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링용어 |
용 어 |
영 문 |
해 설 |
에임스파트 |
Aim spot |
겨냥점, 목표점, 볼링을 처음에 배우는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역할을 해준다. |
올더웨이 |
All the way |
일정 시점에서 마지막 프레임까지 연속적으로 스트라이크를 기록하여 게임을 종료하는 경우 |
앵커맨 |
Anchor man |
단체전의 최종 투구 선수 |
앵글 |
Angle |
볼이 핀을 향해 굴러갈 때 이루는 각도. |
어프로치 |
Approach |
선수의 투구 동작을 하는 위치로 스탶을 진행하는 위치를 말한다.길이는 15ft이며 중간에 스텐스 가이드 스폿이 앞과 뒤에 5개의 보드마다 위치하고 있어 볼러는 이것을 이용하여 본인의 스텐스 위치를 이동하며 볼링을 할 수 있다. |
에로우 |
Arrows |
레인 위에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 모양의 목표점(에임 스포트에 위치한 화살표를 이야기 한다. |
베이비 스플릿 |
baby splits |
비교적 처리하기 쉬운, 2-7, 3-10번 스플릿 |
백업 볼 |
Backup ball |
오른손(왼손) 투구자의 투구볼이 우측(좌측)으로 휘어도는 구질, 바람직한 투구법은 아니다. 이러한 백업 스타일은 마지막 릴리스 순간에 손의 위치가 잘못되어 생기는 구질이다. |
볼 액션 |
Ball action |
릴리스한 볼이 어떤 성질을 가지고 굴러가는지를 이야기한다. 볼 액션은 릴리스한 볼이 레인위에 어떠한 방향으로 처음 놓이는가에 따라서 많이 달라진다. |
볼 리턴 |
Ball return |
볼이 볼 테이블로 되돌려지는 통로 |
볼 랙 |
Ball rack |
볼을 올려 놓는 선반, 공식대회에서는 2개이상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없다. |
볼 트랙 |
Ball track |
볼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볼에 생기는 궤적, 보통 중약지와 엄지와의 간격은 3:1이 좋다. |
바나나볼 |
Banana ball |
심하게 휘는 커브볼로 흔히 커브볼 이라고 칭한다. |
바 메이드 |
Bar maid |
앞 핀에 가려 보이지 않는 핀 |
보크 |
Baulk |
투구 전에 파울선을 넘는 상태(Balk) |
베드 포스트 |
Bed posts |
7-10번 스플릿(goal post,fence post, snake eye), 성공률은 백만분에 1정도의 희박한 스플릿. |
베거 |
Beggar |
스트라이크를 계속 치는 선수를 지칭 |
빅 이어즈 |
Big ears |
4-6-7-10번 핀이 남은 스플릿(double pinnacle, post golden gate) |
빅필 |
Big fill |
제1구 투구 후 8개 이상 남은 핀을 잘 처리한 스페어 |
빅 파이브 |
Big five |
한쪽에 두 개의 핀 반대쪽에 세개의 핀을 남긴 스플릿 |
브라인더 스코어 |
Blind score |
출전하지 않은 선수에게 주어지는 가상 점수. 그 선수의 평균 점수보다 10점 정도 하향 부여 |
블럭 |
Block |
경기 운영을 위하여 게임을 구분한 단위, 단체전에 경우는 3게임을 전반, 후반 블록으로 나눈다. |
블로킹 |
Blocking |
레인 정비를 통하여 스트라이크 존으로 길을 내는 것 |
블로 |
Blow |
남은 핀을 스페어하지 못한 것 |
보드 |
Boards |
레인을 형성한 나무판(레인의 규겅은 총 39보드로 되어 있음) |
보너스프레임 |
Bonus frame |
제10번 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 시 2회, 스페어시 1회 더 투구할 수 있다 하여 붙여진 것 |
브릿지 |
Bridge |
볼의 중지와 약지 구멍 사이의 간격(1/4인치를 벗어 나지 않도록 한다) |
브루클린 |
Brooklyn |
오른손(왼손) 볼러가 1번 핀 좌측(우측)에 맞추는 것(cross over)라 한다.이렇게 해서 스트라이크 가 나오는 경우를 브루클린,또는 저지 스트라이크라고 한다. |
버킷 |
Bucket |
오른손 볼러는 2-4-5-8번 핀, 왼손 볼러는 3-5-6-9번 핀이 남는 경우 |
베리더볼 |
Bury the ball |
헤드 핀에 빗맞고 안쪽으로 휘어져 버린 볼 |
케이던스 |
Cadence |
스텝과 스텝 사이의 소요시간 |
