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Active matrix
랩탑 컴퓨터의 평판 화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매우 미세한 전선의 망위에 다이오드를 배열한 것이다. 다이오드들은 망위에 전류가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잘 연결하면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 화면은 각 다이오드들의 켜지고 꺼지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데 이것이 사촌 격인 패시브 매트릭스와 다른 점이다. 패시브 매트릭스는 다이오드의 지속성에 의지한다. 이런 차이로 액티브 매트릭스 화면은 패시브 매트릭스보다 밝고, 색상을 더 잘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액티브 매트릭스를 구성하기 위해 부가되는 기술때문에 훨씬 가격이 비싸게 된다.
ActiveX
일반 응용 프로그램과 월드 와이드 웹을 연결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마이크로 소프트가 제공하는 기술들의 모음을 말한다. 자바, 비주얼 베이직, 비주얼 씨플러스 플러스 등의 다양한 개발툴들을 사용하여 개발자들이 인터랙티브 웹 컨텐트를 만들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ActiveX기술을 쓰면 사용자들이 워드나 엑셀 파일을 웹브라우저안에서 바로 볼 수 있다.
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이 방식으로 코딩된 음성 데이터 파일은 WAV과 AIFF처럼 일반적인 PCM 형태의 파일보다 크기가 작아진다. ADPCM은 여러가지 경우에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IMA의 ADPCM은 Sony Mini Disc에서 더 작은 판 안에 더 많은 데이터를 넣기 위해 쓰여졌고, 마이크로소프트의 ADPCM은 윈도95의 오디오 codec의 표준으로 쓰였다.
AIFF (Audio Interchange File Format)
이 오디오 파일 형식은 애플 컴퓨터에서 고음질의 샘플 오디오와 악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형식은 실리콘 그래픽스에서도 사용되며 몇가지 전문 오디오 프로그램에서도 쓰인다. 이 파일을 재생하는 프로그램은 PC용과 맥용 각기 여러가지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Anchor
앵커(anchor)는 하이퍼링크(hyperlink)와 마찬가지 의미로, 월드 와이드 웹 상에서 밑줄이 그어진 단어나 문구로 나타나며 누르게되면 다른 화면이나 페이지로 가게된다. 앵커는 하이퍼링크보다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넷상에서 항해(navigating)한다거나 서핑(surfing)한다는 등 항해를 주제로 하는 용어를 많이 쓰므로 아직도 쓰이고 있다. (원래 anchor는 닻이라는 뜻.)
Anonymous FTP
이러한 방법은 FTP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가 서버에서 파일을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어노니머스(anonymous) FTP 사이트에 접속을 하려면 로그인 네임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부분에서 anonymous라는 단어를 로그인 네임으로, 사용자의 전자메일 주소를 패스워드로 사용하면 된다.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 산업계 각계가 관계하는 이 단체는 다른 나라의 표준 위원회와 협의를 하여 국제적인 통상과정보통신에 적용될 수 있는 표준을 개발해내는 일을 한다. 컴퓨터 분야에서 ANSI의 업적들 중 유명한 것에는 ASCII, SCSI 등과 디바이스 드라이버 ANSI.SYS가 있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란 함수의 모임으로,
프로그램들이 그것을 사용함으로써 귀찮은 일들은 운영체제가 처리하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윈도우즈의 API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은 윈도우를 열거나, 파일을 열거나, 메시지 박스를 만드는 일 또는 더 복잡한 일들을 하나의 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다. 윈도우즈 운영 체제는 텔리포니 (telephony), 메시징 등 다양한 종류의 API를 제공한다.
Archie
오래 전에 인터넷 상에서 파일을 찾기 위해 사용되던 방법으로, Archie는 인터넷상의 정보를 모으고 분류하여 사용자가 찾기 쉽게 해 주는 시스템이다. McGill 대학에서 개발된 Archie는 모아진 파일들을 분류하는 디렉토리 서비스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속도가 느리고 검색 능력이 사용하는 Archie 서버의 관리 여부에 전적으로 의존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검색된 파일은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여 전송 받는다.
Artifact
모니터에 나타나는 모든 영상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컴퓨터 그래픽에서 보고 싶지 않은 부분을 artifact라고 한다. 이것은 여러 종류의 범주로 분류가 될 수 있지만 (스캔된 그림의 얼룩처럼), 최소한 한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원래의 영상의 일부가 아닌 빗나간 화소들의 모임이라는 것이다.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일반적으로 특별한 형식을 가지지 않는 문서 파일은 ASCII(아스키)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제일 좋다. 그러나 ASCII는 단지 문서 파일 형태만은 아니다. 그것은 ANSI에서 개발된 것으로 컴퓨터에서 문자를 읽고 쓰기 위한 표준 방법인 것이다. ASCII에 정의된 128자에는 문자, 숫자, 부호와 제어 코드(예를 들면 라인의 끝임을 나타내는 문자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각 문자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문자 A는 숫자로 65번, 소문자 z는 122번이라는 식이다. 대부분의 운영체제는 ASCII를 표준으로 사용하는데, 윈도NT는 예외적으로 최근에 개발되어 더 널리 적용이 가능한 Unicode 표준을 사용한다.
Asynchronous (communication(비동기 통신)
이 용어는 컴퓨터가 모뎀을 통해 다른 컴퓨터와 연결을 이루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텔리타이프와 단순 터미널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컴퓨터는 정보를 동기 적으로 (synchronously) 주고받았다. 그것은 송수신측이 하나하나의 문자를 보낼 때마다 시간을 맞출 수 있는 공통된 타이머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방법은 전화선을 통해 많은 데이터를 보낼 경우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그래서 현재의 모뎀은 비동기(asynchromous) 방식을 사용한다. 문자를 시간에 따라 보내고 받는 대신 송신측 컴퓨터는 스타트 비트, 스탑 비트와 선택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는 오류 검출용 패리티비트를 사용하여 수신측 컴퓨터가 각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쓰는 것이다. (사실 이 용어는 약간 틀린 표기이다. 모뎀끼리는 데이터를 주고받기 이전에 동기화를 하기 때문이다.)
AU
Sun Microsystems나 기타 유닉스 컴퓨터 회사들은 소리를 낼 때, AU파일 형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인터넷은 유닉스 기계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상에서 AU파일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다행히 맥이나 PC의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와 같은 브라우저들도 .au의 확장자를 가지는 AU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PC에서 만들어진 음성(sound) 파일들은 주로 WAV나 MIDI 파일 형식인 경우가 많다.
AVI (audio/video interleave)
PC에서 비디오 클립을 보게 된다면 그것이 AVI파일인 경우가 많을 것이다. AVI는 PC에 쓰이는 3대 비디오 기술중 하나인 Video for Windows에 쓰이는 파일 형식이다.(나머지 둘은 MPEG과 QuickTime이다.) AVI에서 그림과 사운드는 파일 안에 부분 부분 교대로 들어있다.
<B>
10BaseT
이더넷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10BaseT라 불리는데, 이것은 twisted-pair 동선을 사용할 때 10M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낸다. 이더넷은 컴퓨터와 LAN을 연결하는 표준을 말한다.
100BaseT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과 같은 용어로, 컴퓨터들을 LAN에 연결시키는 향상된 표준을 말한다. 100BaseT 이더넷은 데이터를 최대 100Mbps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이더넷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같은 계열로 속도가 더 느린 10BaseT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들고 그리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Bandwidth
일반적인 의미로 이 용어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것은 전화망, 네트워크망이나 시스템 버스, 방송 주파수, 모니터등에 적용할 수 있다. 사람의 경우로 보면 이것은 그 사람이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는 일의 양으로 볼 수 있다. ("나도이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고 싶은데 그럴 bandwidth가 없어요") bandwidth는 초당 사이클수 또는 헤르츠(Hz) 단위로 가장 정확히 나타낼 수 있는데, 그것은 전송되는 가장 낮은 주파수와 가장 높은 주파수의 차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초당 비트수나 바이트수로 나타내기도 한다.
BASIC (Beginner's All-purpose Symbolic Instruction Code)
Beginner's all-purpose symbolic instruction code이 표준적인 하이레벨 프로그램 언어는 배우기는 쉽지만 수행속도가 느린 프로그램을 만들어낸다. 많은 종류의 베이직(BASIC)이 있는데 거기엔 터보(Turbo), 퀵(Quick),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 등이 있다. 이 언어는 대게 강력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데는 쓰이지 않지만 비주얼 베이직은 수많은 쉐어웨어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사용되었고, MicroHelp의 Uninstaller와 같은 상업용 프로그램도 만들어 냈다.
Baud
많은 사람들이 baud(보)를 초당 비트수인 모뎀 속도를 말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렇지 않다. 9600-bps 모뎀이 9600 baud로 전송을 한다고는 말할 수 있지만, baud는 전화선상에서 음성의 변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요즘의 모뎀은 음성의 진동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비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buad와 bps의 수치는 같지 않다. 하지만 편집자나 학자, 통신 기술자들이나 그런 구분에 유의할 뿐이다. 만일 그런 종류의 직업을 택하려면 baud대신 bps를 쓰기 바란다.
Bit (binary digit)
비트 (bit)는 컴퓨터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의 단위이며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숫자에 관련하여 b라는 문자가 보이면 대부분 bit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면 된다. 그 단위에는 킬로(kilo-: 1,024비트 또는 2의 10승 비트)또는 메가(mega-: 1,024 x 1,024비트)라는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데에 쓰이기도 한다.(14.4 kbps 처럼)
BMP (bitmap)
BMP은 MS에 의해 개발된 윈도우즈 운영체제의 기본적인 그래픽 포맷이다. 윈도우즈가 시작되거나 끝이날때 보이는 그림이나 바탕 화면에 보이는 그림은 모두 BMP 형태의 파일이다. BMP는 그림 데이터를 비효율적으로 저장하므로 실제로 필요한 크기보다 큰 파일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바탕 화면의 그림만큼은 run-length encoding이라는 기법을 써서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browser 지금 당신이 이것을 읽고 있다면, 십중팔구 당신은 웹 브라우져를 사용하는 중일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브라우져(browser)는 월드 와이드 웹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것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 연결을 해석하고 사이트를 보여주며 하나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다른 곳으로 돌아다닐 수 있게 해준다. 브라우져를 만드는 회사 중에는 NCSA 모자이크, 넷스케이프,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상용 서비스 제공회사인 컴퓨서브, 프로디지, 아메리카 온라인 등이 있다.
Bps (bits per second)
모뎀의 속도는 1초동안 몇비트를 전송할 수 있느냐로 나타낸다. 모뎀의 속도가 9600bps 이하라면 시대에 뒤떨어진 모뎀이라 할 수 있다. 요즘 모뎀의 전송율은 초당kilobits로 나타나는 속도가 지배적이다: 14.4 kbps는 최소 사양이고 33.6 kbps 는 비교적 빠른 모뎀 속도라고 볼 수 있다.
Byte
바이트(byte)는 일반적으로 8 bit를 나타내는데(이것은 octet이나 word로 불리기도 한다.), 컴퓨터가 다루는 최소의 단위이다. 바이트가 연결된 16이나 32 비트의 단위도 사용된다. 줄임말은 대문자 B로 나타낸다.
<C>
Cache
캐쉬(cache)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같은 방식의 일을 한다. 캐쉬는 정보를 더 빨리 꺼내볼 수 있는 곳에 저장을 하는 일을 한다. 웹브라우져의 캐쉬는 한번 방문을 한 사이트의 문서, 그림, 음악 파일들과URL들을 하드 디스크에 저장을 한다. 그렇게 하여 다시 그 사이트로 돌아가는 경우 모든 것을 다시 다운로드받을 필요가 없게 만드는 것이다. 디스크를 읽는 것이 인터넷에서 읽어오는 것보다 훨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 물론 디스크에서 읽어오는 것이 RAM에서 읽는 것보다 느리니까 디스크 캐싱이라는 것을 쓰는데, 그것은 하드 디스크에서 필요할법한 정보를 훨씬 빠른 RAM에다 저장해 두는 것을 말한다.
CCITT (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e de Telegraphie et Telephonie)
이것은 스위스의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 위원회로, 원거리 통신에 관한 표준안을 제안하는데, 여기에는 음성 압축/해제 관련 표준(codecs)과 모뎀 속도와 압축 방식(V.34같은 것)에 관한 유명한 V. standards 등이 포함된다. 이 단체의 명칭은 ITU-T (Internatinal Telecommunications Union- Telecommunication)로 바뀌었지만 예전의 프랑스말 명칭은 여전히 남아있다.
CCITT A-law
이것은 CCITT가 인정한 음성 인코딩/압축 기술로 윈도95와 웹폰에서 사용된다. 유사한 여러 기술이 있는데 A-law는 애초부터 전화 통신 표준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CCITT u-law
이것은 CCITT가 인정한 음성 인코딩/압축 기술로 윈도95와 웹폰에서 사용된다. 유사한 여러 기술이 있는데 u-law는 애초부터 전화 통신 표준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CD (compact disc)
이것은 비록 2글자이지만 매우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컴팩트 디스크 (Compact disc)는 많은 변종이 있는데, 음악 CD와 CD-ROM에서부터 CD-I, CD-R 등 다양하다. 이러한 형식은 색에 따라 분류되는 소위 "Book" 표준이라는 것을 따르는데, 예를 들면 Red Book 표준은 음악 CD에 대한 것이다. CD들은 모두다 5.25인치의 플라스틱이 코팅된 금속원반이기때문에 어떤 형식의 CD도 그 형식을 플레이어가 인식을 하느냐의 여부에 관계없이 다 맞게 되어 있다.--대부분의 CD-ROM 드라이브는 음악 CD를 재생할 수 있기도 하지만. 결국 겉보기로는 알 수 없다. 표지를 보고 Red Book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을테니.
