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에 대해서 잘 몰라서
알고 있는 내용 중 간단하게 올리는데 틀린 내용이 있을지도 모르니 관련 유튜브나 전문가들에게 문의해 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본문의 용접기 사진내용으로 봤을 때 용접보호구와 용접장갑등은 세트로 사지 마시고 시중에서 구입하는 것이 나을 듯 보입니다. 세트로 딸려오는 제품 중 저가형 소모품들이 많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전기 용접 가르쳐주는 영상은 유튜브에 있는 거 보면서 하면 될 것인데 초보자는 근처 용접학원에서 한두 번이라도 연습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전기 용접 시 위험상황으로는 용접선을 물호스처럼 둥그렇게 말아서 사용하면 유도전류? 현상 아무튼 발열이 심해져서 선이 녹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하고 용접기에 연결된 작업형 연장전선 리드선도 말아서 사용해면 발열로 인한 화재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펼쳐놓고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참고 그림 1번 잘못된 방법 위험 2번처럼 하던가 아니면 펼쳐놓고 사용)
용접 안전용구 용접앞치마, 발덮개, 팔토시등을 착용해야 안전하고 위험한 경우는 용접불똥이 발이나 옷소매 속등으로 들어가면 매우 위험하므로 조심해야 하고 용접하는 물체에 면장갑등이 닿아도 금방 타버리므로 의미가 없으니 용접용 가죽장갑등을 착용해야 합니다.
물론 불꽃비산 방지용 천으로 된 것 등을 사방에 설치하거나 소화기를 근처에 두고 용접작업하는 것도 필수이지요.전기작업 시에는 반드시 누전차단기 설치된 콘센트를 사용하고 연장케이블 사용 시에도 누전차단기 부착 안되어 있으면 임시로라도 부착해서 사용해야 함.
산소용접 관련
산소용접 시 역화방지기 필수 부착 용접기 측 + 산소, 가스 측 = 원래 이것이 정상인데 그림처럼 설치하는 경우는 본 적이 없고 그나마 아세틸렌가스나 엘피지 측에 한 군데 연결된 것만도 있으면 디엥인데 아예 없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위험한 경우로는 LPG용 호스와 아세틸렌용 호스를 잘못 알고 사용하면 폭발 및 화재 위험하므로 반드시 확인하고 용기에 맞는 호스를 사용해야 함. 또한 용접토치 또한 아세틸렌용과 LPG용구분 및 가스절단용 토치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함.
산소나 엘피지 가스통에 보면 압력게이지가 보이는데 가스통 가까운 쪽 1차 측인데 그곳이 깨져있거나 고장 혹은 지시바늘의 가스양이 없거나 한두칸을 가르키면 가스량이 얼마나 있는지 모르는 위험한 상태이므로 압력계고장교체 및 가스통 교체 시기확인 필요함. (역화폭발 및 안전사고 가능성)
역화 폭발 방지하려면
호스에 역화방지기 설치, 토치 화구의 이물질제거 및 토치팁 교체 및 청소실시 가스통 압력계 수시확인 및 가스통 잔량 확인과 가스통과 호스의 가스누설등 점검등의 조치가 필요. 긴급 시에 호스 타들어가거나 토치 불붙으면 가스통에 달린 밸브 잠그고 호스를 꺼버리는 조치 (물호스 밸브고장 시처럼 호스를 꺾어서 물이 안 나오게 하는 거처럼)
가스통 밸브에 기름이나 윤활유등을 묻히면 가스밸브개방 시에 폭발 (산소통도 마찬가지)
제가 용접에 대해서 지식이 없어서
조금 글을 써보았습니다.
전기용접 문의 내용이었는데 보너스로 산소용접 내용 조금 추가했습니다.
첫댓글 자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그냥 한번 저가형 전기용접기 세트 사서 취미로 해볼까 아직 생각만하는중이거든요 ㅎ 사도 얼마나 할런지는 모르지만 그래도 학원이나 국비교육하는데 한번 알아봐야겠습니다
간단한 물건 수리나 만들기 작업시에 용접하면 좋은 경우들이 가끔씩 있지요. 천천히 배우셔서 나중에 작품 후기 올려주세요.
@제이드스톤(대전) 아무래도 위험한 부분들이 많지요.
가정용(?) 소형 용접기도 쓸만합니다. 저는 주로 2.6mm 3.2mm 용접봉 사용중입니다.
용접기에 끈이 달려 있는 거 같은데 이동시 편하겠네요. 소형용접기라도 하나 있으면 간단한 작업시에 사용하기 좋겠습니다.
오두막님은 역시 마당있는 단독주택으로 가서 하고싶은것 맘것해야할 스타일입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