센터존 |
Center zone |
핀이 세워져 있는 레인의 중앙부 |
체러티 |
Charlty |
2-7-10 또는 3-7-10 스플릿(christmas tree, lily, sour apple) |
치즈 케이크 |
Cheese cake |
점수가 잘 나오는 레인 |
체리 |
Cherry |
스페어 처리시 겹쳐 있는 2개의 핀 중 앞 핀만 쓰러뜨린 겨우를 말한다, 간혹 더블 우드와 |
초크 |
Choke |
긴장과 두려움으로 평소 실력 발휘를 못 하거나 목표 달성을 못한 것 |
크리스마스 트리 |
Christmas tree |
3-7-10번 핀이나, 2-7-10번 핀이 남은 스플릿 |
신시내티 |
Cincinnati |
8-10번 핀이 남은 스플릿 |
크린 게임 |
Clean game |
오픈 프레임이 없는 게임. 노미스 게임 |
크로스 라인 |
Clothes line |
1-2-4-7번이나 1-3-6-10번 핀이 남는 것 |
코팅 |
Coating |
레인 위에 투명색 도장(락카, 우레탄등) |
컨벤셔널 볼 |
Conventional grip |
일반 볼러 취향의 볼을 잡는 요령으로 중,약지의 둘째마디까지 삽입하는 경우를 말한다. |
코어 |
Core |
볼의 내부 중심부를 말하며 볼리 볼을 제조하는 것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가 |
코너 앵글 |
Corner angle |
레인의 가장자리를 사용해서 투구하는 앵글 사이드 앵글과 동일 |
카운트 |
Count |
스트라이크나 스페어 후의 득점에 보태어지는 점수, 스페어는 다음의 첫 번째 투구의 점수를 합산하지만 스트라이크의 경우는 다음 프레임의 두 번의 투구를 다한 점수를 합산한다. |
커버 |
Cover |
스페어 처리를 하는 것 |
카운트 다운 |
Count down |
제1구로 핀을 6개 이내로 쓰러뜨리는 것 |
크래키드 섬 |
Cracked thumb |
두꺼운 굳은살이 생긴 엄지 손가락을 말함 |
크랭커 |
Cranker |
백 스윙시 볼이 머리 높이 이상으로 올려드는 볼러 |
크리퍼 |
Creeper |
천천히 구르는 볼 |
크루키드 암 |
Crooked arm |
자신의 팔굽을 굽혀 훅 볼을 던지는 볼러 |
크로스 |
Cross |
오른손잡이 볼러가 왼쪽으로 볼을 굴리고 왼손잡이 볼러가 오른쪽으로 볼을 굴리는 것 |
크로스 앨리 |
Cross alley |
대각선으로 볼을 굴리는 것 |
크로스 오브 |
Cross over |
1-2번 포켓에 볼이 진입하는 것 |
크라우칭 스타일 |
Crouching style |
스탠스 자세에서 첫발을 내딛기 전 상체를 앞으로 구부리는 형태를 말함 |
크로 호퍼 |
Crow hopper |
릴리스 순간 손가락이 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그립이 느슨해진 상태 |
커브볼 |
Curve ball |
휘어서 굴러가는 볼 |
데드 볼 |
Dead ball |
핀 데크에 핀이 넘어졌으나 점수로 가산되지 않는 상태 |
데드 우드 |
Dead wood |
레인 위에 핀이 넘어져 있거나 또는 이 물체가 놓여져 있는 경우인데 이런 경우는 핀을 제거한 후 투구해야 한다. |
디플렉션 |
Deflection |
볼이 핀에 부딪힌 후 빗나감 |
데리게이트 오브더 데이 |
Delegate of the day |
공식 경기의 당일 심판위원 |
딜리 버리트 파울 |
Deliberate foul |
고의적인 반칙 |
딜리버리 |
Delivery |
볼을 투구하기 위해 스텐스에서 릴리스까지 투구하는 전 과정을 이야기한다. |
다임 스토어 |
Dime store |
5-10번 핀이 남는 스플릿, 이러한 스플릿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스탠스는 고정하고 사용하는스폿을 움직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앞에 있는 5번핀의 죄측을 1/3을 맞추면 성공할수 있다. |
디이어미터게이지 |
Diameter gauge |
볼 지름 측정기로 공식 대회에서 볼 검사를 할 때 주로 사용하는 기구로 |
디비젼 보드 |
Division board |
레인의 재료인 단풍나무와 소나무의 연결 부위 |
도도 |
Dodo |
부당하게 무겁게 한 볼 또는 1-10번 핀 스플릿 |
도도볼 |
Dodo Ball |
공식대회에서 볼검사에 실격되는 볼로 볼검사의 기준에 적합하지 못한볼을 말한다. |
닷 |
Dot |
파울 라인 전후에 표시된 원형의 5-7개의 점을 말한다. |