CD-DA (compact disc digital audio)
Red Book 음성 CD 형식과 같은 말이다. 이 표준은 74분 길이의 디지털 음성을 기록할 수 있는데 전송율은 초당 150 kilobytes(K/sec)이다. --이 전송율이 "1배속"으로 알려진 속도인데 원래의 CD-ROM 드라이브가 데이터를 이 속도로 전송했기 때문이다. 이 속도는 하드 디스크 속도에 비하면 불쌍할 정도로 느린 속도이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2X (2배속), 4X (4배속)과 그 보다 더 빠른 CD-ROM 드라이브가 개발되게 된 것이다.
CD-I (compact disc interactive)
독점적인 CD롬 전용 포맷으로 필립스(Philips)와 몇몇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지원을 한다. 그렇다고 해서 CDI의 CD북 표준(그린 북:Green Book)이 널리 채용되고 있는 플랫폼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이 표준은 소니(Sony)와 필립스에 의해서만 채용되고 있다.
CD-R (compact disc recordable)
이것은 컴팩트 위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일반적인 CD-ROM 드라이브에서 읽을 수 있게 한 CD-ROM의 형식을 말한다. CD-R 드라이브로는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에 여러번에 걸쳐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것을 전문 용어로 multiple sessions 라고 한다.
CD-ROM (compact disc, read-only memory)
음악 대신 컴퓨터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해내는데 쓰이는 컴팩트 디스크를 말한다. CD-ROM은 최대 650MB까지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보다 훨씬 적은 양만을 저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CD-ROM은 가격이 플라피 디스크를 찍어내는 것보다 약간 비쌀 뿐인데다 웬만한 소프트웨어들이 플라피 디스크 최소 5장 분량을 넘게됨에 따라, 프로그램 인스톨을 위한 매체로 점점 많이 쓰이게 되었다.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언급이 없다고 실망할 것은 없다. CD-ROM이라는 용어는 기술이나 디스크를 가리키는 말이지 디스크를 재생하는 하드웨어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그것은 CD-ROM 드라이브라고 한다.
CD-ROM drive
CD-ROM을 재생하고 --소프트웨어가 지원되면-- 음악 CD도 들을 수 있는 컴퓨터 주변기기를 말한다. 주요 부품으로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디스크의 균일하지 않은 표면을 비추는 레이저, 레이저 광선을 반사시키는 프리즘, 표면에 반사된 빛을 읽어내는 광-센서 다이오드 등이 있다. 음성 CD 표준이 초당 150 kilobyte (KB/sec)를 요구하므로 모든 CD-ROM 드라이브가 이 속도를 지원하는데 요즘 대부분의 드라이브는 2X (2배속 또는 300 KB/sec) 또는 4X (4배속 또는 600 KB/sec)의 속도까지 지원한다. 거기다 6X (900 KB/sec), 8X (1,200 KB/sec) 드라이브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CD-ROM 타이틀이 2X/4X 속도의 데이터 전송율에 맞게 제작되므로 4X이상 속도를 내는 드라이브를 써도 그리 대단한 장점은 없다고 볼 수 있다.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CGI는 서버와 외부 프로그램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규약이다. 외부 프로그램은 게이트웨이라 불리는데 그것이 서버에 있는 정보의 입장에서는 바깥쪽 세계를 여는 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HTML에는 프로그램 언어에 해당하는 구조(if, while ..)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 언어의 기능들을 가지기 위해서 웹서버와 일반 프로그램 사이에 인수를 전달하고 결과를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것이 CGI 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CGI란 용어는 CGI에 맞추어 작성된 프로그램을 의미하기도 한다.
Client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구성에서 사용자 측을 말한다. 헷갈리는 것은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했을 때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자신을 지칭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컴퓨터를 가리키기도 하며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ftp 사이트에서 뭔가를 다운로드받는 경우 당신은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Codec (coder/decoder or compression/decompression algorithm)
이름이 말해주듯 codec은 여러가지 형태의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디코드 (또는 압축하고 해제하고)하는데 사용되는 것인데, 디스크 공간을 특별히 많이 차지하는 음성이나 동영상 데이터에 주로 쓰이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인 codec은 아날로그 동영상 신호를 압축된 영상 파일 (MPEG같은)로 변환하는 방법이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된 음성 (RealAudio같은)으로 변환하는 기법을 포함한다. codec은 연속된 (streaming) 데이터 (live video나 audio)에도, 파일에 저장된 (AVI나 WAV) 데이터에도 모두 쓰일 수 있다.
Color balance
모니터는 영상의 화소 (pixel)를 구성하기 위해 발광 물질을 활성화하는데 세종류 (빨강, 초록, 파랑의)의 전자총 (electron gun)을 사용한다. color balance는 세 전자총에서 나오는 신호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파랑색의 전자총의 신호가 다른 두개보다 강하다면 화면이 푸른빛을 띄게 될 것이다. 많은 모니터들에 색상 조절기가 있는데 이것으로 세가지 전자총의 상대적인 강도를 조정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olor purity
모니터는 전자기를 이용하여 전자총 (electron gun)을 제어하기 때문에 모니터안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화면에 얼룩을 나타내는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의 왜곡이 발생되지 않으면 (화면을 모두 흰색바탕으로 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모니터의 color purity가 좋다고 말을 한다. color purity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자기장은 degaussing으로 제거할 수 있다.
Color tracking
모니터 화면의 각각의 화소 (pixel)는 빨강, 초록, 파랑의 세가지 발광물질의 점으로 구성되는데 각 점은 서로 다른 전자총 (electron gun)에 의해 빛을 내게 된다. color tracking이란 서로 다른 밝기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세 전자총을 같은 강도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실제로 하나의 전자총이 다른 두개보다 더 강하다면 화면의 어두운 회색이 약간 붉은 색을 띄거나 초록색 또는 푸른 색조를 띄게 될 것이다.
CRT (cathode ray tube)
모니터와 TV의 주요한 부품인 음극선관 (cathode ray tube)은 유리로 만든 큰 종 모양을 하고 있는데종의 끝에 전자총(electron gun)이 달려있으며 넓은 쪽 끝에는 화면이 있다.
<D>
3D API (3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표준 3D 물체, 광선, 시각 등을 만들어낼 수 있게 하는 API를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이러한 API로는 Argonaut의 BRender와 MS의 Reality Lab등이 있다.
Daemon
"데몬"이라고 읽는 이 유닉스 용어는 백그라운드로 작업하는 특정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데몬을 쓰면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작은 프로그램에게 간단히 맡기고 더 중요한 일을 계속 할 수 있다. 예를들어, 프린트 데몬은 여러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이 요청한 프린트 요구를 처리해주어 요청한 쪽이 프린트에는 신경쓰지 않고 다른 일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쇼핑 리스트처럼 간단하거나 수많은 소리와 그래픽, 관련 텍스트 파일을 모아둔 컬렉션처럼 복잡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그러한 정보를 쉽게 정리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초기의 단조로운 데이터베이스는 그저 검색만 가능한 행과 열로 되어있었다. 최근의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사운드 클립에서 비디오까지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볼 수있도록 해준다.
Data packet
컴퓨터와 모뎀은 데이터를 한번에 한글자씩 보내지만, 인터넷을 돌아다니고 파일을 다운 로드하고 전자메일을 보낼 때는 정보를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이라 불리는 더 큰 덩어리로 보내는 것이 효율적이다. 모뎀은 일반적으로 64 글자 정도에 오류 검출을 위해 약간을 덧붙인 크기의 패킷을 보낸다. 또 Xmodem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할때 패킷의 크기는 좀 더 크다. 그리고 TCP/IP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패킷의 크기는 보다 더 크다--대충 1,500 자 정도이다.
Degaussing
지구의 자연적인 자기력은 모니터안에 뜻하지 않은 자기장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모니터의 color purity를 떨어뜨릴 수 있다. Degaussing(소자)이런 불필요한 자기장을 제거할 수 있는데 그런 이유때문에 많은 모니터들에는 수동 소자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Diode
반도체로 된 이 전자 부품은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만든다. 많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것으로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와 전류가 흐름에 따라 투명한 물체를 밝거나 어둡게 하는 액정 다이오드(LCD: liquid crystal diode)가 있다. LCD는 휴대용 컴퓨터의 평판 화면을 만드는데 많이 쓰인다.
DMA (direct memory access)
PC에 연결되어 있는 하드웨어 기기들은(키보드에서 사운드 카드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명령어들을 메모리에 읽고 쓸 때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기본적인 방법은 CPU에게 그 일을 해달라고 하는 것이다.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명령어를 직접 메모리로 보낼 수있도록 PC의 DMA 채널을 할당받는 것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CPU는 다른 더 중요한 일에 쓰이도록 할 수 있다. IRQ와 마찬가지로 DMA 채널도 사용할 수 있는 수가 제한되어 있고, 한 채널을 하나 이상의 기기에 할당할 수 없다(시스템을 정지시키고 싶지 않다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사운드 카드 설치시 올바른(운이 좋다면) DMA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DMA란 것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DNS/Domain name server (도메인 네임 서버)
IP 주소가 ‘147. 46. 80. 205'와 같이 각 바이트마다 마침표로 구분된 4바이트 크기의 숫자 주소인데 비하여, 도메인 네임은‘sis. snu. ac. kr'와 같이 문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숫자보다는 이름이 이해하기도 쉽고 기억하기도 쉽다.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특정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일일이 숫자로 된 IP 주소를 기억하지 않고 도메인 네임만으로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전환시켜 주는 시스템이 도메인 네임 서버이다. 이 용어는 네이밍 호스트가 모인 것 또는, 인터넷에서 이름이 처리되는 방식의 두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Domain (도메인)
일반적으로 영토·영역·세력 판도 등을 의미하는데, 컴퓨터나 정보 통신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① 관계 데이터 베이스에서는 하나의 속성이 취할 수 있는 값의 집합. 예를 들면, 속성 ‘지역 번호'의 도메인은 국내의 모든 지역 시외 전화 번호의 목록일 수 있다. ② 집합 A와 집합 B의 값을 대응시키는 사상(寫像 : mapping) f : A→B에 있어서, A는 f의 도메인(정의영역)이다. ③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이 공통의 제어하에 놓여 있는 컴퓨터망의 일부분. ④ IBM의 SNA에서는 하나의 호스트 시스템의 SSCP(시스템 서비스 제어점)에 의해서 제어되는 물리적 장치(PU), 논리적 장치(LU), 링크, 링크 스테이션 및 관련 자원(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 ⑤ TCP/ IP 환경(인터넷)에서는 호스트 시스템이나 망의 일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인터넷 주소의 지정 단위. 지역별·국가별로 지정하는 최상위 도메인과 최상의 도메인 내에서 지정하는 부속 도메인이 있다. 기업이나 회사(.com)인지 교육기관(.edu)인지 정부기관(.gov)인지 군사기관(.mil)인지 또는 네트워크(.net)인지 비영리단체(.org)인지에 따라 각기 다른 확장자를 붙인다.⑥ 메시지 통신 처리 환경에서는 단일 조직(회사·단체)에 의하여 관리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MTS)과 그 서비스 제공 지역을 관리 도메인(MD)이라고 하는데 단지 도메인이라고 부른다. ⑦ 운영체제(OS)에서는 동시에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작업이나 태스크를 우선 순위로 분류한 그룹, ⑧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에서는 지식 베이스를 구분하는 경계. ⑨ 때로는 컴퓨터 자원의 소유자 또는 제어자(회사·단체 등).
Download (다운로드)
통신망을 통해서 어떤 컴퓨터의 기억 장치에서 한정된 자원을 갖고 있는 다른 컴퓨터의 기억 장치로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전송하는 동작. 통신망을 통해서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에 있는 파일을 개인 사용자 컴퓨터로 가져오는 다운로드는 컴퓨터 통신에서의 큰 혜택의 하나이다.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유익한 프로그램이나 자료 파일 중에는 무료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는 프리웨어(freeware), 일정 기간만 시험용으로 사용해 볼 수 있는 셰어웨어(shareware) 및 요금을 지불해야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것이 있다. 업로드(upload)와 대칭된다.
Dpi (dots per inch)
단위 인치당 점(dot)의 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인쇄하기 위하여 1인치(2.54cm)의 길이에 출력하는 점의 개수를 의미한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프린터, 팩시밀리, 플로터(plotter) 등의 문자나 도형의 해상도(resolution)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사용된다. 레이저 프린터의 해상도는 300-600dpi, 이미지 세터(imagesetter)의 해상도는 1000-4000dpi 정도이다.
DRAM (dynamic RAM)
DRAM은 읽고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에서의 허쉬 초코릿이다. 최상은 아니지만 값이 싸고 잘 동작하며 어디서나 흔하게 접할 수 있다. DRAM은 콘덴서(capacitor) 하나와 트랜지스터 하나로 이루어진 소자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콘덴서는 몇 밀리세컨드마다 충전해 주지않으면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성질을 가지는데 이러한 충전에 걸리는 시간 때문에 DRAM의 속도가 다른 고성능 RAM 종류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것이다.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신호처리 프로그램을 매우 빠른 속도로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말한다. DSP는 사운드 카드, 모뎀, 전화 관련 보드 등과 같은 종류의 컴퓨터 하드웨어에 사용되어 사운드와 모뎀 기능을 처리하거나 음성이나 영상 압축을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하드웨어에 사용된다. 주변기기 업체가 DSP를 체택한 하드웨어를 광고할때 마이크로 프로그래밍으로 기능을 수정할 수 있는 Analog Devices나 IBM/TI의 칩들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다.
<E>
EDO RAM (extended data-out RAM)
DRAM의 일종인 이것은 메모리 위치를 찾아가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단순한 가정을 한다. 다음번 메모리 억세스는 이어지는 하드웨어의 이어지는 주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가정이 메모리 억세스 시간을 표준 DRAM에 비해 10% 향상시킨다.
EIDE (enhanced integrated device (or drive) electronics)
PC 환경에서 IDE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를 대체하는 것으로, 디스크의 최대 용량을 504MB에서 8GB이상으로 늘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두배 이상으로 빠르게 하고 PC에 연결할 수 있는 드라이브의 갯수를 2개에서 4개로 두배 늘인 것이다. PC 환경에서 EIDE는 SCSI-2가 가격과의 전쟁을 벌이게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SCSI-2가 기술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에 동의하지만 EIDE가 훨씬 싸기 때문에 점점 더 널리 쓰이게 되고 있기 때문이다.
