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주사 (전남 화순군)
 | 운주사 |
|
위 치 :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용강리
|
홈페이지 : 운 주 사 www.unjusa.org
화순 관광 www.hwasun.jeonnam.kr
연 락 처 : 운주사 (전화 061-374-0660 / 팩스 061-374-5355)
화순군청 문화관광과 (061-370-1224)
개 요 : 천불산 다탑봉 운주사는 천불천탑으로 세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 불교의 깊은 혼이
서린 운주사는 우리나라의 여느 사찰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불사를 한 불
가사의한 신비를 간직하고 있다.
|
<대웅전> <종각>
운주사 불상들은 천불산 각 골짜기 바위너설 야지에 비로자나부처님(부처님의 빛, 광명)
을 주불로 하여 여러기가 집단적으로 배치되어있다. 크기도 각각 다르고 얼굴 모양도 각
양각색이다. 홀쭉한 얼굴형에 선만으로 단순하게 처리된 눈과 입, 기다란 코, 단순한 법
의 자락이 인상적이다. 민간에서는 할아버지부처, 할머니부처, 남편부처, 아내부처, 아
들부처, 딸부처, 아기부처라고 불러오기도 했는데 마치 우리 이웃들의 얼굴을 표현한 듯
소박하고 친근하다. 이러한 불상배치와 불상제작 기법은 다른 곳에서는 그 유형을 찾아
볼 수 없는 운주사 불상만이 갖는 특별한 가치로 평가받는다. |
<9층석탑(보물 제 796호)> <원형다층석탑(보물 제 798호)>
또한 운주사 석탑들은 모두 다른 모양으로 각각 다양한 개성을 나타내고 있다. 연꽃무늬
가 밑에 새겨진 넙쩍하고 둥근 옥개석(지붕돌)의 석탑과 동그란 발우형 석탑, 부여정림
사지 5층 석탑을 닮은 백제계 석탑, 감포 감은사지 석탑을 닮은 신라계 석탑, 분황사지
전탑(벽돌탑) 양식을 닮은 모전계열 신라식 석탑이 탑신석의 특이한 마름모꼴 교차문양
과 함께 두루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운주사 탑들의 재료로 쓰인 돌은 석질이 잘 바스라
져서 오히려 화강암질의 강한 대리석보다 더 고도의 기술을 습득한 불모(석공)님이 아니
면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 석질로 빚어만든 탑이 이렇게 수많은
세월의 풍상을 버티어 전해져 오는 것을 보면 이곳의 조형자들의 기술이 가히 최고 수준
이었다는데는 반론의 여지가 없을 듯 싶다. |
<와불> <석조불감(보물 제 797호)>
관람요금 : 개 인 - 어른 2,000원 / 중고생 1,500원 / 어린이 800원
단 체 - 어른 2,000원 / 중고생 1,000원 / 어린이 600원 (30인 이상)
도로안내 : 1) 광주에서 너릿재터널을 지나 화순읍까지(국도22·29호선) 온 후 화순중앙병원 사거리
에서 우회전하여 국도 제29호선을 따라 능주까지 간 다음 우회전하여 지방도 822호선
을 따라 도곡효산리를 거쳐 평리 사거리에서 좌회전 한 후 지방도 817호선을 따라 클
럽 900입구, 도장마을, 도암면소재지에 이르고 도암 삼거리에서 곧장 가면 월전마을,
용강저수지를 지나 우회전하면 운주사 주차장이 있다.
주차장에서 걸어서 5분이면 천불천탑이 있다.
2) 광주대학교에서 칠구재터널을 지나 전남학숙과 도곡온천을 경유하여 평리사거리로 가
는 도로가 신설되었다. |
교통안내 : (고속버스)
1) 서울↔광주 5∼10분 간격 4시간 소요
2) 부산↔광주 20분 간격 4시간 소요
3) 대구↔광주 50분 간격 3시간 40분 소요
4) 대전↔광주 30분 간격 3시간 50분 소요
5) 전주↔광주 20분 간격 1시간 30분 소요
* 광주고속버스터미널 062-360-8114
(기 차)
1) 서울↔광주 14회 4시간 20분 소요
2) 부산↔광주 2회 7시간 소요
3) 광주↔화순 1회 30분 소요
(자가운전)
광주(12km) → 화순(10km) → 능주(5.1km)→
평리사거리(2.4km) → 클럽900(2.8km) → 도 <시위불>
장리8km)→도암삼거리(3km)→운주사 (50분소요)
현지교통 : 광주 광천터미널 앞에서 318번, 218번 운주사행 버스 이용 (30분 간격 운행)
광주광천동터미널앞 - 광주상공회의소 - 백운동로타리 - 남광주로타리 - 학동정류소
- 화순읍군내버스터미널 - 능주 - 도곡 - 도암 - 운주사입구 - 중장터 |
현지숙박 : (민박) 대나무가든 061-373-2328 (백숙, 가물치회로 유명)
중장터에는 음식점과 민박이 몇 군데 있음.
* 문 의 : 운주사 관리사무소 (061-374-0660)
화순군청 문화관광과 (061-370-1224)
주변명소 : 도갑사, 만연사, 유마사, 쌍봉사 등
정보제공자 : 1) 화순군청 문화관광과 ☎ 061-370-1224
2) 운주사 관리사무소 ☎ 061-374-0660 |
(추가정보)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道岩面) 대초리(大草里) 천불산(千佛山)에 있는 절.
운주사(運舟寺)라고도 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창건에 관한 이야기는 도선(道詵)이 세웠다는 설과 운주(雲住)가 세웠다는 설, 마고할미가 세웠다는 설 등이 전해지나, 도선이 창건하였다는 이야기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법당과 석불, 석탑이 많이 훼손되어 폐사로 남아 있다가 1918년에 박윤동(朴潤東)·김여수(金汝水)를 비롯한 16명의 시주로 중건하였다. 건물은 대웅전과 요사채, 종각 등이 있다.
1942년까지는 석불 213좌와 석탑 30기가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석탑 12기와 석불 70기만 남아 있다. 크기는 10m 이상의 거구에서부터 수십cm의 소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매우 투박하고 사실적이며 친숙한 모습이 특징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절 좌우의 산등성이에 1,000개의 석불과 석탑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1980년 6월에는 절 주변이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소장되어 있는 문화재로는 연화탑과 굴미륵석불, 보물 제796호인 9층석탑, 보물 제 797호인 석조불감, 보물 제798호인 원형다층석탑, 부부 와불(臥佛) 등이 있다. 운주사의 천불천탑은 우리 국토의 지형을 배로 파악한 도선이 배의 중간 허리에 해당하는 호남이 영남보다 산이 적어 배가 기울 것을 염려하고 이곳에 1,000개의 불상과 불탑을 하룻밤 사이에 조성하였다고 한다. 잘 알려진 부부와불은 천불천탑 중 마지막 불상으로 길이 12m, 너비 10m의 바위에 나란히 누워 있는 모습의 조각이다. 이 불상을 일으켜 세우면 세상이 바뀌고 1,000년 동안 태평성대가 계속된다고 한다.

운주사 사층 석탑과 명당탑

운주사 칠층 석탑

운주사 구층 석탑

운주사 불상군

운주사 불상군 협시불

운주사 석불군

운주사 석불군

운주사 석조불감

운주사 와불 2구

운주사 원형다층석탑

운주사 일주문

운주사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