더블 |
Double |
2회 연속 스트라이크, 3개째는 터키, 4개째부터는 포베거, 파이브 베거등으로 부른다. |
더블 볼링 |
Double bowling |
제1구 후 볼이 되돌아오기 전 남의 볼로 제2구를 투구하는 행위로 매너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
더블즈 |
Doubles |
2인조 경기 |
더블즈 맨 |
Doubles, men |
남자 2인조 경기 |
더블피너클 |
Doubles pinnacle |
4-6-7-10번 핀이 남는 스플릿 |
더블즈 우먼 |
Doubles, women |
여자 2인조 경기 |
더블우드 |
Double wood |
하나의 핀이 하나의 핀 뒤에 있는을 말한다.1-5번, 2-8번, 3-7번 핀을 가리킨다. |
다운 스윙 |
Down swing |
푸시 어웨이(Push away)동작 다음에 볼을 아래로 보내는 동작으로 볼의 무게 자체만으로 |
드레싱 |
Dressing |
레인 위에 오일을 일정하게 바르는 것으로 레인의 컨디션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
드레싱 머신 |
Dressing machine |
레인 오일 정비기 |
드리프트 |
Drift |
스텝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빗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빗나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의식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 |
드릴 |
Drill |
볼에 손가락 구멍을 뚫음 |
드릴러 |
Driller |
볼 지공사 |
드롭핑볼 |
Dropping ball |
볼을 투구하면서 파울라인 안쪽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이야기한다.주로 여성 볼러들이 범하기 쉬운 투구로 볼을 던지고자 하는 위치에서 어깨 밑으로 쳐지면서 생기는 원인이다. |
듀로미터 |
Durometer |
볼 표면 강도 측정기 |
더취맨 |
Dutch man |
스트라이크와 스페어를 차례로 해서 200점이 된 선수 |
엘리거빌리티 |
Eligibility |
참가 자격 |
엘리미네이션 이벤트 |
Elimination event |
예선전을 가리키는 말이다. |
앤드 쿠션 |
End cushion |
핀 데크 뒤에 설치된 충격 흡수용 가로 고무 막대로 볼이 이 곳에 맞으며 뒤로 가지 못하도록한다. |
에러 |
Error |
스페어 처리를 못한 상태로 미스 프레임이라고도 한다. |
엑스트라플레이어 |
Extra player |
3인조, 5인조 경기에서 조 편성을 하고 남는 선수가 모여 다른 조로 편성되어 경기하는 방법으로 개인 종합이나 마스터즈에 참가하기 위한 방법이다. 흔히 Make-up 방식이라고 한다. |
페스트 레인 |
Fast lane |
레인의 오일이 많은 상태의 볼이 빠르게 구르는 레인을 말한다. |
펜스 포스트 |
Fence post |
7-10번 핀 스플릿 |
핑거팁 그립 |
Fingertip grip |
풀 핑거 그립이라고도 한다. 엄지와 중,약지 사이의 거리가 긴 즉 손가락 첫번째 마디까지를 홀에 넣어 볼을 잡는 방법이며 프로선수를 비롯한 대부분의 볼러들이 즐겨 사용한다, |
퍼스트 볼 |
First ball |
제1회 투구하는 것을 말한다. |
파이브 플레이어 |
Five player teams |
5인조 단체전 경기를 말한다. |
파이브플레이어팀맨 |
Five player teams, men |
남자 5인조 단체전 경기 |
파이브플레이어팀스우먼 |
Five player teams, women |
여자 5인조 단체전 경기 |
폴로스루 |
Follow through |
투구 후의 연속된 팔 동작을 말하며, 마지막힘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볼링의 중요한 동작이다. |
포워드 피치 |
Forward pitch |
손가락의 중심선이 볼의 중심보다 안쪽으로 치우쳐진 각을 이야기한다. |
포워드 스윙 |
Forward swing |
뒤에 가져간 볼을 진자의 원리에 따라 앞쪽으로 보내는 것이다. |
파울 |
Foul |
어프로치 위의 파울라인을 넘어서 릴리스 하는 것으로 해당 스코어는 0점이며 스코어 기록은F로 |
파울 디텍터 |
Foul detector |