Electron gun
컬러 모니터는 음극선관(CRT)을 바탕으로 한다. 음극선관은 전자의 선을 만들어내는 세 개의 전자총(electron gun)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은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발광체를 점등시키게 된다. 전자기적으로 제어되는 전자총이 화면위를 각기 다른 강도로 휩쓸고 지나가면 색을 가진 영상이 그려지는 것이다.다양한 색상은 빨강, 녹색, 파랑의 발광체의 조합에 의해 표현된다.
Email (electronic mail)
당신이 컴퓨터로 어떤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그 사람이 나중에 그것을 받아서 읽게 된다면 당신은전자메일(email)을 보낸 것이다. 전자메일를 보내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는데-- 근거리망(LAN)을 이용하는 것, 인터넷을 통하는 것, 컴퓨서브나 어메리컨 온라인등의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한사람에게보낼 수도 있고, 여러 사람에게 모두 보낼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전자메일은 거의 비슷하게 동작한다: 송신자는 가상의 편지함으로 메일을 보내고 수신자는 그것을 꺼내보거나 자동으로 받아보게 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다.
Ethernet
이더넷은 컴퓨터들을 근거리망(LAN)에 연결시키는 표준 방식이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이더넷은 10BaseT라 불리는데 이것은 twisted-pair 동선을 사용할때 10M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F>
FAQ (Frequency Asked Questions )
많은 사람들이 자주 물어 보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을 정리해 놓은 문서. 유즈네트 뉴스(Usenet News)를 위시해서 인터넷에서는 여기저기서 정보의 교환이나 토론이 행해진다. 활발한 뉴스 그룹(newsgroup)에서는 똑같은 질문이나 의견이 여러 번 올라오는 경우가 있는데 똑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반복하는 것은 토론의 진행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질문과 그 답변을 정리해서 올려놓기 시작하였다. FAQ는 뉴스 그룹(게시판)을 처음 읽기 시작한 신참 이용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이나 초보적 질문에 대해서 되풀이해서 답변하기 귀찮은 사람들에 의해서 쓰여진다. FAQ를 한 번 읽어보면 대부분의 질문이나 의견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질문하기 전에 한 번 읽어보는 것이 예의상으로도 좋고 하지 않아도 되는 질문을 반복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Fast Ethernet
고속 이더넷은 컴퓨터들을 근거리망(LAN)에 연결시키는 발전된 표준을 말한다. 이것은 최고 전송 속도가 100 Mbps라는 점을 빼면 일반적인 이더넷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100BaseT라고도 불리는 고속 이더넷은 비용이 많이 들어, 속도가 느린 사촌격의 10BaseT에 비해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Flat-panel display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에 사용되는 초박형 화면을 통칭하는 말.
Freeware
프리웨어는 돈을 내지 않고도 다운로드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그러나 여전히 저작권은 유효해서 역컴파일하거나 자기 것처럼 판매해서는(퍼블릭 도메인 프로그램에서 되는 것처럼) 안된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
컴퓨터간에 파일을 복사하는데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주로 아카이브 사이트와 클라이언트간에 쓰인다. 구식이고, 느린 편에 속하고, 압축을 지원하지도 않으며 암호 같은 유닉스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다행히 복잡한 유닉스를 몰라도 되게 하는 프리웨어와 쉐어웨어들이 있고 다운로드 하여 구할 수 있고, 웹브라우져로도 FTP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G>
Gateway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간에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를 말한다. 이 용어는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할때나 다른 서버간에 전자메일을 보내는 경우 자주 등장한다.
Ghosting
모니터에서 화면의 명암이 급격히 바뀜에 따라 그림자와 줄무늬가 보이는 것을 ghosting 이라고 한다. 이 경우 대게 흰색이나 검은색의 그림자가 화면위에 그려진 막대의 오른쪽에 보이게 된다.
GIF (graphics interchange format)
웹상의 대부분의 컬러 그림과 배경 그림은 GIF 파일이다. 이 간결한 파일 형식은 적은 색을 쓰는 그래픽에 매우 적당한데 한때는 온라인상의 컬러 사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파일 형식이었다. 그러나 JPEG 형식이 사진에 사용되면서 GIF는 기반을 잃게 되었다. GIF는 256 색으로 제한이 있는 반면, JPEG은 1천6백만 색까지 사용할 수 있다--그러면서 거의 사진과 같은 화질을 보인다. 1987년 컴퓨서브에서 개발된 GIF는 GIF87로 불리고 2년뒤 인터레이싱, 투명성, 애니메이션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형식은 GIF89a로 알려져 있다. 사람들은 대게 두개의 GIF 버젼을 구분하지 않으므로 누군가 어떤 그림 형식을 그냥 "GIF"라고 하지 않고 "GIF89"라고 지칭한다면 그건 애니메이션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면 된다.
Gigabyte
요즘 가장 작은 하드 디스크 크기는 1 기가바이트 또는 1,073,741,824바이트이다. 이정도면 윈도95를 포함한 대부분의 요즘 운영체제에 있어서 충분한 크기이다--최소한 몇달 동안은 말이다. 줄여서는 GB라고 쓴다.
Gopher
대학의 마스코트 이름을 딴--또한 "go for" information이라는 하는 일을 나타내기도 하는--고퍼는 인터넷상의 문자위주의 정보 검색 시스템이다. 고퍼 클라이언트를 쓰면 고퍼 서버를 이용하여 키워드나 주제로 전세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져는 고퍼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웹은 문서 검색에 있어서 고퍼를 대체하고 있다. 고퍼를 사용한 검색의 장점은 정보를 서버에서 바로 읽을 수 있다는 점이다--파일을 일단 복사하거나 저장할 필요가 없다.
GSM (Groupe Speciale Mobile (Global Standard for Mobile Communications)
여기에 해당하는 표준들은 유럽에서 셀룰러 통신에 널리 쓰인다. GSM 표준중 음성 인코딩에 관한 부분은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더 잘 알려져 있는데 그 데이터 압축/해제 기법이 인터넷폰과 WAV, AIFF 파일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GZIP (GNU ZIP)
VRML파일 압축 포맷은 ZIP 압축과 비슷하다. VRML 2.0에서 그래픽 파일은 GZIP될 수 있고 이 파일은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불러질 때 자동적으로 압축이 풀린다. 압축 파일은 다운로드 시간을 줄여준다.
<H>
Host (호스트)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된 컴퓨터로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들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컴퓨터. 보통 한 컴퓨터가 여러 서비스 (WWW, Usenet)를 제공한다
Hot Java
미국의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사가 제공하는 월드 와이드 웹(WWW)브라우져. 핫자바는 전적으로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된 웹브라우져이다. 핫자바에는 제 1세대의 정적 브라우져에 없는 많은 혁신적 특징과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자바는 확장이 가능하다. 가장 큰 특징은 자바 프로그램(애플리트)을 어느 곳에서라도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모자이크(Mosaic) 등의 웹 브라우져에 의해 구축된 네트워크 브라우징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정적 문서를 동적 응용으로 변환하는 동적 동작을 추가함으로써 이들 기법을 확장한다. 핫자바는 현세대의 정적 브라우져를 훨씬 뛰어넘는 대화성(interactivity)을 추가함으로써 브라우져의 개념을 바꾸어 놓고, 현세대 웹 브라우져의 정적 데이터화면 표시를 새로운 동적 하이퍼텍스트 뷰잉 시스템(viewing system)으로 변형시킨다. 이 시스템은 애니메이션 지향적 응용 프로그램의 생성 및 화면 표시를 가능케 한다. 월드 와이드 웹 콘텐츠 개발자들(contents developers)은 그들의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서 배포할 수 있다.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HTML은 하이퍼텍스트 문서(정확히 말하면 웹페이지)를 만드는데 필요한 명령어들을 정의한 것이다.(Hypermedia 문서를 작성하고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언어.) 웹브라우져에서 URL을 지정하면 브라우져는 그 페이지에 포함된 HTML 명령들을 해석하여 그에따라 페이지안의 글자들과 그림들을 배치하는 것이다. HTML 명령에는 여러가지 문자 모양을 정의하는 것들(굵게 또 기울여서 쓰기, 목록으로 표기, 여러가지 크기의 제목 글자체 등)과 그림이나 그 밖의 문자가 아닌 요소들을 포함시킬 수 있는 기능 등이 있다. HTML 표준의 개발 및 유지보수는 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주관한다. HTML에서는 문서가 별도의 코드(code text)를 인식하여 완벽한 하이퍼텍스트를 만든다. 뿐만 아니라, 단어/단문을 인터넷의 다른 장소/파일로 연결시킬 수 있다. HTML 파일들은 웹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읽어야 한다. HTML은 도큐먼트를 표현하기 위한 포맷팅 언어인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의 일종이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서버와 클라이언트가 hypertext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 웹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상호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언어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라 부른다. 모든 웹서버와 클라이언트는 하이퍼미디어 도큐먼트를 주고받기 위해서 HTTP를 이용하여야 하며 한 쪽에는 HT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다른 쪽에는 HTTP 서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웹서버는 종종 HTTP 서버라고도 부른다.
Hub
이 하드웨어는 컴퓨터들을 네트워크로 묶는데 사용된다 (주로 이더넷 망에서). 이것은 정보가 어떤 중심이 되는 지점에서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들로 전달될 수 있는 연결점 역할을 한다.
Hyperlink (하이퍼링크)
웹에서 두 객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hypertext, hypermedia, 또는 다른 미디어 사이의 연결(링크)을 의미한다. URL의 형식에 따라 특정 단어에 대해 관련되는 문서를 지정하도록 해놓은 것이다. 링크되어 있는 어떤 단어를 선택하여 그에 해당하는 문서를 가져와서 보면, 그 문서 속에 또 다른 여러 단어들이 링크되어 있다. 그 중의 어느 단어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문서를 가져와서 보여주고 이 문서 속에는 또한 여러 개의 hyperlink되어 있는 단어들이 있다. 앵커(anchors.) 라고 부르기도 한다.
Hypermedia (하이퍼미디어)
일반 텍스트뿐만이 아니라 음성, 화상, 사진 등과 같은 다른 미디어에 대한 hyperlink를 갖고 있는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말한다. 즉, 하이퍼미디어(hypermedia)는 다른 text에 대한 link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미디어(음성, 화상, 동화상 등)에 대한 link를 유지한다. 하이퍼미디어는 hypertext와 multimedia를 함께 묶어 놓은 것이다. 하이퍼미디어 문서의 각 구성 요소들은 인터랙티브한 방식으로 연결이 되어 있다. 가장 좋은 설명은 예를 드는 것이다--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예는 배경 음악이 포함되어 있는 월드 와이드 웹의 페이지이다.
Hypertext (하이퍼텍스트)
다른 텍스트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포함한 텍스트이며 여러개의 hyperlink되어 있는 단어들과 함께 일반 텍스트로 되어 있는 하나의 문서를 의미한다. 하이퍼텍스트는 정보를 표현하는 비순차적인 방법이다. 하이퍼텍스트는 하이퍼링크의 힘을 빌어 정보를 거미줄처럼 복잡한 관계로 연결을 시킨다. 본질적으로 정보를 열람하는 방법으로써의 하이퍼텍스트는 잘 만들어진 CD-ROM 백과사전이나 월드 와이드 웹에서 정보를 얻는 방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I>
IDE (integrated device (or drive) electronics)
이 하드 디스크 인터페이스는 제어 회로를 디스크 드라이브 안에 모두 포함하고 있다. IDE 스펙은 최대 504 MB 크기 까지의 하드 디스크를 지원한다. 이것은 명령어 세트가 적고 콘트롤러와 드라이브가 바로 붙어있기때문에 사용하기에 쉽고 간편하다(SCSI나 1980년대 말의 ESDI (Enhanced Small Device Interface) 와는 달리). 그러나 스펙상의 제약 때문에 IDE는, 그 향상된 버젼인 EIDE에 의해 서서히 밀려나고 있는 추세이다.
IMAP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IMAP는 멀리 떨어져 있는 서버의 이메일 메시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POP 프로토콜과 흡사하다. 하지만 IMAP는 POP보다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한다. IMAP는 메시지 머리말만을 다운로드 할 뿐 아니라 다중 사용자 메일박스와 서버에 기반을 둔 저장 폴더를 만들어 준다.
Interface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2개의 구성 요소(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2개의 시스템이 상호 작용할 수있도록 접속되는 경계(boundary)를 가리키기도 하고, 이 경계에서 상호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조건, 규약 등을 포괄적으로 가리키기도 한다.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로는 신호의 전압, 주파수, 타이밍 등의 전기적 특성, 공통의 물리적 상호 접속 특성(기계적 특성), 명령과 응답 등의 논리적 특성 등이 있으며 정상적인 상호 접속을 위해서는 이들 조건이 일치할 필요가 있다. 컴퓨터 처리와 컴퓨터 통신에서는 인간과 프로그램이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와 같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와 하드웨어 장치간에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가 여러 수준에서 일어난다. 가장 두드러지게 눈에 보이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① 문자 방식 인터페이스(CUI), ② 메뉴 방식 인터페이스(menu based user in_ terface), ③ 도형 인터페이스(GUI)의 3종류로 분류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외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로는 컴퓨터 내부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 체제(OS)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 운영 체제가 컴퓨터의하드웨어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와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있다.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로는 컴퓨터 내부에서 장치나 구성 요소간을 상호 접속하는 눈에 보이지 않은 인터페이스, 컴퓨터와 주변 장치간의 접속과 정보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 커넥터, 카드 등이 있다. 업체별 국가별로 개발한 다른 시스템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한 것이 필요하다. 각국에서는 표준화 기관이나 업계 단체에서 표준화를 추진하고 국제적으로는 ITU나 ISO 등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RS 232는 미국의 전자 공업 단체인 EIA와 표준화 기관인 ANSI에서 작성한 컴퓨터와 주변 장치간 또는 DTE(데이터 단말 장치)와 DCE(회선 종단 장치)간의 인터페이스 표준이고, V.24는 RS 232와 호환성이 있는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ITU T(구 CCITT)에서 권고하는 국제 표준이다. ISO에서 표준화한 OSI 참조 모델에서는 다른 시스템간의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서 요소간의 인터페이스 지침이 정의되어 있다.
