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국어, 도덕, 사회) , 교육과학기술부.
【6-문법-(3)】문장에 쓰인 호응 관계의 적절성을 판단한다.
【내용 요소의 예】
◦ 적절한 호응 관계의 중요성과 필요성 이해하기
◦ 문장의 호응 관계를 알고 바르게 표현하기
◦ 각종 매체에 나타난 언어 표현에서 호응 관계에 맞지 않는 부분을 찾아 바르게 고치기
이 성취 기준은 문장에 쓰인 호응 관계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정확하고 효과적인 문장을 생산 및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하였다. 문장의 호응 관계를 알고 바르게 표현․이해할 수 있게 지도하되, 특히 현재 각종 매체 등에서 호응 관계가 부적절한 문장이 널리 쓰이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현재의 국어 생활 문화 환경을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국어를 올바로 사용하려는 태도를 지니게 하는 데 중점을 둔다.
호응이란 앞에 오는 어떤 말에 응하는 말이 뒤따라오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결코’ 뒤에는 반드시 부정어가 와서 ‘결코 ~ 할 리가 없다’ 등과 같이 사용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호응 관계에 대한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언어 자료에 나타난 문장의 호응 관계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호응 관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바른 문장 표현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각종 매체에 나타난 언어 표현에서 호응 관계가 잘못된 부분을 찾아 바르게 고치는 활동을 하여 현재의 국어 생활 문화 환경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정확한 언어 표현의 중요성을 체감하도록 교수 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4학년 문법 영역의 성취 기준 ‘(3)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석한다.’에서 다룬 내용을 고려하여 교수 학습 계획을 설계한다. 국어사용 태도와 외국어 사용 태도를 비교하고, 외국인이 자국어에 관심을 갖고 자국어 사랑을 실천한 사례를 조사하는 활동 등을 병행할 수 있다.
【언어 자료의 수준과 범위】호응 관계를 보여주는 문장이 들어 있는 언어 자료
호응 관계를 잘 지켜서 글의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글뿐만 아니라 호응 관계를 잘 지키지 않아 글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글도 이용 가능하다. 특히 각종 매체에 사용된 부자연스러운 문장 등도 좋은 언어 자료이다.