 더욱 악화 되자 태종과 대비가 낙천정으로 아예 옮겼다.
모후가 병환으로 눕고 부왕이 낙천정에 기거하게 되자 세종이 낙천정에 문안하는 것이 일과가 되었다.
임금이 행차하면 유정현· 박은· 이원을 비롯한 삼정승과 조연· 변계량· 조말생· 허조· 이명덕· 곽존중· 원숙·
조서로 등 대소신료가 배행했다.
마침내 사헌부가 낙천정에 나아가 우균이 함부로 자기 직무에 이탈한 죄와, 윤곤· 윤자당이 평안도에 명을
받들고 가서 군사를 조달하지 못한 죄를 다스리기를 청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권력의 심장부가 낙천정으로 옮겨간 폐단이었다. 태종이 원하던 원치 않던 낙천정(樂天亭)이 최고 통수권자의
집무실이 된 셈이다.
“일찍이 유사에 명하여 만약 나에게 아뢸 것이 있거든 먼저 주상께 아뢰어 나에게 전달하게 하였는데 어찌
갑자기 와서 소를 올리느냐? 병조는 어찌하여 이를 저지하지 않았느냐.”
태종이 역정을 냈다. 병조판서 조말생이 머쓱해졌다. 허나 해바라기는 해를 좇아가는 생리를 어찌하랴.
세종 이도가 하루가 멀다 하고 문안을 가고 공비(恭妃)도 낙천정에 나아가 대비께 문안하고 이튿날 돌아오는
날이 잦아졌다. 왕실과 조정의 중요 인물이 번질나게 이동하게 되자 문제가 대두되었다.
임금과 왕비의 어가가 살곶이를 건너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영의정 유정현이 주청했다.
“상왕 전하와 대비마마께서 낙천정에 계시니 문안 길에 중량천을 건너기가 여간 불편하지 않습니다.
살곶이에 다리를 놓아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생각이오. 다리를 놓되 홍수에도 끄떡하지 않을 돌다리를 놓도록 하시오.”
창덕궁에서 출발한 어가가 흥인문을 빠져나와 전관원(篆串院)앞에서 중랑천을 건너려면 임금이 가마에서
내려야 했다. 당시 살곶이에는 섶다리 비슷한 흙으로 만들어진 다리가 있었다.
장마철이면 떠내려가 매년 새로 다리를 만드는 일을 반복했다.
이것마저 공사 중일 경우에는 징검다리를 건너야 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태종은 세종의 뜻을 가상히 여기고 이궁 공사에 여념이 없는 선공감 박자청으로 하여금
다리 놓는 일을 몸소 감독하게 하였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다리가 살곶이다리다.
명나라 사신이 들어왔다. 대마도 정벌 이후 처음이다.
사신의 태도 여하에 따라 명나라가 대마도 정벌을 어떤 시각으로 보고 있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효령대군으로 하여금 서교에 나가 사신을 맞이하라 명한 태종은 좌의정 박은에게 술을 받들고 벽제역에
나아가 사신을 영접하여 위로하라 명했다.
벽제역에서 하룻밤 묵은 사신이 입성했다. 황엄이다.
비록 환관 출신이지만 태감(太監)이며 예부의 조선 담당 내사다.
조선에 들어오면 총독처럼 군림하여 임금과 조정 대신들의 심기를 괴롭혔던 인물이다.
예쁜 여자는 황제에게 바쳐야 한다며 조선의 처녀들을 무더기로 끌어가 딸을 둔 아비들에게는 저승사자와도
같은 사람이다. 특히 태종과는 악연이 있었다.
꼬리를 내리는 명나라 사신 '황엄'
태종 즉위 초. 태종의 즉위를 윤허한다는 황제의 고명과 인장을 가지고 온 황엄이 연회 중 무례하게 굴자
태종이 연회를 중도에 파하고 면박을 준 일이 있다.
귀국한 황엄이 ‘조선왕은 고항(高亢)하여 굽신거리지 않는다’고 황제에게 고해바쳐 명나라와의 관계가
껄끄러웠던 일이 있었다.