Interlaced GIF
GIF89a 그래픽 표준의 한 특징인 인터레이스 GIF는 한번에 한 줄씩 이미지를 로딩하지 않고 선들이 교차되는 통로에서 이미지를 보여준다. 어떤 그래픽 뷰어와 웹브라우져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인터레이스 GIF는 "베네치아 블라인드(venetian blind)" 효과를 내기도 하고 단조로우며 투박한 이미지를 만들기도 한다. 인터레이스 GIF를 사용하는 페이지를 이용하면 적어도 이미지 윤곽을 빨리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그 페이지는 로딩에 있어 인터레이스 GIF를 사용하지 않는 페이지보다 속도가 빠르다. 인터레이스 GIF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져는 이미지를 보통 GIF 형태로 단순하게 보여준다.
Internet backbone
소수의 국가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들은 주요 대도시에서 다른 대도시로 세계를 연결해주는 초고속 네트워크 즉 인터넷 백본을 제공한다. 이러한 업체(넷 99와 얼터넷 포함)들은 초당 대략 45 메가바이트의 데이터 전송률(T3 라인)을 이용하여 국가 접근 지점(national access point)으로 불리는 상호연결지점에 연결된다. 국가 접근 지점은 주요 대도시에 위치하고 있다. 지역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들은 데이터가 벡본을 통해 목적지까지 전송될 수있도록 라우터를 통하여 이 백본과 연결한다.
Internet Explorer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월드 와이드 웹(WWW) 브라우저의 명칭.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사(Netscape Communications)가 개발하여 WWW을 유명하게 만든 브라우져인 모자이크(Mosaic)를 제치고 사실상의 업계 표준이 된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에 대한 경합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WW 사이트로부터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최신판은 3.0으로 HTML 3.2에 대응하는 외에 액티브 X제어(Active X control)나 자바애플리트(Java app_ let)의 실행 환경을 구비한다. 스크립트 언어로는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Visual Basic Script)와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가 사용된다.
Intranet
인트라넷이란 한정된 지역에서 웹처럼 작동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하지만 인트라넷이 웹상에 있는 것은 아니다. 인트라넷은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함께 공유할 목적으로 주로 기업 내에서 사용된다.
IP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이란 인터넷상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통신망들을 서로 연결하는 규칙을 말한다.
IP address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어드레스는 123.123.23.2와 같이 숫자 네 개가 피리어드(.)로 구분된 일종의 문자열로서 인터넷상에 있는 컴퓨터들을 식별한다. 인터넷상에 있는 모든 자원들은 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인터넷상에 있을 수 없다.
IPX (Internetwork Packet Exchange)
넷웨어(NetWare)의 네트워크-층 프로토콜은 주소지정, 경로선택, 그리고 패킷을 다룬다. 모든 네트워크 프로토콜 가운데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IPX는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로드한다.
IRC (Internet Relay Chat)
IRC를 이용하면 다른 인터넷 사용자와 문자로 의견을 즉시 주고받을 수 있다. IRC를 이용하려면 IRC 클라이언트와 IRC 서버가 필요하다. 서버에 연결되면 채널과 다양한 토론그룹에 참여할 수 있다. IRC
채널은 다양한 토론를 다룬다. PC나 맥에 있는 다양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로 IRC를 이용할 수 있다.
IRQ (interrupt request)
PC에 있어 IRQ(interrupt request)란 CPU가 무엇인가를 해야된다는 것을 알려주며 하드웨어(키보드나 사운드카드)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말한다. IRQ신호는 IRQ라인을 따라 인터럽트 제어기까지 보내진다. 인터럽트 제어기는 들어오는 IRQ에 우선권을 지명하여 그것들을 CPU에 옮겨놓는다. 인터럽트 제어기가 IRQ라인 당 오직 하나의 장치에서만 신호를 기대하기에 만일 여러분이 동일라인을 따라 IRQ를 송신하는 장치를 하나이상 가지고 있다면 IRQ 충돌을 얻게 되어 컴퓨터 작동이 멈춰 버린다. 이것은 인스톨할 때 새로운 하드웨어에 IRQ를 설정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잘못 설정했을 때 얼마나 큰 고통이 되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과거의 간단한 전화시스템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다룰 수 없었고 전화회사는 이를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일반 스위치 전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광 대역폭 디지털 전송할 수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ISDN이 1984년에 선보이게 되었다. ISDN에서 전화는 초당 64킬로바이트에 이르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ISDN을 채택하는 것이 언제나 쉬운 일만은 아니다.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옛날에는 주요 대학에 속해 있거나 미 국방성 기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를 이용하면 쉽고 편리하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들은 서버 네트워크(메일, 뉴스, 웹)와 라우터 그리고 고속 인터넷 "백본"망에 연결된 모뎀을 가지고 있다. 가입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나 도메인명 또는 유닉스를 배울 필요 없이 지역 네트워크로 전화만 걸면 된다.
ITU-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Telecommunication)
국제 위원회 CCITT의 새 명칭으로 예전 명칭만큼 잘 알려져 있지는 않다.
<J>
JAVA
미국의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사가 개발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즉 웹사이트에서 움직이는 그림과 같은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자바로 만든 작은 응용 프로그램(애플릿이라 불림)은 웹이 가능한 어떤 그래픽 시스템에서나 동작시킬 수 있는데, 그것을 보기 위해서는 자바를 지원하는 웹브라우져를 사용해야 한다. 선의 설명에 따르면 자바는 "간단하고, 개체 위주이고, 분산 처리가 되며, 인터프리팅 언어이고, 견고하며, 안전하고, 플랫폼에 무관하고, 이식성이 좋고, 효율이 높으며, 멀티쓰레드를 지원하고, 동적이고, 쉬운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1995년 5월에 발표, 1996년 1월부터 정식 버전의 배포를 개시하였다. C++를 바탕으로 언어 사양을 규정하였다. 버그(bug)의 원인이 되기 쉬운 기능, 예를 들면 포인터 연산을 생략하였다. 또 C++에서는 사용이 끝난 객체(object)를 명시적으로 폐기하도록 프로그램에 기술하였으나 그 대신에 자동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와 같이 메모리 관리의 오류로 기인되는 버그를 방지한다. 자바는 객체클래스의 계승(inheritance) 관계를 실행 시에 확정하는 동적모델을 채용하였다. C++에서는 컴파일 시에 확정하기 때문에 상위 클래스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면 그 클래스와 계승 관계가 있는 모든 클래스를 재컴파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자바에서는 클래스의 계승 관계를 실행 시에 확정하기 때문에, 하위의 클래스를 재컴파일할 필요가 없다. 자바로 작성한 프로그램의 원시 코드는 자바 컴파일러(Java compiler)로 컴파일한다. 자바 컴파일러는 바이트 코드라고 하는 중간 코드를 생성한다. 이 중간 코드를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이라고 하는 소프트웨어로 해석해서 실행한다. 이 소프트웨어를 실장하는 컴퓨터라면 컴퓨터의 명령 집합 아키텍처나 운영 체제에 관계없이 같은 바이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자바의 원시 코드를 고쳐 쓰거나 재컴파일 할 필요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자바는 기종이나 운영 체제와 무관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도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자바 가상 머신의 실현 방법으로는 현재의 3종류가 있다. 즉 바이트 코드를 해석하여 축차적으로 실행하는 자바 해석기(Java interpreter), 바이트 코드를 일괄적으로 2진 코드로 변환하고 실행하는 JIT 컴파일러(just in tiem compiler), 바이트 코드를 고속으로 해석하여 실행하기 위한 자바 칩(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Java applet!! (자바 애플리트)
자바(Java) 언어로 작성된 작은 소프트웨어. 단지 애플리트라고도 한다. 자바 애플리트는 크기가 작아서 네트워크에서의 전송에 적합하고, 월드 와이드 웹(WWW)을 써서 배포할 수 있다. 자바 애플리트는 사전에 컴파일러하여 웹서버에 등록하여 둔다. 웹에서 사용하는 표준 데이터 형식인 HTML로 작성한 문서에 애플리트(applet!!)라고 하는 태그(tag : 꼬리표)를 써서 자바 애플리트를 지정한다. 자바 애플리트를 동작시키는데는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이라고 하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한 웹 브라우져가 필요하다. 브라우져는 불러내온 문서 속에 애플리트라고 하는 태그가 있으면, 지정된 자바애플리트를 웹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실행한다. 애플리트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과 작다는 의미의 접미사(let)를 조합한 합성어이다. 웹 브라우저를 쓰지 않고, 자바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이 단독으로 동작할 때에는 자바 프로그램(Java program)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xxxxJavaScript
썬마이크로시스템스와 넷스케이프사(Netscape Communications)가 개발한 스크립트 언어. 자바를 응용하여 사용하기 쉽게 만든 자바스크립트는 표준 HTML 문서에 사용되어 인터랙티브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게 한다. 현재 자바스크립트는 웹상의 인터랙티브한 양식을 만드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1996년 2월에 발매한 월드 와이드 웹(WWW) 브라우져인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 2.0에 실장하였다. 웹 브라우져에서 실행하는 스크립트 언어를 기술한다. 언어 사양은 자바(Java)의 부분 집합(subset)으로 되어 있다. HTML 문서를 작성하는 수준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여 자바의 언어 사양으로부터 변수의 형(정수형이나 문자열형 등)을 생략하거나 새로운 클래스 정의를 할 수 없도록 하였다. 스크립트는 HTML 문서의 속에 직접 기술한다. cript'라고 하는 태그(tag : 꼬리표)를 사용한다. 자바 스크립트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는 irtual Basic Scripting Edition'을 개발하였다.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이 파일 형식은 많은 색을 사용하는 화상을 위한 것으로,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위원회에 의해 개발되었다. JPEG은 사진과 같은 많은 색을 가진 그림을, GIF와 같은 유사한 파일형식에 비해 더 잘 압축하는데, 원래의 색을 상당히 충실하게 보존한다. 따라서 JPEG 파일은 크기가 더 작아져 다운로드 시간도 절약된다. JPEG 파일은 압축 정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것이 손실성을 가진 형식이라서 압축을 더 많이 할수록 더 많은 색상 정보가 손실된다. JPEG 파일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은 PC나 맥 양쪽 모두 여러 종류를 다운로드로 구할 수 있다.
<K>
Kbps
모뎀 속도는 초당 전송할 수 있는 비트(bit)의 수로 측정된다. 초당 계산된 kilobits(킬로비츠)가 현재 모뎀의 표준 속도 척도이다.
Kermit
커밋은 직접 전화 연결을 하는 동안 전송되는 파일 프로토콜로 만화 주인공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커밋은 안정적이지만 구식이어서 X모뎀과 Y모뎀, 심지어는 Z모뎀보다 늦을 수 있다.
Kilobyte
kilo가 그리스어로 1,000을 의미하지만 kilobyte(킬로바이트)에는 실제로 1,024바이트가 들어있다.(10의 제곱). 다시 말해 1,000 바이트는 킬로바이트 보다 적다. 다음 다운로드 받을 때엔 약어 K를 잊지 말도록.
<L>
L1 cache (level one cache)
상위 캐쉬 메모리의 다른 표현
L2 cache (level two cache)
보조 캐쉬 메모리의 다른 표현
LAN (local area network)
지역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는 한 건물 내에서 여러개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단거리 네트웍이다. 10BaseT 이더넷이 LAN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인다. 허브라 불리는 장치를 통해 컴퓨터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간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LAN은 500미터 이하 지역으로 국한되며 이 작은 범위 내에서 사용할 경우 비용 절감과 높은 대역폭의 네트워크 능력을 제공한다.
Latency
네트워킹에 있어서 레이턴시(latency: 회전, 대기) 와 대역폭(bandwidth)은 연결 속도를 결정하는 두 가지 요소이다. 레이턴시는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 연결을 지날 때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대역폭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이터 관의 능력이다.)
LCD (liquid-crystal diode)
두 전극 사이에 전기 반응 물체를 넣음으로서 생성되는 LCD는 전류를 접속했다 떼었다 하면서 어두워졌다 밝아졌다할 수 있다. 많은 수의 LCD가 가까이 모여서 평평한 화면에서 픽셀(pixels)처럼 작동한다.
Lernout & Hauspie
러나웃 앤 허스피 사의 음성 제품은 음성 인식, 말하는 텍스트, 음성과 음악의 디지털 포맷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된다. 이 회사의 오디오 암호는 넓은 압축율의 범위와 음질에 따라 각기 다른 세 가지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들은 각각 밴드 이하의 코딩(sub-band coding), 들뜬 선 모양의 전조 코딩(codebook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그리고 음악적 코딩(harmonic coding)이다. streaming 데이터가 하드웨어의 어떤 곳에서 다른 곳으로 빨리 움직일 때, 데이터는 작업을 실행할 장치가 필요한 공간이 생길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다. 이를 스트리밍이라고 한다. 또한 하드디스크 데이터가 테이프 백업장치에 기억될 때 이를 스트리밍이라고 한다. 하지만 인터넷상에서 퀵타임(QuickTime) 무비를 보는 것은 스트리밍이 아니다. 왜냐하면 실행하기 전에 다운로드가 완전히 되야 되기 때문이다.
Lossy
그래픽 파일들은 크고, 대부분의 파일 포맷(BMP, TIFF, PICT, PCX 등)은 효과적으로 코드화 되지 않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용량이 크다. 그러면 어떻게 그래픽 프로그래머들은 디스크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까? 그들은 압축기술을 개발한다. 그래픽 압축기술은 로스레스(lossless)와 로시(lossy) 둘로 나뉜다. 로스레스 기술은 반복되는 정보 비트를 이미지에 영향을 안주면서 날려버린다. JPEG같은 로시 기술은 파일들을 작게 부수지만 그 과정에서 이미지의 질을 떨어뜨린다. 그렇지만 전문 이미지세터(imagesetter)에 복사하지 않는 한 대부분은 이미지의 질적 차이를 식별하지 못한다.