파울 검색 장치를 말한다. |
파울 라인 |
Foul line |
넘어서는 안될 파울 선이다. |
파운데이션 |
Foundation |
9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를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
포 배거 |
Four bagger |
4회 연속 스트라이크를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
포 타이머 |
Four timer |
4회 연속 스트라이크를 기록하는 것. |
프레임 |
Frame |
1게임을 10등분한 1회마다의 구분이다. |
풀핑거 그립 |
Full finger grip |
중, 약지의 셋째 마디까지 넣어 볼을 잡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
풀 룰러 |
Full roller |
볼의 중심을 축으로 큰 원호를 그리며 회전. 스트레이트 구질을 이야기한다. |
게임 블럭 |
Game block |
한 이벤트의 끝맺음을 이야기 한다. |
가비지힛트 |
Garbage hit |
포켓을 공략하지 못했으나 핀들의 교묘한 액션 작용으로 스트라이크가 생기는 경우 |
게팅더 우드 |
Getting the wood |
자기 실력 이상으로 호조를 보이고 있는 상태 |
글로브 |
Glove |
손목 보호용 장갑아대. |
고더루트 |
Go the route |
한 게임에서 3개 이상의 스트라이크를 기록하며 게임을 마감 |
골 포스트 |
Goal post |
7-10번 핀을 남긴 스플릿(snake eye) |
골등 게이트 |
Golden gate |
4-6-7-10번 핀을 남긴 스플릿 |
그랩 |
Grab |
예리하게 안쪽으로 휘어지는 위력이 있는 구질 |
그랜드 파이널 |
Grand final |
최종 결승 |
그랜드마티스 |
Grandma;s teeth |
4-7-9-10번 핀이 남은 스플릿 |
그래스 호퍼 |
Grass hopper |
파괴력이 있는 볼 |
그레이브 야드 |
Grave yard |
점수가 잘 나오지 않는 레인 |
그레이즈 브루클린 |
Graze brooklyn |
왼손잡이의 스트라이크 포켓인 1-2번 핀 지역 |
그릭 처치 |
Greek church |
우측에 6-9-10번, 좌측에 4-7번 핀이 남은 스플릿 |
그립 |
Grip |
볼을 쥐는 방법(컨벤셔널 그립, 세미 핑거 그립, 풀 핑거 그립)등이 있다. |
가이드 스포트 |
Guide spot |
화살표로 되어있는 spot 앞 쪽의 작은 점으로 되어 있는 10개의 원형 점 |
거터 |
Gutter |
레인의 좌우측에 있는 홈을 이야기한다. |
커터볼 |
Gutter ball |
볼이 레인 좌우측 홈에 떨어진 경우(paddle) |
커터숏 |
Gutter shot |
투구된 볼이 파울라인을 막 넘어설 때 거의 거터에 빠질 정도로 가장자리에걸쳐 이루어지는 투구 |
핸디캡 |
Handicap |
대등한 경기를 위해 실제 점수에 가산하는 점수로 시니어와 여자선수에게5-10점을 적용한다. |
헤드핀 |
Head pin |
셑팅된 10개의 핀 중에 중심부에 있는 1번 핀을 이야기한다. |
헤비 스플릿 |
Heavy split |
3-7, 3-10번 핀 스플릿 |
하이 게임 |
High game |
최고 득점을 낸 1게임 |
하이 힛트 |
High hit |
겨냥한 핀을 정면으로 맞침 |
하이 시리즈 |
High series |
최고 득점을 낸 3게임 또는 6게임 단위점수 |
훅볼 |
Hook ball |
직선 궤도를 형성하다가 핀 가까이에서 곡선 궤도를 이루는 구질 |
하우스 볼 |
House ball |
볼링장에 비치하고 있는 볼 |
임펙트 보드 |
Impact board |
볼이 레인 위를 굴러 핀까지 도달하는 동안 거쳐간 레인 보드의 수를 일컫는 말 |
임펙트 포인트 |
Impact point |
투구된 볼이 핀과 부딪치는 점을 말함 |
이미지 풀 스트레티점 |
Image full stratagem |
스페어를 내는 작전의 하나로 상상력과 자기 암시를 활용하여 공격하는 방법 |
인디비듀얼 세미화이널 |
Individual semi-final |
준결승 |
이닝 |
Inning |
한 게임을 구성하는 10번 프레임 중 1프레임 |
인사이드볼링 |
Inside bowling |
오른손잡이의 경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치우쳐 볼을 투구하고, 왼손잡이의 경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쳐 볼을 투구하는 것 |
