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연결 방법은 2가지가 있다.
무선과 유선이다.
우선 유선 연결에 대해서 알아 보자.

MHL은 Mobile High-definition Link의 약자로 모바일 기기의 사운드와 영상을 한번에 전송하는 표준규격 중
하나입니다. 많이들 알고 계시는 HDMI 또한 비디오와 오디오 인터페이스 규격 중 하나이지만 HDMI는 스마트폰에 또 다른
전용단자를 필요로 합니다. 실제로 출시되었던 스마트폰 중에서 미니5핀 충전단자와 마이크로 HDMI 단자를 모두 지원하는 기종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벌써 단자가 2개죠!! 점점 슬림해지고 있는 스마트폰에 단자를 하나를 더 넣는 것은 결코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최근에는 바로 이 점때문에 많은 제조사들이 MHL방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삼성도 출시하는
스마트폰에 MHL 규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MHL방식은 스마트폰의 미니5핀 단자를 동일하게 사용하는 방식이고 유선으로 연결하기
?문에 안정적인 속도로 스마트폰의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다만 MHL방식은 1. MHL어댑터와
스마트폰을 HDMI 케이블로 연결하고 --> 2. 어댑터에 전원을 따로 연결해 주어야 합니다. 그 외에는 따로 세팅을 해주지
않아도 이렇게 2개의 케이블만 연결해주면 바로 스마트폰의 화면을 그대로 모니터나 TV같은 대화면 디스플레이로 볼 수 있습니다.
MHL
의 이러한 연결방식은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게임으로 하거나 동영상을 보게 되면 아무래도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MHL은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치렁치렁한 케이블은 단점으로 지적되었습니다.

갤럭시 S4는 전용 케이블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


무선연결에 대해서 알아 보자
넷기어에서 ‘인텔? 무선 디스플레이 기술(WiDi)’을 지원하는 PC 및 Miracast를 지원하는 모든 스마트폰의 화면을 HDTV로 무선 전송하는 HDTV용 무선 아답터를 출시한다.
넷기어 “Push2TV” PTV3000은 무선 WiFi 기술을 통해 노트북, 울트라북,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및 최신 스마트폰 화면을 풀HDTV 화면으로 직접 무선 전송하는 아답터이다.
기존 1세대 및 2세대 모델이 ‘인텔? 무선 디스플레이 기술(WiDi)’을 지원하는 PC 화면만을 전송했다면 이번에 소개된 3세대 모델은 WiDi를 지원하는 PC는 물론 현재 국내에 출시되고 있는 Miracast™를 지원하는 모든 스마트폰의 화면을 최대 1080p 풀HDTV로 무선 전송을 도와준다.

휴대전화 화면을 TV로 보기 (스크린 미러링)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휴대폰이 스크린 미러링을 지원한다면 HDTV용 무선 아답터를 검토해 보자.
그런데 최신 스마트 TV는 자체적으로 WiDi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무선 아답트를 구매하기 전에 TV가 WiDi를 지원하는지; 먼저 알아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