<M>
MAPI (Messag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마이크로소프트사 및 다른 회사들은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메시지 시스템에 연결할 수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소프트 메일에서 노벨(Novell)의 MHS에 이르는 매피(MAPI)를 개발했다. 그렇지만 매피는 매일 계속 개발된다. 메일 인식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불리는 매피는 네트웍 상에서 메일과 데이터 모두를 교환할 수 있다.
Megabyte
메가는 그리스어로 백만이란 뜻이지만 메가바이트에는 1,048,676바이트(1,024 x 1,024 bytes)가 들어간다. 다시 말해 백만 바이트는 메가바이트 보다 적다. 다음에 하드디스크를 산다던가 플로피 디스크에 파일을 넣을 때 메가바이트의 약자 MB를 잊지 말도록 하자.
Memory bandwidth
일반적으로 대역폭은 데이터 운반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매 초마다, 혹은 매 Hz단위마다 주기적으로 표시된다. 램(RAM)의 경우 대역폭은 속도와 데이터 선로 크기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연결 인터페이스, 미디(MIDI)로 컴퓨터와 악기, 신디사이저를 서로 연결하여 디지털 사운드를 만들고 합성할 수 있다. 미디란 용어는 표준, 혹은 그 표준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혹은 그 하드웨어가 사용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인다. 미디파일들은 디지털 음악과 같이 음표, 박자, 기악 편성의 내용을 담고 있어서 게임 사운드트랙과 스튜디오 녹음 등에 광범위하게 쓰인다.
MIM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MIME은 Maecel Marceau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MIME은 웹브라우져의 능력을 확장시켜서 텍스트를 제외한 그래픽, 소리, 멀티미디어를 다루기 위한 방식이다.(HTML에서는 text만 다룬다는 것을 기억하자--그 외의 것을 다루는 것은 확장된 기능이다.) MIME은 또한 바이너리 이메일을 어태치먼트하는 데 쓰인다. 브라우져는 MIME의 형태를 주제별과 파일 유형별, 슬래쉬로 나누어(image/gif) 구분을 한다. MIME의 형태를 등록하면 브라우져는 파일 암호를 풀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Mirror server
때때로 웹서버는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보다 더 많은 교통량을 안게 된다. 이럴 경우 서버의 관리자는 동일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여분을 서버를 더하여 이 폭주하는 교통량을 해결한다. 이러한 복사판 서버를 미러 서버라고 부른다. 미러 서버를 더하고 사용자들에게 이 미러 서버에 접속하는 법을알려주어서 관리자는 이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들이 에러 메시지나 매우 늦은 반응 시간을 경험하지 않도록 해준다. 미러 서버는 또한 주 서버가 다운될 경우 백업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Mirror site
최근 인터넷 사용자들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많은 기록 저장 서버들은 과중 작업을 견디기 어려워하고 있다. 해결방안은 서버의 정확한 카피를 만든다는 것이다.--이 과정을 미러링(mirroring)이라 한다. Mirror 사이트들은 기존 사이트로 향하는 교통을 분산시킨다. 사용자가 많은 ftp사이트가 10개 이상을 미러 사이트를 가지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Mltisession
이 말이 앞에 붙어있으면 해당 CD-ROM의 데이터가 한 건 이상 기록되었다는 뜻. 멀티세션(multisession) CD-ROM을 읽으려면 CD-ROM드라이브는 다중 세션이 가능해야 하고(종종 XA-ready라고 불리기도 한다), CD 기록기는 오렌지 북 규격에 맞아야 한다.
Modem
모뎀은 전화선에 전송되는 음성을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외부 상자 또는 내부 회선이다.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를 전화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주는 모듈레이션(modulation:변조)작업과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다시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바꿔주는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복조)작업이라 부르는 데 이 두 말을 합성하여 만든 말이 모뎀이다. 최근 들어 모뎀은 많은 다양한 음성, 신호와 함께, 혹은 복잡한 수리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많은 기능을 갖고 있어 모뎀이란 이름 이상의 일을 한다.
MOV
.mov 확장자를 가진 파일은 QuickTime(퀵타임) 멀티미디어 기술로만 실행시킬 수 있다. MOV 파일은 윈도우의 AVI 파일의 비디오처럼 동영상이거나 또는 GIF 파일 같은 정지된 그림이 되기도 한다.
Mozilla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 버전 1.1에 붙여졌던 이름. 넷스케이프 개발자, 제이미 자윈스키(Jamie Zawinski) 때문에 만들어진 이름이나 나중에 디자이너 Dave Titus는 넷스케이프 마스코트, 모질라를 넷스케이프의 유명한 항해 그림으로 바꿨다.
MPEG (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MPEG는 음향, 영상파일을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즉석 실행)하기 좋게 알맞은 포맷으로 압축시키는 표준이다. MPEG-1은 초당 150 킬로바이트로 스트리밍하고 이 속도는 CD-ROM드라이브와 같다. MPEG는 비디오 키 프레임을 불러들여 프레임 사이에 변화하는 공간을 채워 넣는다. 비디오 MPEG 파일은 대개 윈도우 파일용 퀵타임 또는 비디오보다 작지만 품질은 항상 그렇게 뛰어난 것은 아니다. 가장 많이 쓰고있는 MPEG로는 윈도용 MPEGPlay와 VMPEG 그리고 맥용 스파클(Sparkle)이 있다.
MPPP (multilink point-to-point protocol)
MPPP는 ISDN에서 각각의 분리된 데이터를 운반하는 B채널을 함께 엮어서 더 큰 관을 통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데 쓰이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이다. PPP(point-to-point)하에 있는 부동 장치는 다중 연결 PPP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 MPPP는 또한 양채널이 음성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있도록 해주고 동적 대역폭 할당을 지원한다. 이것은 전화가 올 때 두 개 채널 중 하나는 자동적으로 끊기고 다시 대역폭을 할당해 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통화가 끝났을 때 채널은 MPPP로 전송을 계속하기 위해 다시 연결될 수 있다.
Multicasting
방송을 수신하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프로그램 같은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방송(broadcasting)이라고 한다. 이에 반해 특정한 몇몇 소수의 수신자에게 웹전화를 통해 음성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멀티캐스팅(multicasting)이라 한다
Multiscanning
다중검색(multiscanning)이란 다양한 단계의 비디오 보드에서 나오는 신호를 수용할 수있도록 자체 조절 능력을 갖춘 컴퓨터 모니터를 말한다. 모니터의 보증서에 다중검색 기능을 지원한다고 나와있으면 해당 모니터가 (640×480 pixel 이상) 비디오 보드 지원 해상도와 재생 속도를 다룰 수 있는 지 확인해야 한다. VGA등급 모니터는 다중검색 기능이 없다.
MultiSync
NEC의 트레이드마크인 멀티싱크(MultiSync)는 다른 종류의 그래픽 보드에서 나오는 신호수용을 위한 검색률 자체 조절 능력을 갖춘 컴퓨터 모니터를 말한다. 멀티싱크는 원래 제품의 이름이었으나 NEC모니터가 초기에 이 기술을 수용했기 때문에 클리넥스나 제록스 같이 기술 자체를 대표하는 말이 되었다.
<N>
Netscape Navigator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
미국의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사(Netscape Communications, Inc.)에서 개발한 월드 와이드 웹(WWW) 브라우저의 명칭. 단지 넷스케이프라고도 불린다. 미국 실리콘 그래픽스사의 창업자인 짐 클라크가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의 슈퍼 컴퓨터 응용 연구소에서 WWW 브라우저 모자이크(Mosaic)를 개발한 마크 앤드리센 등 연구원들과 함께 회사를 설립하여, 1994년에 새로운 브라우저인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를 개발하였는데 모자이크를 대신하여 불과 2년만에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인터넷 브라우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WWW 브라우져의 하나로 다양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갖고 있다. 1996년 8월 현재의 최신판은 3.0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시장 점유율 경쟁을 벌이고 있다. 4.0판은 인트라넷(intranet)에서의 이용을 의식한 제품으로 그룹웨어(groupware)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NetWare
넷웨어는 노벨사가 개발한 인텔 기반 플렛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네트웍 운영 시스템이다.
Newsgroup (뉴스 그룹)
유즈네트(Usenet)에서 특정 주제별로 토론할 수있도록 만들어진 그룹(게시판)을 뉴스 그룹이라고 한다. 뉴스 그룹에 참가하여 뉴스를 보거나 뉴스를 게재하기 위해서는 뉴스리더(newsreader)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Newsreader
뉴스그룹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뉴스그룹 전용 프로그램이나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에 달린 것 같은 붙박이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느낄 것이다. 뉴스리더는 뉴스 그룹을 읽고 다운로드하고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뉴스그룹에 올릴 수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어떤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바이너리 파일 첨부를 암호화 해주기도 한다.(인터넷은 텍스트 전용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바이너리 또는 텍스트가 아닌 파일들은 전송 전에 부호화 되어야 한다.) 인기 있는 뉴스리더 프로그램들로는 PC용 뉴스익스프레스(News Xpress), 프리에이전트(Free Agent), 윈VN(WinVN), 그리고 맥용 뉴스와쳐(Newswatcher)와 넌터우스(Nuntius)가 있다.
NLM (NetWare Loadable Module)
노벨의 넷웨어에서 사용되는 드라이버와 어플리케이션을 NLM라 한다.
NNTP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유즈넷 뉴스 그룹 기사들을 아무렇게나 붙쳐지고 접근되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이 기사들은 뉴스리더와 뉴스 서버를 가로막는 이 프로토콜을 지켜야한다. NNTP는 뉴스들이 공급되고 질문을 받고 회수되고 올려지는 방법을 규정한다.
<O>
Orange Book
CD-ROM으로 기록을 해보면 오렌지 북(Orange Book)규격을 쓰게된다. 이 포맷으로 CD-R은 일반 CD-ROM 플레이어가 읽을 수 있는 디스크로 기록할 수 있다. 오렌지 북(Orange Book) 포맷과 레드 북(Red Book)과 옐로우 북(Yellow Book)과 같은 다른 포맷과의 주된 차이는 이 멀티세션 디스크에 더 많은 데이터를 더한다면 이 포맷은 CD-R 기기가 인덱스 데이터를 기존 디스크 디렉토리에 추가시키는 방법을 정의해 준다는 것이다.
<P>
Parity bit
구식 모뎀의 경우에는 한번에 하나의 문자를 전송하기 때문에 각 문자마다 에러검출기가 있어야 했다.보통은 각 문자 뒤에 정지 비트가 오기 전에 여분의 비트를 더하는 데 이를 패리티 비트라고 한다. 이 비트는 이 전 데이터 비트의 값에 따라 0 또는 1로 지정한다. 최근 들어서 모뎀은 데이터를 패킷으로 모아서 전송하는데 이 전체 패킷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 2 또는 4바이트 대용량 에러검출기를 전송한다. 그렇기 때문에 패리티비트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Passive matrix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는 전선 망의 상단에 액정 다이오드 요소들을 배열하면서 생긴 기본적인 평 화면이다. 이때 다이오드는 여럿의 교차점에 전류가 지나게 됨에 따라 픽셀처럼 빛을 낼 수 있다. 수동 화면에서 이미지를 유지하려면 단순히 특정한 재생률에 따라 전류를 방사한다. 고품질(물론 그럼으로 해서 가격도 매우 비싼)능동 매트릭스나 TFT화면은 한 개 이상의 트렌지스터로 각각의 다이오드를 조절하여 정확하고 밝은 색깔들의 영상을 만든다.
PCM (pulse code modulation)
사운드는 아날로그이고 컴퓨터는 디지털 방식이다. (CD와 DAT 플레이어를 포함하고 있는)컴퓨터에서 사운드를 다루려면 이 사운드는 디지털화 되어야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방식은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 modulation)이다. PCM은 소리를 내는 WAV와 AIFF 파일의 원래 형태이다. 압축상태가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세심한 압축을 위해서는 코덱(codec)으로 쓰기도 한다.
Persistence
퍼시스턴스(persistence)란 전류가 흐른 뒤 발광체 또는 다이오드 픽셀에 빛이 남아있는 시간의 양이다. 그리고 새로운 화면이 재생될 때까지 이미지가 지속되는 동안을 픽셀 퍼시스턴스라 한다. 짧은 퍼시스턴스의 픽셀은 흔들리는 화면을 보여주고 긴 퍼시스턴스를 가진 경우 그림자가 생긴다.
Pixel (picture element)
모니터에 나타난 영상과 스캐너 또는 페인트 프로그램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은 픽셀이라고 하는 수많은 점들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화면에 나타난 픽셀 수가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한다. 모니터의 픽셀은 빨강, 초록, 파란색을 띠는 일광체 점들이다. 이러한 점들은 세 개의 모니터 전자총에 의해 활발해지고 부가적으로 화려하고 독특한 색을 만들어 낸다. 많은 수의 픽셀을 정밀하게 다룸으로서 동일한 그림을 만들 패턴이 생기게 된다.
Plug-in
플러그인(plug-in)이란 특수한 기능이 덧붙여지도록 대규모 어플리케이션에 통합되어 있는 프로그램 형태를 말한다. 대규모 어플리케이션은 플러그-인 장치를 수용할 수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 제조업자들도 사용자들이 플러그-인을 잘 사용할 수있도록 해당 설명서를 발행한다. 플러그인 장치를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아도베 포토샵(Adobe Photoshop)과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가 있다. 플러그-인의 두드러진 예로는 포토샵용 카이 파워 툴(Kai's Power Tools)과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용 쇼크웨이브(Shockwave)가 있다.