인스트럭터 |
Instructor |
지도원, 지도자 |
인테럽티드 게임 |
Interrupted game |
문제 발생시 중단된 경기 |
잭맨더스 |
jack manders |
핀 간격이 큰 스플릿이 났을 때 핀 사이로 볼이 굴러 빠져버리는 것 |
쥬리오브어필 |
jury of appeal |
소청 위원단 |
케이비씨 |
KBC(Korea Bowling Congress) |
대한볼립협회 |
케글러 |
Kegler |
독일어로 볼러를 말함 |
키핀 |
Key pin |
남아 있는 핀 중에서 스페어시 가장 중요한 위치의 핀,그리고 1번핀을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 |
킥백 |
Kick back |
핀이 쓰러지는 부근에 설치된 양쪽의 벽을 말한다. |
킹핀 |
King pin |
1번, 5번 핀과 같이 스트라이크를 내는 데 열쇠가 되는 핀을 말한다. |
키티 |
Kitty |
쉬운 스페어를 미스하거나 적은 점수를 기록한 동료에게 부과하는 벌금 |
크레스지 |
Kresge |
5-10번 핀 스플릿이 wool worth이듯 5-7번 핀 스플릿을 말함 |
레인 |
Lane |
볼을 굴릴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코스 |
레인 어사인먼트 |
Lane assignment |
레인 배정하는 것을 말한다. |
레인컨디션 |
Lane condition |
레인 상태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
레인컨디셔너 |
Lane conditioner |
레인 정비기로 센추리사에서 제작된 기종이 주종을 이루면서 흔히 센츄리라고 이야기한다. |
레인드레싱 |
Lane dressing |
레인 표면에 오일을 일정하게 도포하는 것을 이야기하며 나무로 된 레인을 보호하고 레인의 변화를 주기 위한 하루에 약 2-3번 정도를 일정하게 레인 위에 오일을 도포하는 것을 말한다. |
레인게이지 |
Lane gauge |
레인 평면도 측정 기구로 레인의 공인을 받기 위해 검사관이 측정하는 기구이다. |
레인레벨 |
Lane level |
레인의 수평도를 말한다. |
리드오프맨 |
Lead off man |
단체전의 제1번 투구자 |
리브 |
Leave |
제1투구 후 남은 핀 수 |
리프트 |
Lift |
릴리스 상태에서 볼을 회전시키는 동작 |
라이트 히트 |
Light hit |
1-3번 핀 포켓에서 3번 핀 쪽으로 강하게 맞는 볼 |
라이트 아웃 |
Light out |
마지막 투구자인 앵커가 핀을 미스하는 것 |
릴리 |
Lily |
5-7-10번 스필릿(christmas tree) |
라인 볼링 |
Line bowling |
목표 지점 선정시 핀에서부터 에임 스파트까지 볼이 굴러갈 가상의 라인을 그어 투구하는 방법 |
라인업 |
Line-up |
투구 순서 |
로킹 |
Locking |
볼의 구멍이 협소하여 꼭 끼는 상태 |
로프팅 |
Lofting |
투구시 볼이 투구 위치에서 멀리 높게 레인 위에 떨어지는 상태 |
메이킹 인핏 |
Making in fit |
4-5, 5-6번과 같이 남은 핀 사이로 볼을 굴려 스페어하는 것 |
머피 |
Marphy |
남은 핀 처리가 쉬운 2-7번, 또는 3-10번 스플릿 |
마스터즈 |
Masters |
마스터즈 |
마스터즈그랜파이널맨 |
Masters grand final, men |
남자 마스터즈 최종 결승 |
마스터즈그랜파이널우먼 |
Masters grand final, women |
여자 마스터즈 최종 결승 |
매치 플레이 |
Match play |
16강 한판 게임 승부전 |
미스 |
Miss |
제1구에 남은 핀을 제2구로 전부 쓰러뜨리지 못함 |
믹서 |
Mother-in-law |
7번 핀(왼손 선수), 10번 핀(오른손 선수)이 남은 상태 |
마더인로 |
My ball |
자기 개인 소유의 볼 |
마이볼 |
Nice count |
제1투구로 6개 이상의 핀을 넘어뜨리는 것 |
나인 앤드 위글 |
Nine and wiggle |
9개의 핀을 넘어뜨리는 것 |
나인핀 볼링 |
Nine pin bowling |
9개의 핀을 다이아몬드 형태로 세워 두고 경기하는 볼링 |
노즈힛트 |
Nose hit |
1번 핀을 정면으로 맞추는 것 |
오프셋 |
Off-set |
올바르게 핀이 놓이지 못한 상태 |
오피셜 스코어러 |
Official scorer |
공식 기록원 |
