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는 조금이라도 고삐를 늦추면 금방 표시가 나는 과목이다. 평소에 쓰는 우리말이 아니기 떄문에 단어나 문장을 기억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고, 공부하지 않았을 때 잊어버리는 속도가 무척 빠르다. 영어에 대한 감을 꾸준히 유지하고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역별로 골고루 시간을 투자해서 공부하는 방법밖에 없는데, 영어의 모든 영역을 비슷한 비중을 두고 공부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최근 영어의 시험 경향이 어디로 흘러가는지 알아보고, 자신의 영어 실력 중에서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를 파악하여 어디에 중점을 둘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에 국어를 잘 말하고 알아듣는다면 우선 기본 바탕은 준비되어 있는 셈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때부터 영어를 배워 고등학생, 대학생, 사회인이 되어서도 계속 영어를 공부하는데 왜 우리나라 사람은 영어를 잘 하지 못하는 걸까? 영어를 잘 하고 싶다는 욕심이 그 누구보다 크고, 또한 열심히 하는데도 영어를 잘 못하는 이유는 그냥 열심히만 할 뿐이지 똑똑하게 공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영어를 하나의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하지 않고 한국어식으로 받아들인다는데 있다. 그러다 보니 영어 공부의 진도가 나가지 않고 발전이 없는 것이다. 태어나서 말이 트이기 시작할 때까지, 우리는 잦은 반복과 노출을 통해 자연스럽게 한글을 깨우치게 된다. 마찬가지로 영어도 장기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꼭 영어를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의문을 갖는 학생도 있다. 국제화 시대에 발맞춰 외국 사람들과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언어라는 고리타분한 답변 말고 진지하게 생각해보자. 누구는 영어에서 1등급을 받기 위해, 누구는 취직을 잘 하기 위해서, 누구는 승진을 하기 위해서 영어 공부를 한다. 중위권 학생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영어 상위권에 진입하기 위해서 영어 공부를 한다.
그러나 언어의 본질을 다시 들여다보자. 하나의 언어는 하나의 문화를 갖고 있다. 세계적인 공통어인 영어는 하나의 문화가 아니라 우리가 아직 접하지 못한 무수히 많은 문화들을 내포하고 있는 셈이다.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필수이고, 그 언어의 이해를 통해서 다양한 문화적인 지식과 경험들을 한꺼번에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런 생각을 하면서 학생 스스로 대학생이 되어서 외국에 여행할 기회가 있거나 사회에 나가서 외국에 출장갈 일이 있다고 생각해보라. 그들의 언어를 몰랐을 때의 답답함과 갈급증은 상상하기도 힘들 정도이다. ㅇ떤 회사원이 일 때문에 미국에 출장갈 일이 있엇는데 그 사람이 묵는 호텔 앞에 거지가 앉아서 동냥을 하고 있었다. 그 사람은 약간 부러운 목소리로 "여기는 거지고 영어를 하네!" 라는 말을 하는데, 웃을 수도 울 수도 없는 비애가 느껴졌다. 그만큼 영어를 못 한다는 것은 답답한 일이다. 단지 성적을 잘 받기 위해서 공부하기보다는 우리말 이외에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잇는 또 다른 언어를 배운다는 생각으로 배운다면 정말 흥분되고 짜릿한 일이 될 것이다.

영어는 크게 4가지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다. 기존 우리나라 영어 교육은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가운데에서 읽기 즉, 어법이나 어휘에 치중하는 독해 위주의 방향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지엽적인 공부법이 국제화 사회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인식하에서 영어 몰입식 교육이라는 새로운 모토로 듣기, 말하기,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막상 학교에서는 여전히 페이퍼 시험의 한계로 인해 독해 위주의 일기 부분만을 강조하여 성적을 매기고 있다. 학생들 입장에서는 어떤 방향으로 공부해 나가야 할지 갈피를 못잡고 사설학원에 의지하며 갈팡질팡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분명한 점은 향후 5년 내 우리나라 영어 교육에는 획기적인 전환이 있을 거라는 사실이다. 그러한 흐름에 조금이라도 앞서 실질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으로 영어를 공부하려면, 일차적으로는 학교 시험을 충실하게 준비하고, 이차적으로는 국가에서 인정하는 영어공인인증시험을 방학이나 시험이 끝난 시기에 부담없이 도전해보는 것이 좋다. 예컨대 중학생 수준으로 중위권 학생이라면 자신의 영어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해볼 수 있는 시험으로 TOSEL이나 PELT STANDARD를 추천하고 싶다. 고등학교에서도 대학에 가서도 사회인이 돼서도 영어를 계속 공부해야 하는 학생들의 현실을 고려한다면, 지금 눈앞에 있는 학교 시험점수에만 만족하지 말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이러한 영어공인인증시험을 도전해보는 것도 좋은 자극이 될 것 같다.

임지연 선생님 소개
|
(現) 대교 공부와락 영어 대표 강사 |
(現) EBS 영어 강의 프로그램 진행 |
(現) 목동 English+ 어학원 최고 인기 강사 |
(現) 쑥쑥닷컴 부모교육 영어 지도 교수 |
(現) 매일경제신문 교육섹션 영어부문 자문위원 |
|
(前) YBM시사 종로본원 인기 강사 |
(前) 서강대, 광운대, 동국대 강의 |
(前) 기업체 출강 (삼성, 포스코, 현대 등) |
(前) 정부종합청사 공무원 영어 교육 강사 |
(前) 현대자동차 직원 자녀 영어캠프(중등) 강사 |
임지연 선생님 베스트 강좌를 소개합니다.

임지연 선생님이 현재 진행하고 계신 강좌는 정말 엄청납니다.
엄청난 능력의 소유자세요.ㅎㅎ

그렇다면 우리 학생들의 강의평가를 안 볼 수 없겠죠.


내용 출처 - 대교 공부와락 홈페이지
http://www.gongbuwarac.com/

플로리다 데이비드 대학교의 TESOL(테솔)과정은 한국 영어교사분들이 영어로 영어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칼란방식 TESOL교수법'을 응용하여 발전시킨 교과 과정으로써, 온라인 정규 학위과정 수업, 오프라인 TESOL 박사학위 교수의 TESOL IBS 세미나, 화상으로 진행하는 TESOL 심화 토론 수업으로 구성된 TESOL 과정입니다.
앞으로 23000명으로 예상되는 영어회화 전문강사 및 방과후 영어교사 채용에 결정적인 핵심요소는 바로 Speech능력과 영어수업 실연능력 Presentation입니다. 바로 이러한 영어수업 능력향상 부분에서 뛰어난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대학교가 바로 플로리다 데이비드 대학교 입니다.
플로리다 데이비드 대학교는 플로리다 주 고등교육국에 승인된 대학교로서 마이애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미국 플로리다 데이비드 대학의 TESOL 학사/,석사/ 박사과정을 공부하고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유일한 TESOL 전문 과정이 개설된 대학교 입니다. 입학문의는 kentopesl@hanmail.net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