이번에는 태종이 세종에게 선위한 것을 윤허한다는 칙서를 가지고 왔다.
태종이 의장과 호위를 갖추고 태평관에 거둥하여 연회를 베풀었다.
“한양에 오신 뒤에 국왕이 예를 행하고 또 대례를 아직 행하지 못하였으므로 다시 와 보지 못하여
실례되었노라.”
어투가 달라졌다.
“우리들이 마땅히 먼저 궁에 나아가서 행례하여야 할 것인데 지금까지 하지 못하였으니 오히려 실례입니다.”
거들먹거리던 황엄의 고자세는 찾아 볼 수 없다.
“근자에 거처하는 집에 연고가 있어 강변에다 조그마한 정자를 짓고 있는데 사신이 오시겠다는 말씀을 들으니
매우 기쁘구려. 그러나 길이 거의 15리나 되니 괴로움이 되실까 걱정이외다.”
“천리 길을 멀다 하지 않고 왔사온데 비록 30리가 더 된다 하여도 어찌 감히 괴롭다 하오리까.
명일에 마땅히 나아가서 감사를 드리겠나이다.”
연회가 파하고 태종은 낙천정으로 돌아갔다. 이튿날 황엄이 낙천정을 찾았다. 물론 임금 세종도 동행했다.
사신이 도성 밖으로 나가서 조선의 상왕을 배알한다는 것은 외교 관례에 없는 이례적인 일이다.
대마도 정벌 후, 명나라가 조선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사신을 맞은 태종이 낙천정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황엄과 사신 일행이 모두 참석했다.
조정의 대소신료들도 참례했다. 낙천정에 앉아 한강을 바라보던 황엄이 감탄했다.
“하늘이 만들어 주신 선경(仙境)입니다. 전하께서 한가함을 얻으시어 편히 수양하시기에 가장 좋은 곳입니다.”
태종이 사신들에게 술을 권하고 세종에게 서서 술을 내리니 임금이 부복(俯伏)하여 받았다.
임금이 꿇어앉아 술을 올리는데 상왕은 앉아서 받았다.
이 모습을 바라보던 사신 조양(趙亮)의 눈에는 경이롭게 보였다.
“신왕(新王) 전하는 노왕을 공경하시어 충효가 겸전하십니다. 내가 사절을 받들고 제후 나라에 여러 번 갔으나
신왕 전하 같으신 어진 분은 처음 봅니다.
노 전하께서 세상일을 부탁할 만한 사람을 얻으시고 세상 밖에서 마음 편히 노니시면서 정신을 수양하시니
과연 지극하신 낙이라 하겠사옵니다.
신왕 전하는 위로는 황제의 권고(眷顧)하심을 받고 다음으로는 아버님의 사랑하심을 받자와 충성을 다하시고
효도를 다하심이 과연 듣던 바와 같이 흡족하오니 고금에 흔하지 않은 일이외다.”
술잔을 비운 조양이 태종을 바라보면서 말을 이어갔다.
“돈이 있어도 자손의 어짊은 사기 어려운 것입니다.”
“사신의 말씀을 듣고 눈물이 흐름을 깨닫지 못하였으니 행여 괴이쩍게 여기지 마시오.”
태종의 두 눈에서 눈물이 흐르고 콧물이 턱에 흘렀다. 자식 칭찬해줘서 싫어하는 부모 없다.
외교적인 수사이지만 아들 세종을 칭찬 해주니 감정이 복받쳐 오른 것이다.
덕담이라도 자신의 후계를 이어갈 아들이 평가를 받는다는 것이 감개무량했다.
성군 기질이 있다는 소리를 듣기 위하여 얼마나 공을 들였는가.
맏아들 양녕과 갈등의 순간들이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택현(擇賢)은 옳았다고 생각하니 더 뜨거운 눈물이 흘러내렸다.
이 때 서산에 해가 기울고 노을이 한강에 내렸다. 붉은 노을이 아름다웠다.
태종의 턱수염에 매달린 물방울이 노을에 반짝이고 있었다.
다음. 206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