원스텝딜리버리 |
One step delivery |
마지막 스텝을 익히기 위하여 파울 라인으로부터 한 스텝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스텝을 하는 연습 |
오픈 |
Open |
스트라이크 또는 스페어 처리에 실패한 프레임(open frame) |
오픈볼링 |
Open bowling |
재미나 연습삼아서 하는 리그나 토너먼트가 아닌 플레이 |
오픈프레임 |
Open frame |
스트라이크 또는 스페어로 처리하지 못한 프레임 |
오픈플레이 |
Open play |
릴리스 동작 마지막에 발끝을 미끄러뜨려 체중을 볼에 가하도록 하는 동작 |
온더 노이즈 |
On the nose |
완전히 포켓에 들어가게 하는 것 |
아웃 사이드 |
Out side |
오른손잡이가 레인의 중앙보다 우측편에서 투구하는 동작 |
페이서 |
Pacer |
보조 경기자 |
피비에이 |
PBA |
미국 프로볼러협회(Professional Bowlers Association, 1958년 창립) |
페널티 |
Penalty |
벌칙 |
펜드럼스윙 |
Pendulum swing |
볼을 시계추처럼 스윙하는 것 |
퍼펙트게임 |
Perfect game |
1게임에서 300점을 기록한 경기(스트라이크 12개) |
퍼펙트 스트라이크 |
Perfect strike |
완벽하게 이루어진 스트라이크 |
퍼스널앵글 |
Personal angle |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앵글 |
피켓펜스 |
Picket fence |
1-2-4-7번 혹은 1-3-6-10번 핀이 남아 있는 상태 |
핀 |
Pin |
볼링 핀 |
핀액션 |
Pin action |
볼에 맞은 핀이 휘어지며 넘어지는 모양 |
핀볼링 |
Pin bowling |
핀만을 표적으로 투구하는 볼링 |
핀보이 |
Pin boy |
수동식 시설에서 핀을 세워주는 사람 |
핀데크 |
Pin deck |
핀을 세워놓는 곳 |
핀폴 |
Pin fall |
볼링 경기의 득점을 지칭 |
핀세터 |
Pin setter |
핀을 배열하는 장치 |
핀스포트 |
Pin spot |
핀을 세우기 위한 표시점 |
피트 |
Pit |
쓰러진 핀이 떨어지는 곳 |
피치게이지 |
Pitch gauge |
볼의 구멍 상태를 측정하는 기구(각도 측정) |
플레이어즈에어리어 |
Players area |
선수석 |
플레잉 유니폼 |
Playing uniform |
경기 복장 |
플레이트 |
Plate |
핀 데크 양쪽의 칸막이벽 |
플레이 오프 |
Play off |
동점일 때 승부를 결정하거나 마스터즈의 등위 결정 경기 |
포킷 |
스트라이크가 유발되는 지역 |
|
포킷 스플릿 |
Pocket split |
볼이 포켓으로 진입하여 스트라이크라고 생각했는데 뜻밖에 스플릿이 된 상태 |
포이즌 아이비 |
Poison ivy |
3-6-10번 핀 스페어 |
포지션 라운드 |
Position round |
풀리그 경기에서 정해진 게임의 합계 점수 순위에 따라 경기 위치를 재배열하는 것 |
팟게임 |
Pot game |
돈을 걸고 내기하는 경기 |
프랙티스 볼 |
Practice ball |
연습 투구 |
프로시줘오브어필 |
Procedure of appeal |
소청 절차 |
프로젝터 스크린 |
Projector screen |
선수 점수를 스크린에 비춰주는 환등 장치 |
프로테스트 |
Protest |
항의 |
프로비져널 볼 |
Provisional ball |
잠정 투구 |
퍼들 |
Puddle |
볼이 레인 좌우측 홈으로 떨어진 경우 |
푸시 어웨이 |
Push away |
제1보 스텝에서 볼을 밀어내는 것 |
레일 로드 |
Rail road |
핀 사이가 멀리 벌어진 스플릿 |
랩 |
Rap |
완전하다고 생각한 투구볼인데도 핀이 남는 상태 |
리어쿠션 |
Rear cushion |
쓰러지는 핀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피트 후방에 부착된 고무판 |
리보울 |
Rebowl |
재투구 |
리인스테이트먼트 |
Reinstatement |
선수 자격 복권 |
릴리스 |
Release |
투구 동작에서 손으로부터 볼을 굴리는 상태 |
릴리스 스파트 |
Release spot |
볼을 릴리스하는 위치 |
렌탈슈즈 |
Rental shoes |
볼링장에 비치된 빌려 신는 볼링화 |
리플레이스먼트오브핀 |
Replacement of pins |
핀 교체 |
리셋 |
Reset |
핀의 재배열 |