Plug and Play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 그리고 다른 산업체 리더들은 PC에 하드웨어를 부착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and Play) 표준을 개발하였다. 이 표준은 시스템에 새로운 보드나 드라이브 등을 덧붙이려는 사람에게 IRQ나 DMA 채널처럼 달갑지 않은 사항을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설치가 쉬워 보이는 장치들 또한 이 표준을 활용한다. 예를들어 플러그 앤드 플레이 모니터는 최대 재생 속도를 지정된 해상도로 자동 설정하기 위하여 윈도우 95와 그래픽 어댑터와 소통한다. 플러그 앤드 플레이는 또한 모니터가 그 성능을 벗어나지 않도록 지켜 준다.
PoP (point of presence)
인터넷 접속 공급자는 사용자가 Net에 접속할 수 있게끔 지역 다이얼-업 번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급 범위 전체에 PoP을 유지하거나 연장시킨다. PoP은 "팝"이라고 읽혀지며 모뎀, 디지털 전용 회선, 멀티 프로토콜 라우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POP (Post Office Protocol)
POP은 최근 인터넷 이메일 접속 표준에 있어 그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융통성에 있어 한계점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서버와 연결하여 다운로드 받은 모든 메시지들이 서버로부터 삭제되기 때문이다. 물론 일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면 서버에 메시지를 남길 수 있으며 일정 크기 이상의 메시지는 다운로드 받지 않을 수 있다. 메시지가 길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사운드나 비디오 같은 멀티미디어와 함께 무엇을 또 언제 받을지 알려주는 기능을 원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IMAP가 선보이게 되었다. POP의 최신 버전은 POP3이다.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을 가지고 있다면 전화선을 이용하는 보통 모뎀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POTS은 기본 음성 전화 서비스로 ISDN과 T1같은 전용 회선과 같은 접속 방법과 구별할 때 사용되어지는 용어다. T1 ISDN이 디지털 전송기로 불충분하다면 T1이 더 나을 것이다. ISDN의 전송속도가 초당 64킬로바이트인 반면 AT&T사가 만든 T1은 초당 1.544 메가비트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한다. T1도 만족스럽지 않다면 T3을 사용해 보기를 바란다. (T2는 주로 무시된다.)
PPP (point-to-point protocol)
PPP는 직렬 통신용 인터넷 표준을 말한다. 전신인 SLIP보다 더욱 새롭게 향상된 PPP는 인터넷에서 모뎀이 어떻게 다른 시스템으로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는지를 지정한다.
Primary cache
데이터와 값비싼 메모리를 캐시하면 시스템의 실행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주 캐시는 빠르고 CPU 칩에 통합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적다(보통 16K). 주 캐시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때는 유용하지만 시스템 수행 능력을 늘릴 경우에는 보조(L2) 캐시에 의존해야 한다.
Process (프로세스)
① 명사로서는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의 일부분. 일반적으로 입력 기능, 처리 기능, 출력 기능을 가지고 있는 조작을 말한다. ② 동사로서는 프로그램에 의해 조작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Progressive JPEG
위에서 아래까지 한번에 하나의 선만을 보여주는 보통 JPEG와는 달리 프로그레시브 JPEG는 교차선들 위에서 두 번째 지날 때 선을 채운다. 그래픽 뷰어와 웹 브라우져 사용 여부에 따라 프로그레시브 JPEG는 베네치아 블라인드 효과를 내거나 단조로우며 투박한 이미지를 만들게 된다. 프로그레시브JPEG를 사용하는 페이지를 이용하면 적어도 이미지의 윤곽은 볼 수가 있다. 또한 프로그레시브 JPEG를 사용하는 페이지는 일반 JPEG를 쓰는 페이지보다 로딩 속도가 빠르다. 대부분의 최신 브라우져들은 새로 선보인 프로그레시브 JPEG를 지원하고 있으며 만일 브라우져가 프로그레시브 JPEG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보통 JPEG 형태로 이미지들을 보여줄 것이다.
Protocol
컴퓨터는 예전 방식으로는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를 보낼 수가 없다. 왜냐하면 많은 다른 형태의 컴퓨터와 운영시스템들이 모뎀 혹은 다른 연결 형태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은 모두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불리는 통신 규약을 따라야만 상호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다. 인터넷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잡다한 컴퓨터들의 결합으로 PPP, TCP/IP, SLIP, ftp 같은 여러 다른 프로토콜들이 공존한다.
Proxy servers
프록시 서버란 연결 속도를 올리기 위해서 다른 서버로부터 목록을 캐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웹에서 프록시는 우선 가까운 지역에서 데이터를 찾고 만일 그곳에 데이터가 없으면 데이터가 영구히 보존되어 있는 멀리 떨어져 있는 서버로부터 가져온다.
Public domain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소프트웨어나 정보들 중에서 퍼블릭 도메인은 조건이 가장 적은 소프트웨어이다. 셰어웨어를 가지고 있다면 요금을 지불해야 하며 프리웨어를 가지고 있다면 저작권 문제와 같은 제약이 따른다. 하지만 퍼블릭 도메인 다운로드에는 어떤 제한도 없으며 뒤따르는 저작권 문제 또한 없다.
Push
통신 미디어로 출발한 인터넷과 웹을 통하여 사용자들은 데이터를 요구한다. 하지만 진취적 정신을 가진 이들이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푸시하는 진가를 발견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푸시 모델에 있어 사용자들은 웹이 제공하는 것에서 그들이 필요한 정보를 찾지 않는다. 대신에 서버쪽 데이터 베이스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관심 분야와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 서버는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포인트캐스트(PointCast)나 야후 뉴스 티커(Yahoo News Ticker)같은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데이터를 푸시한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는 어떤 경우에는 표준 브라우져이지만 독점 인터페이스인 경우가 많다.
<Q>
QuickTime
애플 컴퓨터에 의해 개발된 퀵타임은 소리와 그래픽,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이다. 웹 또는 CD 롬에서 확장자가 mov인 파일을 발견하게 된다면 이것이 퀵타임에서 사용되는 파일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퀵타임이 원래 매킨토시용으로 개발되기는 했지만 퀵타임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는 이제 윈도우를 비롯한 다른 플랫폼용으로도 공급되고 있다. 퀵타임 플레이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애플의 웹사이트에서 매킨토시용이나 PC용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R>
RAM (random access memory)
컴퓨터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될 수 있는 한 여유 있는 만큼의 램(RAM)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컴퓨터는 모두 본 뉴만 설계(von Neumann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같은 방법으로 램을 이용한다. 프로그램과 데이터 모두 영구 저장소(보통은 하드 드라이브나 플로피 디스크인)에서 불려와서 램에서 작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램을 가질수록 더 많은 양의 데이터와 대 용량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다. 비록 실제적으로는 많은 데이터가 작동 공간을 확보하게 하기 위해 램의 많은 데이터가 더 느린 실제 메모리를 보충하는데 쓰여진다.
RAMDAC (random access memory digital-to-analog converter)
이 마이크로칩은 VGA 카드와 다른 그래픽 디스플레이 보드 사이에 놓이게 되는데 한 화면의 디지털 정보를 모니터가 구현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번역해주는 역할을 한다. RAMDAC의 속도(MHz 단위)가 더 빠를수록 주어진 해상도에서 카드가 지원하는 화면 재생률이 더 높다.
Red Book
소니와 필립스에 의해 도입된 CD-DA 오디오 CD 포맷의 또 다른 이름으로 레드북 표준은 음향의 미미한 데이터 오류 방지용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에러 수정 작업을 포함하는 디스크의 트랙 수를 지정한다. 이 포맷을 이용하면 총 74분의 디지털 사운드를 초당 150킬로바이트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다.
Refresh rate
컴퓨터 모니터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화면의 인광체에서 완전하게 구현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이미지는CRT(Cathode Ray Tube: 음극선관)의 뒤에 있는 세 개의 전자총에서 쏘는 빛으로 한 줄 씩 그려지는 것이다. (이 세 개의 총은 각각 빨강, 초록, 파랑색을 내는 데 사용된다. 모든 색을 구현하기 위해서 이 색들이 섞여진다.) 이미지는 재생하기 위한 주파수(신호의 반복 주기)가 바로 재생률(refresh rate)이다. 이것은 이미지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느냐를 알아보는 중요한 수단이다. 가령 60 Hz의 재생률을 가지고 있다면 초당 60 번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거의 깜빡거리는 화면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특히 형광등 아래에서라면 더욱 그럴 것인데 이는 형광빛도 같은 재생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눈의 피로를 주게 된다. 70 Hz나 그 이상의 재생률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율은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의 해상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니터와 디스플레이 화면 어댑터 모두 70-Hz나 그 이상의 재생률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Resolution
해상도는 프린터로 출력하고, 스캐너로 스캔하고, 모니터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그래픽의 측정 단위이다. 프린터와 스캐너에서 해상도는 인치 당 도트로 측정되는데 이는 기기가 1인치의 공간 안에서 만들어 낼 수 있는 픽셀의 수를 말하는 것이다. 모니터의 해상도는 전체의 이미지에서 나타난 픽셀의 수로 나타내는데 이는 인치 당 도트의 수가 화면의 차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가로 1,280, 세로 1,024의 해상도는 1,024개의 줄이 화면위에서 아래로 그려지고 이 각선들은 1,280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도트는 빨강, 초록, 파랑, 색들의 강도의 다양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PC의 공통적인 해상도는 가로 640, 세로 480으로 VGA(Video Graphics Array : 비디오 그래픽 배열)해상도라고 불리며 14 인치 모니터에 적합한 형태이다. 가로 800, 세로 600의 해상도는 15인치 모니터에, 가로 1,024, 세로 768은 17인치 모니터에 적합하다. 그 외에 가로 1,280, 세로 1,024 해상도도 있다.
RGB (red-green-blue)
적(R), 녹(G), 청(B)에 의하여 색을 정의하는 색 모델(color model) 또는 색 표시 방식. 빛의 3원색인 적·녹·청을 혼합하여 색을 나타내는 RGB 방식은 컬러 텔레비전이나 많은 컴퓨터의 컬러 모니터(또는 인쇄 매체가 아닌 기타 빛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다. RGB 방식은 적·녹·청의 비율을 혼합하여 원하는 색을 만드는 가색 방식을 사용한다. 즉, 화면상의 한 점의 색은 3색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데 조합해서 만들어지는 색은 다음과 같이 된다. R은 적색, G는 녹색, B는 청색, R+G=황색, R+B=붉은 보라색(마젠타), B+G=청록색(사이안), R+G+B=백색, R. G. B의 어느 것도 가해지지 않으면(즉 어느 것도 비춰지지 않으면) 흑색이 된다. 이와 같이 R. G. B가 비춰지는가 비춰지지 않는가의 조합에 의해서 색을 만들어 내면 8색이 된다.
<S>
Scanner (스캐너)
① 여러 프로세스 파일, 조건 또는 물리적 상태를 자동적으로 얻어내고, 얻어진 정보에 따라 작동할 수있도록 해 주는 장치. 예를 들면, 광전기, 제어 광원, 광감음기 등이 있다. ②컴파일러에서는 일명 어휘 분석기(lexical analyzer)라고도 하며 입력된 스트림을 토큰(token)으로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PC에 질 나쁜 선택사항이 설치되어 있을 때 맥은 확장표준으로서 스카시(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CSI)를 채택했다. 스카시를 이용하면 7개의 새로운 장치들을 PC에 덧붙일 수 있으며 개별적인 인터페이스 문제도 다룰 수가 있다. 스카시는 좋은 표준이며 최근에 나온 스카시-2를 가지고 있다면 더욱 그렇다. 하지만 스카시는 부담이 많이 드는 시스템이며 컴퓨터 시동도 늦어지게 만든다. 또 설치되는 동안 사용자는 신원확인 관리장치와 스카시 회로를 닫는 종연 과정을 다루어야만 한다. 전문가들은 스카시를 "스쿠지(scuzzy)"라고 발음하기도 한다.
Search engine (검색 엔진)
핵심어(keyword)를 이용해서 인터넷상의 정보 자원을 찾아주는 검색 도구 또는 서비스. 월드 와이드 웹(WWW)에서 홈페이지를 볼 때 링크에서 링크로 건너간다든지 또는 URL을 입력하여 다양한 홈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잡지나 TV방송에서 소개된 홈페이지나 링크를 따라서 방문한 바 있는 홈페이지밖에 볼 수 없다. 자기가 원하는 파일이나 자료의 위치를 쉽게 찾아내고 색인·조회하기 위해서는 검색 엔진을 사용하면 된다. 서버의 종류에 따라 제목 또는 본문 내용으로 검색한다.
디렉토리 서버에 비해서 자세하게 검색하고 서버에 정보를 수집, 색인을 만들어서 갖고 있다. 대부분 무료로 받을 수 있는 검색 서비스인 검색 엔진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아키(Archie), 고퍼(Gopher), 와이즈(WAIS), 후이즈(Whois), 야후(Yahoo), 알타 비스타(Alta Vista), 라이코스(Lycos), 웹 크롤러(Web Crowler) 등을 들 수 있다.
Secondary cache
빠르고 값비싼 메모리로 데이터를 캐쉬(cache)하면 시스템의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다. 보조캐시는 대개 CPU에 위치하는 기본 캐쉬보다 크며 주기억장치(RAM)와 기본 캐쉬 사이에 위치한다. 보조기억장치가 주기억장치보다 빠르지만 기본 캐쉬보다는 느리다. 일반적인 크기는 256K이다.
Semiconductor
반도체는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며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않게 한다. 반도체는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처럼 일반적인 전자 부품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Server (서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소프트웨어. 웹에 있는 정보를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
SGM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표준화된 범용 표시 언어. 전자문서의 구조와 내용 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이다. SGML은 ISO 8879에 정의되어 있으며 모든 문서가 SG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에 의해 정의될 수 있게 한다. SGML은 수천 개에 이르는 문서의 종류를 설명하는 데 쓰는 언어이다. HTML은 이러한 문서 종류 중 하나이며 SGML로 정의되고 인터넷 정보의 검색 도구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계속적인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XML은 SGML의 단순화된 형태이다.
