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자동결 시술이란?
ㅇ 여성의 건강한 난자를 채취하여 초저온 상태에서 보관하여 생명 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 후 필요할 때 해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난자동결 시술이 필요한 대상 임신·출산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가임력을 보존하고 싶은 여성 난소기능 저하로 인한 수술 및 약물치료가 예상되는 여성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는 여성 결혼은 했으나, 임신·출산 계획이 아직 없는 기혼 여성 |
난자동결 시술 과정
난자동결 시술은 국민건강보험 급여항목에 해당하지 않아 높은 비용이 소요되며, 일정기간 매일 같은 시간 스스로 배에 주사를 놓아야 하고 부작용까지 있는 등 시간, 비용, 부작용 면에서 본인의 확고한 의지 및 노력 필요 |
❶ 사전검사(혈액 검사*, 초음파 검사) : 부인과 질환 및 난자 채취 가능 여부 확인
※ 혈액검사: AMH 수치, 배란확인, 혈액형검사, 백혈구수, 적혈구수 등 동결 전
❷ 과배란유도 : 생리 시작 2~3일부터 과배란 주사를 1~2주간 매일 투여
❸ 난자 채취 : 난자가 성숙되면, 여러 개의 난자를 채취, 부족시 2차·3차 진행
- (34세미만) 13개, (35~37세) 19개, (38세이상) 22개 이상
※ 한 명의 아이당 권장되는 수 이며, 사람마다 상이 함
❹, ❺ 난자 냉동 및 보관 : 냉동 보존제를 활용한 신속한 냉동, 액체 질소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