리서페이스 |
Resurface |
레인이나 어프로치 표면을 깍아서 수평으로 바로 잡는 일 |
리턴 랙 |
Return rack |
투구한 볼이 되돌아와서 얹히는 선반 |
리버스 피치 |
Reverse pitch |
손가락 구멍의 중앙선이 볼의 중심점보다 바깥쪽으로 치우쳐 이루어진 지공 각도 |
롤링 아웃 |
Rolling out |
스트라이크 존에 투구하지 못함 |
라운드로빈이벤트 |
Round robin event |
개인종합 16강이 개개인이 매치 게임으로 승자 10점, 동점 5점, 패자 0점으로 순위를 가리는 경기방식 |
런닝 앨리 |
Running alley |
훅이 쉽게 형성되는 레인 |
실레이퍼 |
Schleifer |
핀이 천천히 쓰러지는 스트라이크 |
스코어 |
Score |
점수 |
스코어 시트 |
Score sheet |
점수 기록 양식 |
스코어 테이블 |
Score table |
점수 기록석 |
스코어러 |
Scorer |
점수 기록원(score keeper) |
스크래치 |
Scratch |
핸디캡을 주지 않는 경기 방식 |
세컨드 볼 |
Second ball |
제2구 |
세미핑거 그립 |
Semi finger grip |
볼을 잡을 때 중,약지의 둘째와 셋째마디 사이까지 넣어 잡는 형태 |
세미 롤링 |
Semi rolling |
볼의 중심에서 3/4하단을 축으로 구르는 형태. 훅 볼 구질 |
셋업 |
Set up |
핀을 다시 세우는 것 |
쉐도우 볼 |
Shadow balls |
레인 위에 핀이 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구 연습하는 것 |
셸 |
Shell |
볼의 표면층, 볼링볼의 선택시 중요한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사이드 아밍 |
Side arming |
팔이 좌우로 흔들리는 상태 |
사이드 피치 |
Side pitch |
지공된 구멍의 중앙선이 볼의 중심선에서 좌,우로 경사진 각 |
사이드 파티션 |
Side partition |
볼에 맞은 핀을 보호하기 위한 핏트 양측면의 벽 |
싱글즈 |
Singles |
개인전 |
싱글즈,맨 |
Singles, men |
남자 개인전 |
싱글즈,우먼 |
Singles, women |
여자 개인전 |
시리즈 |
Series |
게임의 수를 묶은 단위(800시리즈(3게임 연속점수의 합계, 등의 많은 시리즈가 있으나 |
슬리퍼 |
Sleeper |
앞의 핀에 가려 뒤에 있는 핀이 잘 보이지 않음(2-8번, 1-5번, 3-9번 핀등이다.) |
슬라이드 |
Slide |
볼 투구 마지막 동작시 어프로치를 미끄러져가는 발의 상태 |
스로트 앨리 |
Slot alley |
스트라이크가 유난히 잘 나오는 레인 |
슬로 볼링 |
Slow bowling |
지연 투구, 어프로치에서 30초 이상을 자나면 경고를 받을수 있다. |
슬로 레인 |
Slow lane |
볼과 레인의 마찰이 커서 훅이나 커브가 심하게 되는 레인(늦게 굴러 가는 레인(soft
alley) |
소프트 레인 |
Soft lane |
연성 목재로 된 레인(대부분의 레인 형태를 말하며, 단풍나무와 소나무로 레인은 이루어져 있다) |
사우어 애플 |
Sour apple |
5-7-10번 핀이 남은 스플릿(크리스마스 트리라는 애칭도 있음_ |
스팬 |
Span |
볼의 엄지 구멍과 중지,약지 구멍간의 거리(볼링을 하는 볼러에게는 가장 중요한 것중에 하나. |
스페어 |
Spare |
제1투구에서 남은 핀을 제2투구에서 모두 쓰러뜨리는 것 |
스필러 |
Spiller |
헤드 핀을 살짝 맞추고 다른 핀을 하나씩 천천히 넘어뜨려 스트라이크를 만드는 것 |
스핀 |
Spin |
볼의 회전 |
스피너 |
Spinner |
볼의 하단부를 축으로 회전하며 곡선을 그리며 굴러가는 궤도. 커브볼 구질 |
스플래쉬 |
Splash |
핀이 순간적으로 모두 쓰러지는 것같은 통쾌한 스트라이크 |
스플릿 |
Split |
1번 핀이 없는 상태에서 핀과 핀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rail road) |
스파트 |
Spot |
레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 표시 |
스파트 볼링 |
Spot bowling |
투구의 목표 지점으로 파울 라인 앞 15피트 지점의 표식을 겨냥함 |
스쿼드 |
Squad |
조편성 |
스퀴징 |
Squeezing |
볼의 구멍이 커서 헐렁한 상태 |
스텐드 |