Shareware
셰어웨어는 상용되는 소프트웨어의 멋진 대안이다. 인터넷이나 지역 전자게시판 시스템(때로는 시디롬이나 플로피)을 통하여 셰어웨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셰어웨어는 저작권으로 보호되며 자주적으로 사용된다. 사용자는 특정기간동안 무료로 소프트웨어를 시험삼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사용한 뒤에도 계속해서 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그 프로그램에 등록하고 개발자에게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어떤 프로그램은 정해진 기간이 끝나면 부분적으로 작동이 안되거나 아예 작동이 멈춰버린다. 또는 사용자에게 등록을 부추기는 "귀찮은 화면"을 계속 보여주기도 한다.) 등록비용은 보통 50 달러 정도이며 어떤 사심 없는 개발자는 제품이 괜찮다는 엽서만을 원하기도 한다. 등록양식이나 무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작성하면 등록이 가능하다. 별도가격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셰어웨어를 프리웨어(freeware)라고 한다.
SHTTP (secur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기업 통합기술에 의해 개발된 프로토콜으로 인터넷에서 상거래를 할 때 돈을 안전하게 보호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SIT
SIT는 알라딘 시스템이 만든 스터프잇(StuffIt) 압축 및 압축해제 소프트웨어이다. 확장자 명이 .sit인 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압축해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맥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이런 파일을 매킨토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압축한다. 하지만 PC 프로그램을 가지고도 그런 파일들을 풀 수가 있다.
SLIP (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SLIP은 전화선을 이용한 모뎀을 통해 인터넷 연결에 쓰이는 통신규약을 말한다. SLIP은 전화걸때 잡음이 생기고 연결이 잘 안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서 PPP와 같은 상위 단계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는 메일 서버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조절해 주는 프로토콜로 인터넷에서 이 메일을 교환할 때 그 과정을 정렬해 준다.
Sound
컴퓨터를 실행시킬 때 나는 소리 이외에도 컴퓨터는 3가지 경로를 통해 소리를 만든다. 첫 번째는 CD 재생기를 실행시킬 때이다. CD를 틀거나 CD 오디오트랙을 이용한 CD롬 타이틀을 사용할 때 소리를 만든다. 두 번째는 파형(waveform)사운드이다. 파형 사운드란 소리나 음악이 디지털 방식으로 녹음된 것을 말한다. ding.wav같은 윈도 경고음 파일도 파형 사운드의 일종이다. 세 번째는 미디(MIDI)다. 미디는 디지털 시트뮤직의 한 종류로 음표, 박자, 악기에 기반을 둔 신디사이저 칩을 이용하여 연주한다.
Spam (spiced ham)
호멜(Hormel)사의 캔 제품에 역겨운 명성이 붙여져 있는 것처럼 정크 이메일(junk email: 쓰레기처럼 쓸모 없는 전자우편물을 의미함) 역시 스팸이라는 악명을 가지게 되었다. 스팸은 게시판이나 뉴스그룹 또는 사용자 목록 같은 곳에 보내어지는 엄청난 양의 메일더미를 말한다. 하지만 스팸은 결코 환영받지 못한다. 만약 스팸을 하거나 당한다면 맹렬한 논쟁이 뒤따르게 된다.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은 데이터베이스 질의(query)를 구축하고 업데이트를 실행시키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데 쓰이는 일종의 프로그램어이다. SQL이 독립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을 만큼 완벽한 언어는 아니다. 하지만 SQL은 다른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에서도 상호 작용하는 작업을 만들 수 있다. 관련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를 구입할 때에는 SQL 지원이 되는지 확인해 보기 바란다. SQL은 Structured English Query Language라는 IBM 프로젝트의 결과로 우연히 개발되었다. 그래서 오늘날 "squeal"이 아닌 "sequel"로 발음된다.
SRAM (static RAM)
SRAM은 스테로이드에서 DRAM과 비슷하다. 왜냐하면 SRAM은 계속 재충전하지 않아도 되는 축전기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값이 비싸다. SRAM은 일반적으로 2등급 캐시에서 사용된다. 왜냐하면 속도가 DRAM과 CPU장착 캐시 사이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8∼20ns인 반면에 DRAM은 60∼80ns이다.
SSI (server-side include)
SSI는 현재시간을 알려주는 시계 같은 다이내믹 부속들이 웹페이지에 쉽게 연결되도록 만들어 준다.
SSL (Secure Sockets Layer)
SSL은 안전하지 않기로 악명 높은 인터넷에 전자 상거래를 구축할 목적으로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이 개발한 상거래 보안표준이다. SSL은 몇 안 되는 경쟁하는 보안표준들 중에 하나이다.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분석 프로그램)
SGML(표준 범용 교정 용어) 문서를 처리하는 언어 처리 프로그램. 문서형 정의(DTD)를 기초로 실체 참조 및 단축이나 생략된 교정을 해결하고 문서의 실례가 DTD에 준하였는지를 검증하는 기능을 갖는다
Start bit
구 모뎀은 두 개의 톤(tone) 사이를 번갈아 간다. 한 톤은 0을 나타내며 나머지 한 톤은 1을 나타낸다. 이들은 이진법을 사용한다. 모뎀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전화가 끊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모뎀은 소리가 나지 않을 때 다른 모뎀에게 부적합한 상태라는 것을 알려주기 위하여 계속해서 1만을 전송한다. 전송할 데이터가 더 있다면 모뎀은 진짜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하여 0비트를 보낸다. 수신모뎀이 인식한 다음의 8개 비트가 진짜 데이터들이다. 그런 뒤 회선은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데이터 전의 0을 시작 비트(start bit)라고 하며 데이터 맨 마지막에 있는 1을 종료 비트(stop bit)라고 한다.
Stop bit
시작 비트의 반대.
Swap file
교체 파일(swap file)은 하드디스크에서 가상 메모리로 쓰이는 부분을 말한다. 교체 파일이라 불리는 이유는 가상 메모리와 주메모리(RAM) 사이에 있는 데이터를 가상 메모리 관리 소프트웨어가 교체하기 때문이다.
<T>
T3
T3는 디지털 전송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름만 보면 T1의 세배인 듯 싶지만
T3은 무려 T1의 30배나 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T3은 초당 44.736 메가바이트의 속도로 전송한다.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컴퓨터간의 통신을 위해 미 국방성에서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로 TCP와 IP를 조합한 것이다. TCP/IP는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TCP/IP로 통신 프로토콜이 통일됨에 따라 세계 어느 지역의 어떤 기종과도 정보 교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RFC(Request for Comments) 행태로 공개되고 있고 유닉스에서는 표준 프로토콜로 실장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운영 체계에서 구현되고 있으므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OSI 참조 모델을 기준으로 말하면 제 3계층과 제 4계층에 해당한다. 많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인터넷에서 경로 제어를 하며 종단간(end-to-end) 신뢰성이 높은 통신을 실현하고 있다. 흔히 TCP/IP라고 하면 TCP와 IP의 두 가지 통신 규약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되는 모든 프로토콜을 총칭하는 경우가 많다.
Telnet
텔넷은 유닉스 컴퓨터에 접속하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말한다. 텔넷 서버에 계정이 있으면 자료들을 이용할 수 있다. 텔넷은 문자에 기초를 두고 있으므로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유닉스를 사용해야 한다.
Texel (texture element)
텍셀은 픽셀(pixel)과 마찬가지로 그래픽의 기본단위이다. 픽셀이 그래픽의 기본요소라면 텍셀은 텍스쳐 맵(texture map)의 기본요소이다.
Texture mapping
3D 그래픽에서 텍스쳐 매핑은 영상에 그래픽을 붙이는 과정이다. 다각형에 색깔을 넣는 셰이딩(shading)과는 달리 텍스쳐 매핑은 간단한 텍스쳐 그래픽을 가상하늘이나 벽 등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TFT (thin-film transistor)
TFT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랩탑 컴퓨터의 액정화면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트랜지스터를 말한다. TFT 화면은 이중스캔 액정화면(dual-scan LCD screens)보다 밝고 읽기에 쉬운 반면에 전력을 많이 소비하고 가격이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다.
TIFF (tagged information file format)
1980년에 컴퓨터 플랫폼에서 그래픽을 공유하는 것은 큰 골칫거리였다. 때문에 세계 어디에서나 쓰일 수 있는 보편적인 그래픽 번역기가 필요했다. TIFF 그래픽 파일포맷은 이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TIFF를 이용하면 1비트(검정색과 흰색)에서 24비트 포토 그래픽 이미지까지 이르는 색깔들을 매우 손쉽게 다룰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표준들처럼 TIFF도 약간의 모순을 드러내게 되었다. 어떤 그래픽 소프트웨어 회사는 TIFF 포맷에는 50 이상의 변동이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Transistor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명품중 하나인 트랜지스터는 라디오, TV, 휴대폰, 컴퓨터 등과 같은 모든 가전제품에서 쉽게 볼 수 있다. 1940년 벨연구소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된 트랜지스터는 작은 크기와 낮은 비용으로 진공관을 대체할 수 있었기에 각종 전기제품의 전류를 확장시키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오늘날의 트랜지스터는 주로 실리콘 칩에 부착되어 컴퓨터 프로세서를 만드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다.
Transparent GIF
GIF89 그래픽 표준의 한 특징인 투명GIF(transparent GIF)을 이용하면 선택한 이미지의 배경화면을 볼 수가 있다. GIF를 만들 때 디자이너는 이미지 팔레트에서 한 색깔을 투명색으로 지정할 수가 있다. GIF는 투명색을 사용한 부분에 있어 어떤 것이 바닥에 깔려있는지를 보여준다. 페이지 본 바탕색이 보여질 수있도록 투명색은 GIF 바탕색에 투과되어 이미지가 페이지에 떠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요즘 대부분의 웹 브라우져는 투명GIF를 지원하고 있다. 투명GIF는 단순히 보통 GIF처럼 이미지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TrueSpeech
사운드 압축할 때 DSP 그룹의 트루스피치(TrueSpeech) 코덱(cordec)은 작게 축소된다. 이 코덱은 1비트 길이를 가지고 모노(mono)에서 8,000 Hz까지 신호를 줄인다. 이것은 사운드가 초당 1K 비율로 지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WAV, AIFF 파일처럼 가장 작은 PCM 오디오 크기와 파일속도의 8분의 1에 해당되며 가장 작은 ADPCM파일 크기의 4분의 1에 해당함. 물론 이것들이 일반 유료전화를 생각나게 만들겠지만 크기는 확실히 적다.
<U>
Unix
멀틱스(Multics: 1960년대 벨연구소에서 사용된 실험용 시간공유 운영시스템)에서 그 이름을 따온 유닉스는 일반 운영시스템으로 1970년대 초에 선보였다. 많은 인터넷에서 유닉스를 사용했기에 OS도 1990년대 초에 유닉스를 채택했다. 유닉스는 Xenix, Ultrix, GNU와 Linux 같이 비슷한 형태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되고 있다. 이는 광범위한 토론을 만들어 냈다. 하지만 진짜 논쟁거리는 어떻게 그 단어를 표기하느냐이다. 첫 글자만 대문자로 할 것인가(Unix) 아니면 모두 대문자로 할 것인가(UNIX). 운영 체제 그 자체가 매우 민감한 문제이기에 그 논쟁도 격해졌다. 벨연구소만 대문자로 된 유닉스를 상표로 등록했고 나머지는 임의적이다.
UNIX SVR 4.2 (UNIX System V Release 4.2)
UNIX의 System V Release 4.1ES를 기초로 하여 PC(메모리 4MB, 디스크 60MB)에도 탑재할 수 있게 기본 기능이 분리될 수 있는 UNIX 운영 체계. Destiny라는 코드명으로 USL이 개발하여 1992년에 발표하였다. 설치는 그래픽 화면을 보면서 할 수 있게 되었다. 도스 및 윈도의 모방(emulation)을 지원하는 기능도 있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인터넷상의 주소로 다른 형태의 주소처럼 일반적인 사항에서 구체적인 사항으로 표기된다. (우편번호에서 수신인으로 표기) URL의 예는 다음과 같다. http://www.cnet.com/Resources/index.html 맨 처음에는 프로토콜이 나온다. http:// 그 다음에는 서버 주소 또는 도메인이 나오고 www.cnet.com 맨 끝에는 디렉토리가 표기된다. /Resources/ 파일 index.html은 여기에 속하게 된다. 두 개의 열띤 논쟁거리: URL의 U가 uniform인가? 아니면 universal을 나타내는가? 는 첫번째 논쟁거리였다. 유니버설이 원래 선택된 정의였지만 대부분 사람들이 그 뜻이 너무 거창하다고 여겼다. 지금은 없어진 URI 워킹그룹에서는 유니폼을 더 많이 사용했었다. 두 번째는 URL이 "you are ell"로 발음되어 자칫 욕처럼 들릴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발음 모두 다 널리 사용되고 있다.
Usenet
유즈넷은 수천 개의 유닉스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적인 네트워크로 분산 관리되고 있다. 유즈넷 시스템은 상상할 수 있는 어떤 주제(혹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많은 주제)에 관 한 글들을 특정분야 뉴스그룹에게 전송한다
UUencode
마임(MIME)과 마찬가지로 UUencode를 이용해도 인터넷상에서 이진파일(binary files)들을 전송할 수 있다. UUencode(또는 유닉스 대 유닉스 부호)는 이진 데이터를 이메일 메시지에 삽입될 수 있는 ASCII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수신자가 다시 텍스트를 이진포맷으로 바꾸려 한다면 UUdecode를 써야 한다.
<V>
VAT
VAT는 인터넷에 접속해 한사람 이상과 대화할 수있도록 해 주는 유닉스 오디오 원격화상회의
도구이다. 대부분의 경우 유닉스 VAT 프로그램, IP 연결, 사운드 하드웨어 등이 필요하다. VAT 프로그램의 창은 두 개로 나뉘는데 오른쪽 창은 지역 오디오를 제어하고 왼쪽 창은 회의에 참석한 상대방의 상태를 보여준다.
