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까지 21곳으로 확충…전체 음폐류 3분의1 처리
윤성규 환경부장관
환경부가 음식물쓰레기를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박근혜 정부 임기내에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현재 운영중인 3개 시설을 포함해 2017년까지 총 21개 시설에서 하루 4738t 규모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하루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인 1만3537t(2011년말 기준)의 3분의1에 달하고 서울 전역의 일일 배출량(3347t)보다 많은 수준이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사진>은 지난달 25일 건설경제신문과 가진 단독 인터뷰에서 “음식물류 폐기물 및 음폐수(음식물쓰레기폐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면서도 에너지를 생산하는 바이오가스화시설을 늘려나가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리나라는 2006년 발효된 런던협약에 따라 올해부터 분료와 음폐수가, 내년부터는 폐수와 폐수처리 침전오염물의 해양투기가 전면금지된다. 정부는 2009년부터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짓기 시작해 현재 서울 동대문구와 강원 속초시, 수도권매립지 3곳이 가동 중이다.
대구, 고양, 진주, 광주 등의 시설이 시험운전 중이고 올해 8개 시설이 추가로 지어지면 연말에는 모두 11개 바이오가스화 시설에서 약 2100t의 음식물류폐기물을 처리하게 된다. 현재 대전, 충주, 전주, 구리 등에서 바이오가스화시설에 대한 입찰 추진 또는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표 참조>. 대부분 재정사업으로 추진되고 일부 민자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윤 장관은 “독일은 작년 한해에만 이런 바이오가스화시설을 1300여개를 새로 지었다”면서 “2011년 기준 독일 전체 전력소비량의 3.1%인 2900㎿(7470개소)를 바이오가스화를 통해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동대문 환경자원센터 등이 잦은 고장과 낮은 효율로 ‘바이오가스화시설=돈 먹는 하마’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에 대해선 우수 기술인력을 키워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독일의 바이오가스화 기술은 장난감 자동차를 만드는 것처럼 일반화됐다”며 “우리는 (혐기효소화)기술 도입 30여년이 다 됐는데도 제자리걸음인데, 우수 기술자 10명만 제대로 키워도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각종 개발사업을 놓고 국토교통부와 갈등을 빚을 것이란 우려에 대해 윤 장관은 “국토부와 환경부의 차관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융합행정협의회를 구성해 수시로 풀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