Stance |
투구 동작 직전의 준비 자세(양발의 위치 선정 동작) |
스토퍼 |
Stopper |
볼 테이블로 되돌아오는 볼의 속도를 줄이는 장치 |
스토리지 랙 |
Storage rack |
볼 보관대 |
스트레이트 볼 |
Straight ball |
직선 궤도를 형성하는 구질 |
스트라이드 |
Stride |
투구를 행할 때의 보폭 |
스트라이크 |
Strike |
제1구로 10개의 핀을 전부 쓰러뜨리는 것 |
스트라이킹아웃 |
Striking out |
마지막 프레임 경기를 스트라이크로 끝내는 것 |
스트로크 |
Stroke |
릴리스 동작시 모든 기술을 지칭 |
스타일오브플레이 |
Style of play |
경기 방식 |
서페이스하드니스 |
Surface hardness |
볼의 표면 강도 |
스위프 바 |
Sweep bar |
핀 데크에 넘어진 핀을 핏트로 끌어내리는 가로 막대 |
스위퍼 |
Sweeper |
핀을 레인 위에 남기지 않고 모두 쓸어내는 기구 |
스윙 |
Swing |
어프로치에서부터 릴리스까지 앞뒤로 볼을 움직이는 동작 |
테일 플랭크 |
Tail plank |
핀 데크 최단부에 설치된 꼬리판 |
탠덤 |
Tandem |
2개의 핀이 앞뒤로 서서 앞에서 1개의 핀만 보이는 경우 |
탭 |
Tap |
스트라이크 존에 투구하였으나 핀이 1개 남은 상태 |
타디 플레이어 |
Tardy player |
경기 시작 후에 출전한 선수 |
타겟 |
Target |
레인 위의 삼각형 투구 목표 지점 표시 |
팀 하이 게임 |
Team high game |
한 팀이 리그전에서 기록한 한 게임의 최고 득점 |
텔레폰 폴 |
Telephone poles |
7-10번 스플릿 |
텐 핀 볼링 |
Ten pin bowling |
10개의 핀을 역삼각형으로 세워 두고 경기하는 볼링 |
드리 쿼터 |
Three quarter |
어프로치의 3/4 정도의 왼쪽 위치에 스탠스를 취하고 목표를 겨냥하여 투구 |
딘 히트 |
Thin hit |
1번 핀 끝을 겨우 스치며 지나는 볼(Low hit) |
타이브레킹프로시져 |
Tie breaking |
동점 처리 절차 |
토드 아이 |
Toad eye |
4-6번 스플릿 |
트랙 |
Track |
볼에 구름 자국이 둥글게 형성된 모양 |
트레이닝 레인 |
Training lane |
연습용 레인 |
트리오스 |
Trios |
3인조 경기 |
트리오스 맨 |
Trios, men |
남자 3인조 경기 |
트리오스 우먼 |
Trios, women |
여자 3인조 경기 |
트리플 빗 |
Triple bit |
3게임 득점이 똑같은 경우 |
트리플 |
Triple |
3연속 스트라이크(turkey) |
터키 |
Turkey |
3연속 스트라이크(triple) |
턴 |
Turn |
볼을 놓기 직전에 손목을 약간 회전시키는 것 |
월 샷 |
Wall shot |
핀 하나가 사이드 보드에 맞고 튕겨 나와서 다른 핀을 쓰러뜨리는 경우 |
워닝 |
Warning |
경고 |
와셔 |
Washer |
1-2-10번 핀, 1-2-4-10번 핀, 1-3-7번 핀, 1-3-6-7번 핀 등의 스페어 존을 말함 |
와시아웃 |
Wash out |
1-2-10번 핀, 1-2-4-10번 핀이 남은 경우를 말하며 1번 핀이 남아 있어 스플릿에 속하지 않음 |
더블유아이비씨 |
WIBC |
국제여성볼립협회(Women's International Bowling Congress, 1916년 미국에서 결성) |
위너 |
Winner |
승자, 보통 개인전 파라마스(사다리 방식) 방식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울워스 |
Woolworth |
5-10번 스플릿, 다임 스토어(Dime store)라고도 한다. |
우드 |
Wood |
핸디 경기에서 에버리지가 낮은 볼러에게 덤으로 주는 핀수(five and dime) |
워킹볼 |
Working ball |
볼의 액션이 강하여 포켓을 비껴 맞췄는데도 스트라이크를 만들어내는 투구 |
더블유피비에이 |
WPBA |
미국여자프로볼러협회(Women's Professional Bowlers Association) |
제로인 |
Zero in |
스트라이크를 기록하기 위해 볼을 굴려야 할 레인상의 지점 또는 투구 라인을 찾는 것 |
제로피치 |
Zero pitch |
볼 지공시 볼의 중심점을 향하여 똑바로 뚫려 있는 기본형 피치를 말함(conventional pitc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