VBScript!!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팅 에디션(Visual Basic Scripting Edition:VBScript!!)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스크립트(말하자면 소형 프로그램)를 만들기 위해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HTML 웹페이지 안에 삽입되어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볼 수 있다. 이 스크립트는 웹페이지를 보다 더 인터액티브 하게 만들 수 있다. VBScript!!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브 X 컨트롤(ActiveX Controls)이나 다른 웹기반의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VBScript!!는 기능 면에서 자바스크립트(xxxxJavaScript)와 비슷하고 널리 사용되는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부분이다.
VGA card (video graphics array card)
그래픽스 액셀러레이터(graphics accelerator) 참조.
Video bandwidth
영상 대역폭은 화면을 재생하기 위한 모니터의 능력을 말한다. 높은 대역폭은 고해상도와 높은 재생
속도로 지원을 바꾸어 주면서 주어진 시간에 보다 많은 정보를 화면에 나타낸다. 낮은 대역폭에서는 화면이 흔들리거나 떨리며 그림자가 발생하기도 한다. 모니터의 대역폭을 계산하기 위해서는(메가헤르츠, MHz로 측정됨) 가로에 세로를 곱한 수치에 속도를 곱하면 된다. 예를 들면 800 x 600 x 75 = 36 MHz.
Virtual memory
실제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을 다 써버렸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가상 메모리로 넘겨라. 가상 메모리로 넘기기 위해서는 데이터들과 코드를 램이 아닌 공간에 저장시킬 수 있는 가상 메모리 관리자(대개 운영 시스템의 기능)가 필요하다. 가상 메모리는 교체 파일(swap file)이라고 불리어지는 하드디스크의 일부분이다. 교체 파일은 잘 사용하지 않는 램의 데이터 비트들을 저장공간으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램을 자유롭게 올리면서 필요한 작업 메모리 양을 가상으로 늘릴 수 있다.
Visual Basic
마이크로소프트의 고 단계 프로그램 언어인 비주얼 베이직은 그래픽으로 되어있으며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비주얼 베이직은 단순한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부터 상업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까지 모든 것을 개발하는데 사용된다.
VOC
VOC는 도스 환경에서 쓰이는 초기의 사운드블라스터 카드를 이용할 목적으로 크리에이티브(Creative) 연구소가 개발한 오디오 포맷이다. 하지만 윈도의 좋은 성능으로 인하여 VOC 파일 포맷은 윈도의 웨이브(WAV)파일 포맷에게 그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다.
Von Neumann architecture
대부분의 컴퓨터가 헝가리 수학자 존 폰 노이만 (John von Newmann)에 의해 고안된 저장 프로그램 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폰 노이만 이론에 따르면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하드디스크와 같이 접속이 느린 매체에 저장하고 접속이 빠른 휘발성 저장 매체인 램에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실행시킨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이론은 병목 현상을 낳게 되었다. 왜냐하면 빠른 병렬처리를 이용하는 것 대신에 하나하나 차례대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VRML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웹은 책장을 훑어 넘기면서 책을 읽는 것과는 다르다. 웹에서는 이곳 저곳을 다닐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이트의 한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넘어간다. 즉 인터렉티브한 3차원 가상공간을 웹을 통해 구현하기 위한 언어이다. HTML은 페이지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웹의 표준규격을 말한다. VRML은 1994년 1회 World Wide Web 회의에서 웹에 가상현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소그룹을 통해 그 개념이 시작되었다. 애초에는 Virtual Reality Markup Language의 약자이었지만 3차원 모델링을 강조하기 위해 현재와 같이 Modeling이라는 말로 변경하였다. 가상 현실 모델 언어(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RML)는 실리콘 그래픽스(Silicon Graphics)와 인터비스타 소프트웨어(Intervista Software) 그리고 그 밖의 다른 기관과 개인에 의하여 만들어진 3차원 그래픽 프로그램용 표준규격이다. 가상 현실 모델 언어를 이용하면 3D 사이트(반드시 대화방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곳에 쓰일 수 있다.)도 만들 수가 있다. 많은사이트와 FAQ에서는 이런 기술에 대하여 의논하며 소개도 이용할 수 있다.
VSL (Virtual Software Library)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할 파일을 찾는 것은 쉽지 않으며 ftp 사이트 디렉토리를 스캐닝 하는 것도 비효과적이다. 아키(Archie) 같은 오래된 검색 기술은 점점 사용되지 않고 있는 추세다. VSL을 입력해 보라. VSL은 슬로베니아 리주블자나(Lijubljana) 대학의 프로젝트인지가 턱크의 SHASE(Ziga Turk's SHASE: 셰어웨어 검색엔진)에서 나온 개방표준(open standard)이다. VSL 기술은 두 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요소는 후위(back-end)로서 인터넷에 있는 셰어웨어, 프리웨어, 공용 소프트웨어로부터 다운로드 할 파일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두 번째는 쉬운 검색과 다운로드(SHAREWARE.COM과 vsl.cnet.com 등)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전위(front-end)이다. VSL 전위(front-end)를 실행하는 프론트 데스크(front desks)는 미러 사이트(Mirror sites)라고 불리어지며 전 세계에 널리 퍼져있다.
V. standards
국제 전신전화 자문 위원회(CCITT)는 모뎀 제조업체를 위한 V 표준을 만들었으며 이에 따라 호환속도, 압축, 오류수정 등이 보장받게 되었다. V 표준에는 28.8-kbps 통신용 표준인 V.34가 포함되어 있다. 하나의 표준을 약간 수정한 것을 불어로 2회란 의미를 가진 비스(bis)라고 지명하기로 했다.
<W>
WAIS (Wide Area Information Servers)
WAIS는 서버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때 쓰이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WAIS는 서버에서 얻을 수 있는 페이지와 파일들을 잘 정렬하여 리스트로 보내준다. WAIS는 검색뿐 아니라 사용자가 자연언어 입력을 사용할 수 있게끔 한다. 다시 말해서 부울(Boolean) 연산자인AND/OR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왜 하늘이 파랗죠?"라고 물을 수 있다.
WAN (wide area network)
두 지방이나 지역을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하면 그 자체가 광역통신망(WAN)이 된다. 빌딩, 도시, 세계에 구석구석 연결되어 있는 작은 네트워크들로 광역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WAV
음성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윈도우의 음성정보 파일형식으로 웨이브라고 발음한다. 웨이브 파일은 .wav. 확장자를 가지고 있다.
Waveform
파형은 테이프 녹음처럼 작동되는 사운드의 한 종류이다. 컴퓨터에 있는 마이크에 말을 하면 목소리가 파형 음성파일로 바뀐다. (전형적으로 WAV, AIFF, AU형식으로 저장됨) 파형 사운드는 컴퓨터 시스템 보드나 덧붙여져 있는 오디오카드의 사운드 칩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재생한다. 윈도 소리용 웨이브 파일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오디오클립과 같은 시스템사운드는 모두 파형 사운드이다.
Webmaster
웹마스터란 회사 웹사이트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관리담당자를 지칭하는 색다른 이름을 말한다. 무딘 회사의 경우 인터넷 시스템 관리자라는 평범한 이름을 쓰고 있을지도 모른다.
Whiteboard
전자 화이트 보드는 동일한 문서를 놓고 컴퓨터로 화상회의를 할 때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말하거나 쓰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전자 화이트 보드는 문서를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다룰 때 사용된다.
White Book
화이트 북(White Book)은 오디오 CD(레드 북)표준에 이르는 네번째 중요한 확장이다. CD-롬, CD-I, CD-R과는 달리 화이트 북은 매체용 포맷으로서 오디오 데이터만을 다루는 오리지널 CD 포맷과 비슷하다. 화이트 북 표준을 이용하면 비디오와 오디오 74분 분량을 컴팩트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화이트 북이라는 용어는 소니/필립스사의 상표 비디오 CD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화이트 북 비디오와 오디오 모두 MPEG 포맷이다.
WinISDN (Windows ISDN)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NetManage, ISDN*tek, 퍼포먼스 시스템사(PSI: Performance Systems Incorporated)에 의하여 만들어진 개방표준이다.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PPP나 MPPP를 가지고 인터넷 연결을 시작할 때 어댑터 카드가 다이얼러(dialer)를 이용할 수 있다. NetManage Chameleon과 Ftp Software OnNet과 같은 주요 인터넷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ISDN에서 통신할 때 WinISDN을 이용한다. WinISDN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윈도 3.1과 윈도 95, 윈/OS2 운영시스템에서 실행된다.
WinSock (Windows socket services)
윈속(WinSock)은 윈도 응용프로그램(ftp, 웹브라우져, 텔넷 등)과 인터넷 프로토콜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윈속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 사용되거나 다른 프로토콜이 이미 지원되어 있을지라도 TCP/IP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윈속은 네트워킹 응용프로그램을 디자인하는 윈도 프로그래머들의 일을 더욱 쉽게 만들어 주었다. 윈속은 대체로 winsock.dll.이라는 파일로 저장된다. 트럼펫은 잘 알려진 윈속 16비트 셰어웨어 버전이며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윈도 95에 32비트 버전을 포함시켰다.
World Wide Web
WWW나 W3이라고도 부르는 웹은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CERN 연구소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이후 웹 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웹을 계속해서 계발하고 관리해왔다. 웹이란 인터넷 정보를 얻기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이라고 설명할 수 있겠다. 웹에서는 모든 것들이 하이퍼텍스트(HTML형식)로 나타나며 URL에 의하여 다른 문서에 연결된다. 웹은 파일전송 프로그램(FTP), 고퍼(Gopher), 텔넷(Telnet)뿐 아니라 http 프로토콜까지 포함하고 있다. 웹을 알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웹을 직접 사용해 보는 것이다.
<X>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W3C에 의해 월드와이드웹용으로 만들어진 SGML 의 단순화된 형태. 즉 웹상에서 SGML 문서를 정의, 저작, 관리, 전송하기 쉽게 만드는 언어.
Xmodem
엑스모뎀은 다이얼 업(dial-up) 통신에 사용되는 파일전송 프로토콜이다. 1977년 워드 크리틴슨(Ward Christensen)에 의하여 개발된 엑스모뎀은 정보가 전송되는 동안 손실되거나 방해받는지 오류검사 할 수 있다. 엑스모뎀은 데이터를 128 바이트 크기로 이루어진 블록으로 전송한다. 엑스모뎀은 몇 단계의 변화를 겪어왔다. 엑스모뎀 CRC는 더욱 확실한 오류수정기를 사용하며 엑스모뎀-1K는 1024 바이트 크기로 이루어진 블록으로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전송한다.
<Y>
Yellow Book
산업표준은 CD-롬 포맷을 정의한다. 옐로우 북(Yellow Book)은 오디오 CD(레드 북) 표준의 첫 번째 확장판으로 디지털 사운드 대신 650MB에 이르는 컴퓨터 데이터가 CD안에 포함되도록 만든다. 옐로우 북은 그 이상의 정의를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CD-롬 표준을 정의하는 필립사와 소니사 모두 PC시장의
주요업체는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에 그 표준은 네 개의 부분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하이 시에라(High Sierra)는 어떠한 컴퓨터 플랫폼에서도 옐로우 북 표준이 읽혀질 수있도록 하기 위한 첫 시도를 꾀했다. 하지만 데이터가 아스키(ASCII)와 같은 일반적인 포맷 형태라면 하이 시에라는 작동한다. ISO 9660은 어떠한 플랫폼에서도 데이터 포맷(물론 올바른 장치 드라이버를 가지고)과는 상관없이 하이 시에라가 읽혀질 수있도록 정의한 국제 표준이다. 맥 HFS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오직 매킨토시 컴퓨터에 의해서만 읽혀지는 포맷이다. 하이브리드(Hybrid) CD-롬은 기술적인 용어라기보다는 마케팅 용어이다. 하이브리드 CD-롬은 포맷, 파일구성, 맥이나 PC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CD-롬을 정의한다.
Ymodem
와이모뎀(Ymodem)은 직접 다이얼-업(dial-up)통신에 사용되는 파일전송 프로토콜이다. 먼저 있던 엑스모뎀(Xmodem)에 기초를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와이모뎀이라고 불리어진다. 와이모뎀은 1,024 바이트 크기의 블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엑스모뎀보다 더 빠르다. 하지만 제트모뎀(Zmodem)과는 달리 전화선으로는 잘 전송하지 못한다. 와이모뎀은 더욱 발전을 거듭했다. 와이모뎀 배치(Ymodem-Batch)는 여러 개의 파일들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와이모뎀-G(Ymodem-G)는 오류수정 소프트웨어를 버리고 대신 하드웨어 기반의 오류수정을 모뎀 안에 남겨둠으로서 그 처리속도를 높였다.
<Z>
Z-MODEM
다이얼-업(dial-up)통신을 사용하는 파일을 보내고 받을 때 제트모뎀(Zmodem)은 첫 번째로 선택되어질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제트모뎀은 속도가 빠르며 오류까지 검사한다. 또한 제트모뎀은 통신이 잠시 끊겼을지라도 그 이후에 파일 전송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엑스모뎀과 와이모뎀을 대체할 의도로 제트모뎀이라고 이름이 만들어졌으며 X-모뎀 파일 전송 프로토콜의 개량판의 하나로,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이 부가되거나 개선되어 X-모뎀의 개량판 중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장점 때문에 오늘날 PC 통신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 ① 파일명, 파일 용량, 타임 스탬프(time stamp) 등 파일 정보의 전송 기능. ② 윈도 기능 및 와일드 카드(wild card)로 복수의 파일을 지정할 수 있는 배치(batch) 전송 기능. ③ 4바이트 크기의 CRC(순환 중복 검사)를 사용하는 전송 오류 검출 기능. ④ 검사점 재시작 기능(checkpoint restart).
ZIP
ZIP는 PC로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때 압축을 하거나 압축을 풀어주는 개방표준이다. 필 캐츠(Phil Katz)는 그의 도스기반 프로그램인 PKZIP을 위해서 ZIP를 개발했다. 현재 ZIP는 WinZip, Drag and Zip과 같은 윈도 프로그램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ZIP 파일의 확장파일은 .zip이다.
─━☆내일의 향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